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움이 연세치대와 취리히대학이 공동 주최한 CE(Continuing Education) 코스에 참여해 임플란트 최신 술식에 대한 강연을 선보이고, 자사의 임플란트를 후원했다. 이번 코스는 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 50주년 기념행사와 함께 8월 16일과 17일 양일간 연세대학교 에비슨생명연구센터 유일한홀에서 진행됐다. 덴티움은 이번 코스를 통해 취리히대학의 저명한 연자들과 함께 최신 임플란트 술식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특히 자사의 최신 제품을 활용한 임상사례와 디지털 임플란트에 대한 실습을 제공, 참가자들이 제품의 우수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덴티움과 취리히대학은 오랜 기간 학술적 교류를 이어오며 기술 발전을 선도해왔다. 취리히대학은 임플란트 연구와 임상교육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관으로, 특히 디지털 임플란트와 최소 침습 수술, 연조직 관리 등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덴티움은 취리히대학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최신 임플란트 기술을 전 세계 치의들에게 전달하며 교육과 제품 후원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CE 코스는 연세치대 치과과학교실 50주년을 기념하며 더욱 뜻 깊게 진행됐다. 기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의사·치과의사·치과위생사·간호조무사 등 보건의료인력별 면허권한에 따른 업무범위를 조정·심의하는 별도 위원회 신설 법안에 정부와 관련 단체들이 각기 다른 입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월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윤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이 발의한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안에 대해 제출된 소관 정부부처와 보건의료직능단체 의견을 살핀 결과다. 개정안의 골자는 의사와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등 보건의료인 간 면허권과 업무범위를 놓고 혼란이나 갈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건의료인력 업무조정위원회를 신설한다는 것. 업무조정위원회를 복지부 장관 산하에 두고, 위원장은 복지부 차관이 맡도록 했다. 이 같은 개정안에 복지부는 일부 수용, 행안부는 신중검토 입장을 냈다. 복지부는 보건의료 직역간 업무범위가 업무 전문성과 업무환경 등을 고려해 결정될 수 있도록 제도 기반을 마련하는 취지에 동의했다. 다만 보건의료인 업무범위 조정 기전을 보건의료인력법이 아닌 의료법으로 규정하는 게 알맞다고 피력했다. 특히 업무조정위 이름이나 기능, 구성, 운영 등은 전문가와 보건의료인력 등 이해관계자 의견을 폭넓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지역보건법 개정 이래 의사가 아닌 다른 의료인이 보건소장에 임명되는 첫 사례가 나타났다. 강원 속초시는 한의사인 박중현 씨를 보건소장에 임용한다고 지난 8월 13일 밝혔다. 기존 보건소장 자격을 의사로 한정한 지역보건법이 올해 7월 3일 ‘의사 외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등으로 개정됨에 따라 진행된 공개모집에서 한의사가 최종 합격한 것이다. 속초시보건소장 임용예정자인 박중현 씨는 지역 출신으로, 연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이후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타지역에서 한의원 원장을 역임하면서 의학 경험을 쌓기 위해 한방재활분야와 뇌과학 중심의 꾸준한 학회활동을 했고, 10여년 전부터는 지역에 한의원을 운영해 왔다. 속초시는 보건소장 임용예정자가 지역 내 의사, 약사들과도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의견을 나누는 등 한의사에 국한되지 않는 폭넓은 시야와 경험 등을 높이 평가하고, 경력과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병선 속초시장은 “개정된 지역보건법에 따라 한의사를 보건소장으로 임명하는 것은 전국 첫 사례일 것”이라며 “보건소장이 임명된 만큼 늘어나는 보건복지 수요에 적극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종원)가 지난 8월 2일부터 3일까지 부산 센텀 본사에서 일본 유저들을 대상으로 NYU DDA 코스를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는 일본 치과계의 주요 인사들이 참가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Dr. Hiroyuki Takino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스터디그룹인 JIADS의 전 이사장이자 임상치주병학회 회장을 역임한 권위자로, 그의 참석은 이번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NYU DDA는 뉴욕대치과대학과 공동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 핸즈온, 라이브서저리 참관 등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디오의 디지털 치의학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 이번 교육은 일본 치과의사들의 요구와 현지 진료환경을 고려해 맞춤형 커리큘럼으로 구성됐다. 첫 날인 8월 2일에는 디오 본사 투어를 시작으로, 손현락 원장(뉴튼치과병원)의 ‘디지털 치의학 트렌드’가 진행됐다. 오후에는 최강덕 원장(선한이웃치과)의 디오나비 풀아치 라이브 서저리를 참관하며 실제 임상 현장을 경험했다. 이어 신준혁 원장(디지털아트치과)의 치과를 방문해 최신 디지털 치과 시스템을 직접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둘째 날인 8월 3일에는 최강덕 원장의 ‘디지털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움이 지난 8월 18일 광교 본사에서 ‘Minimalism in Surgery, Prosthesis, and Stress-Free’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 변수환 교수(한림대학교 성심병원), 백장현 교수(경희치대) 등이 연자로 나섰다. 임플란트와 보철에 대한 최신 기술을 다룬 이번 세미나는 임상에 바로 적용 가능한 유익한 정보를 다루며 참가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특히 ‘bright Implant’의 티슈 레벨 임플란트를 활용해 좁은 치조골(Narrow Ridge)에서도 별도의 골 이식(GBR) 없이 간편하게 식립할 수 있다는 점과 세 가지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Digital Abutment’로 수술시간과 치료기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새로운 워크플로우를 제시하며 이목을 집중시켰다. 덴티움 ‘bright Implant’ Short & Narrow는 기존 방식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더 짧은 시간에 수술을 완료할 수 있고, 환자들 또한 치료기간이 크게 단축돼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Digital Abutment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8월 말 주당 35만명의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정부의 예측이 나왔다. 홍정익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장은 지난 8월 19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 환자 수는 작년 8월의 절반 수준이지만, 최근 2년간의 여름철 유행 동향과 추세를 분석했을 때 월말에는 작년 최고 유행 수준인 주당 35만명까지 가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약사와의 협의를 통해 지난주부터 추가 확보한 코로나 치료제를 공급하기 시작했고, 8월 말까지는 전국 약국에 여유 물량까지 충분히 공급하겠다”고 덧붙였다. 방역당국은 현재 ‘관심’ 단계인 코로나 위기단계와 4급인 감염병 등급을 높이지 않고, 감염 예방 수칙을 강조하면서 환자 추이를 보다가 다가올 추석 연휴에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홍 국장은 “변이 바이러스인 KP.3의 중증화율이나 치명률은 이전 오미크론과 차이가 없고 대부분 경증이라 현 위기단계에서 관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직장·학교에서의 전파에 대해서는 “증상이 있으면 쉴 것과 결석분 출석 인정에 대한 수칙을 학교에 배포했고, 회사에는 직장인들이 아프면 쉬도록 배려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 8월 20일 공시를 통해 105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 결정을 발표했다. 이번 CB발행은 ‘NH-무림 덴탈케어 신기술조합 제1호’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CB 발행 전환가액은 주당 8,452원이다. 표면이자율은 0%, 만기이자율은 3%이며, 만기일은 오는 2029년 8월 22일이다. 회사는 이번 CB 발행으로 확보된 자금을 기 발행된 CB를 상환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덴티스는 지난 2021년 8월에 2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으며 한차례의 매도청구권(콜옵션)을 통해 80억원을 상환했고, 15억원 규모의 전환청구권 행사도 거쳐 현재 105억원의 미상환 잔액이 남아있다. 덴티스 관계자는 “상환 목적의 발행이지만 덴티스의 기술력과 성장가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발행조건이 구성됐다”며 “지속적인 전략 신제품에 대한 투자와 글로벌 성장을 바탕으로 한 실적 성장세가 뚜렷한 만큼 앞으로도 경영 전반의 체질 개선과 내실화를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덴티스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303억7,800만원으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한 바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메디트가 오는 9월 8일 르호봇 광주 비즈니스센터(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7)에서 ‘스킬 업(Skill Up) 세미나’를 개최한다. 메디트가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스킬 업 세미나’는 구강스캐너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치과와 치과기공소에게 소통의 장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스킬 업 세미나’는 메디트 구강스캐너 사용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메디트 직원들이 직접 핸즈온 코스를 맡아 운영한다. 또 외부 강사진을 초청해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활용한 환자 상담법 등 다양한 노하우를 전달한다. 지난해 10월 첫발을 내딛은 ‘스킬 업 세미나’는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그 행보를 전국으로 넓혀가고 있다. 지난 5월에는 대구를 시작으로 지역 세미나를 시작하는 등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국한하지 않고 세미나를 추진, 보다 많은 유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등 다양한 치과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구강스캐너의 사용 프로세스를 배워가며 의견을 나누는 등 소통의 장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실제로 메디트는 세미나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신흥이 오는 9월 1일 개최되는 제15회 SID 2024에서 ‘evertis’ 임플란트 시스템을 공식 론칭한다. 신흥 임플란트는 수술 키트와 임플란트 디자인의 조화를 바탕으로 뛰어난 초기 고정력과 안정적인 식립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15회 SID 2024에서 short, extra-short 임플란트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며, 신흥 임플란트의 대표 제품 4가지(Luna S, Sola S, Stella, S-mono)도 SE, SI, ST, SM으로 각 명칭을 변경한다. 지난 2018년에는 제17회 대한민국 상품대상에서 ‘Luna S(SE)’가 우수성과 경쟁력을 인정받아 기술혁신부분을 수상한 바 있다. 특히 ‘SE’ 제품은 6년 누적 생존율이 99.86%, 10년 누적 생존율은 97%로 우수한 임상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evertis’는 전라인의 자동화와 대량 생산체제를 도입,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점을 뒀다. 신흥은 이러한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안산공장의 증축과 원주MST공장의 스마트화 정비 등 최신 설비 정보 시스템 구축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왔다. 지난 20년간 임플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움이 오는 8월 31일 광교 본사에서 ‘필러 & 톡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필러 & 톡신 세미나’는 덴티움이 벌써 네 번째 개최하는 필러 세미나로, 이미 치과계에서 큰 관심과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낸 바 있다. 세미나의 핵심 주제는 치과에서 필러를 활용한 구강 주변의 자연스러운 볼륨 개선과 보톡스를 활용한 클렌칭(clenching) 및 턱관절 장애(TMJ) 관리다. 치과치료의 심미적 측면을 넘어서 기능적 치료까지 포괄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이 연자로 나서 필러의 선택과 물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시연을 통해 시술 적용법을 소개한다. 세미나는 초심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전한 시술방법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필러 및 보톡스의 실제 시술사례와 실습을 통해 참가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15명의 소규모로 진행되는 세미나인 만큼,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심미와 기능적 시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덴티움 관계자는 “정성민 원장은 올해 3월 상하이에서 중국의 유명 성형외과 의사와 교수진을 대상으로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자체 연구개발한 서지컬(수술실) 테이블 ‘LUVIS(루비스) ST500’에 대핸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고 절차를 지난 8월 16일 마무리했다고 오늘(19일) 밝혔다. 서지컬 테이블은 수술테이블로도 불리며 수술 케이스 및 환경에 따라 집도의가 가장 이상적인 각도에서 수술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제품이다. ‘LUVIS ST500’은 덴티스가 전략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OR(수술실) 솔루션 사업을 통해 개발한 첫 제품으로 국내 최상급 사양을 갖췄다. 지난 1월 출시 이후 국내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인 KIMES와 미국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인 FIME 등 국내외 전시회에서 호평을 받으며 구매상담이 다수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수술등, 서지컬 테이블, 펜던트, 디스플레이 등 루비스 토탈 OR 솔루션은 이번 FDA 등록 이후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서는 한편 유럽 CE 인증도 빠른 시일 내 완료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회사의 사업 다각화 전략에 따라 새롭게 출시한 동요도 측정기, 무통마취기, 치과 유니트체어 등의 신제품들도 현재 FDA 및 CE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지난 8월 6일 베트남 홍방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트레이닝 코스’를 개최했다. 홍방치대 학생들은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네오 본사를 방문해 임플란트 생산 및 연구시설을 답사한 뒤 임플란트 강연과 함께 핸즈온 코스를 체험했다. 이날 강연을 맡은 허영구 원장은 ‘How to achieve anytime loading and Zero failure implant surgery’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면서 네오 제품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사례와 노하우를 공유했다. 또한 참석한 학생들에게 자신의 저서 ‘Minimally Invasive Sinus Surgery’를 전달하며, 앞으로의 학업과 실무에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의 말을 전했다. 이후 학생들은 ‘CMI drilling protocol practice corresponding to various bone quality’ 주제의 핸즈온 코스에 참가해 네오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코스에 참가한 한 학생은 “이번 트레이닝 코스를 통해 최신 임상 트렌드와 네오 제품의 우수성을 알게 됐다”며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신흥이 개최하는 임플란트 국제 심포지엄 ‘제15회 SHINHUNG IMPLANT DENTISTRY 2024(이하 제15회 SID 2024)’가 오는 9월 1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제15회 SID 2024의 주제는 ‘Everlasting Implant: a Brand-new Start’로 임플란트 식립 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특히 이번 SID 2024에서는 신흥의 새로운 임플란트 시스템 ‘evertis’를 선보인다. ‘evertis’는 신흥의 20년 임플란트 제조 노하우를 집약한 새로운 마스터 브랜드다. 현재 제15회 SID 2024의 사전등록이 한창이다. 사전등록은 DVmall에서 가능하다. 핸즈온의 경우 조기마감됐으며, 학술 등록만 가능하다. 학술 등록비는 7만원이다. SID 2024를 통해 모인 등록금은 (재)신흥연송학술재단을 통해 전국 치과대학에 기부될 예정이다. 제14회 SID 2023에 이어 제15회 SID 2024를연속 참여하는 경우 휴프리디 어트라우마이어 포셉을 증정한다. 다음은 SID 2024 김현종 조직위원장(가야치과병원)과의 일문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병원-약국 담합 등 위반행위 신고에 대한 포상금을 20%로 상향하고, 의약품 판촉업자(CSO)에 대한 정보처리 기준이 보완된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의 ‘약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9월 19일까지 입법예고했다. 개정안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약사법 위반행위 신고포상금 기준을 상향한다.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조제, 약국개설자와 의료기관 간 담합행위 등 약사법 제90조에서 정하고 있는 위반행위에 대한 신고포상금 상한 기준을 상향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신고포상금 지급 기준을 선고된 벌금액 또는 부과된 과태료의 10%에서 20%로 높인다. 보건복지부는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조제, 약국개설자와 의료기관 간 담합행위 등 약사법 위반행위에 대한 신고율 제고 및 건전한 약무질서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CSO 신고 관련 민감정보 처리에 대한 법적 근거도 마련된다. CSO에 대한 신고제 도입으로 약사법이 개정되면서 시장·군수·구청장 등이 CSO 신고 업무 처리 시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 자료(개인의 건강에 관한 정보, 주민등록번호 등이 포함된 자료 등)를 처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내
‘YK Link’를 처음 접한 계기와 장점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보철물의 탈부착이 용이한 SCRP 타입의 보철을 10여년 이상 사용하면서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 그러던 중 알게 된 ‘YK Link’는 그동안 느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보철이라 기대가 컸다. 물론 처음엔 크라운 이젝터(Crown Ejecter)로 보철을 제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반신반의하기도 했다. 실제 구강내에서 ‘YK Link’ 보철시술을 해본 결과, 걱정한 것과는 다르게 대부분의 환자들이 큰 불편을 느끼지 않았고 술자 입장에서도 어려움 없이 보철을 제거할 수 있었다. 특히 교합면에 홀이 없어 제한 없이 최적의 위치에 교합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또한 Cylinder Replica를 사용해 구강 외에서 잔여 시멘트를 정리한 후 구강 내에서 세팅하고 제거해보면 보철물 마진에 잔존 시멘트가 거의 남지 않아 매우 만족스러웠다. ‘YK Link’는 그동안 SCRP 보철을 사용하면서 아쉬웠던 점들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매력으로 다가왔고 기대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제품이었다. ‘YK Link’를 처음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