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10.5℃
  • 흐림강릉 14.1℃
  • 맑음서울 12.9℃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9.9℃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0.4℃
  • 맑음제주 17.2℃
  • 흐림강화 12.2℃
  • 맑음보은 8.1℃
  • 맑음금산 7.7℃
  • 맑음강진군 11.1℃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즐거운 치과생활

위식도역류질환

URL복사

글·사진_정해선 교수(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 소화기내과)

위식도역류질환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이로 인하여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1. 증상

위식도역류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쓰림이나 산 역류입니다. 가슴쓰림은 대개 명치 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듯한 타는 느낌, 화끈거림, 쓰림, 불쾌감 등을 말합니다. 하루 중 언제나 증상이 생길 수 있지만, 주로 식사 후 혹은 누운 자세에서 심해지는 것이 중요한 특징입니다. 흔히 속쓰림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이는 기능성 소화불량이나 위십이지장 궤양에서 자주 나타나는 증상으로, 식사 전 즉 공복 시 명치 부위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산 역류는 시고 쓴 액체 혹은 음식물 등이 식도나 입으로 올라오는 것을 말합니다. 때로는 가슴 통증, 음식이 걸린 듯한 느낌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은 구토, 위장관출혈, 빈혈, 체중감소, 삼킴 곤란 등의 경고 증상이 없으면서, 위의 전형적인 증상이 있는 경우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는 그 외에도 흉통이나 만성기침, 쉰 목소리, 목 이물감 등의 비전형적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2. 원인

위식도역류질환의 원인은 위 내용물의 양적 증가, 위 내부 압력 및 복압 증가, 하부식도괄약근 압력 감소, 식후 산주머니 형성 등입니다.다량의 음식 섭취, 위 안에서의 정체 등으로 위 내용물이 증가된 상태로, 소화되거나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식도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눕거나 구부리는 자세로 인해 위 내용물이 식도 가까이에 위치하면 역류가 잘 일어납니다. 또한 비만, 임신, 복수, 복대 착용, 잦은 기침 등으로 위와 복강 내 압력이 증가하면 역류가 잘 일어납니다.

 

식도와 위 사이에는 위 안의 내용물이 거꾸로 식도로 넘어오지 못하게 역할을 하는 식도괄약근이 존재합니다. 정상인에서는 이 식도괄약근이 음식을 삼킨 후와 트림할 때만 열리고 그 외에는 조여져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데, 식도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하거나 부적절한 때 열리면 위액이나 음식물 등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산역류 증상은 식후에 가장 현저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식후에는 음식물에 의한 위산의 중화로 위내 산도가 높아지나, 역설적이게도 위식도접합부의 직하부는 위산도가 현저히 낮아져 산주머니(acid pock-et)를 형성하게 되어 위산의 역류가 더 심해지게 됩니다. 또한 위식도위접합부가 횡경막보다 위에 위치하는 구조적인 변화인 식도열공탈장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산주머니가 횡경막보다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횡경막으로 인한 역류억제기능이 약화됩니다.

 

 

3. 진단

위식도역류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식도 내압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은 내시경에서 점막결손이 관찰되는 미란성 역류질환 (erosive reflux esophagitis, ERD)과 점막결손이 발견되지 않으나 전형적인 증상이 있는 비미란성 역류질환(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으로 구분하며, 미란성 역류질환은 그 정도에 따른 Los Angeles 분류에 따라 A-D 단계로 나눕니다.

 

점막결손의 전형적인 내시경 소견은 편평-원주상피 접합부 (squa-mo-columnar junction)에서 시작하여 식도의 근위부로 올라가는 선상 미란입니다. 그러나 실제 위내용물 역류나 증상의 정도가 점막결손의 크기 및 정도와 항상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위식도역류질환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식도암, 위암, 소화성 궤양 등 다른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우선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고, 동시에 식도염의 정도와 합병증 유무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내시경에서 육안적인 미란성 식도염이 없는 경우 양성자펌프억제제를 투여하여 치료 반응을 보는 것 또한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 시 흔히 시행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4. 치료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는 이를 유발하는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과식이나 야식을 피하고, 식후 바로 눕지 않아야 합니다. 또 위식도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기름진 음식, 음주, 흡연, 카페인 (커피, 홍차, 초콜릿 등), 페퍼민트 등의 음식을 피하도록 합니다. 과일류에서는 오렌지나 레몬 등 감귤류, 파인애플, 토마토, 포도 등 신맛 나는 과일들을 피하고 대신 바나나, 메론, 배 등 신맛이 적은 과일류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스, 토마토, 탄산음료 등도 식도 점막을 자극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 다른 질병으로 사용하게 되는 칼슘길항제, 항콜린제, 테오필린, 통풍약, 수면제 등도 위식도괄약근의 압력을 낮출 수 있습니다.

 

 

비만인 경우 체중감소가 도움이 되며, 복압이 증가되지 않도록 몸에 끼는 옷을 피하고 쭈그려 앉거나 상체를 숙이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취침 시 침대의 상체 부분을 올려서 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런 생활습관 교정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분들은 약물치료를 고려합니다. 대개 양성자펌프억제제 등의 위산분비억제제나 식도와 하부식도괄약근의 운동성을 조절하는 약제 등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런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심한 역류질환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며

위식도역류질환은 감기처럼 한 번 치료하고 증상의 호전을 경험했다고 해서 완쾌되는 질병이 아닙니다. 오히려 당뇨나 고혈압처럼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따라서 위에 언급한 대로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교정된 생활습관을 평소에도 지속적으로 잘 지켜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밸류에이션 지표로 본 S&P500, 역사적 고평가 구간에 들어서다

최근 미국 증시는 역사상 유례없는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AI 관련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지수의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각종 지표들이 과거 어느 시기보다 과열된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리 인하 사이클이 막바지에 이르고 연준의 통화정책이 완화 국면에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고평가 국면이 지속된다면 자산배분 투자자의 리밸런싱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P500의 밸류에이션을 판단할 때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네 가지 주요 지표는 PSR(주가매출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PER(주가수익비율), 그리고 연간 배당수익률이다. 각 지표는 시장의 기대 수준, 기업의 실적, 그리고 주식의 내재가치를 서로 다른 시각에서 보여준다. 이 네 가지 지표를 종합해보면, 현재 미국 증시는 2000년 IT 버블이나 2021년 팬데믹 당시의 고점보다도 더 과열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PS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이 실제 매출 규모에 비해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최근 PSR은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IT 버블 당시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