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이종호·이하 구강외과학회)가 주최하고 구강암연구소(소장 오희균·이하 연구소)가 주관한 구강암테마연수회가 지난달 5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대강당에서 개최됐다.‘재발 구강암의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열린 이번 연수회는 재발된 구강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경험과 최신 지견에 대한 내용을 담은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연수회는 먼저 구강암연구소장인 오희균 교수(전남치대 구강악안면외과) 및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장 이종호 교수(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의 개회사로 시작됐다.첫 번째 세션에는 김옥준 교수(전남치대 구강병리학교실)와 김슬기 교수(전남대 영상의학과), 정아리 교수(조선대 핵의학과) 그리고 팽준영 교수(경북치대 구강악안면외과) 등이 연자로 나서 구강암 재발의 생물학적인 고찰과 함께 재발 진단에 대해 심도 있는 지견을 각각 발표했다.두 번째 세션에서는 정웅기 교수(전남대 방사선종양학과)와 조상희 교수(전남대 종양내과)가 강연에 나서 재발된 구강암의 비수술적 치료와 그 결과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문성용 교수(조선치대 구강악안면외과), 명훈 교수(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 박주용 전공의(국립암센터 구강악안면외과)
서강대 지휴마노틱스 교육원이 오는 22일 서강대에서 ‘2016 교육원 임상세미나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휴노마틱스 교육원 이론과정과 임상세미나 베이직 코스 수강생 지원을 받기 전 지원자들을 위해 마련된 자리다.설명회는 Dr.Mitani Yasushi (Codomo Clinic, Japan)와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이자 지휴마노틱스 센터장인 최범규 교수가 설명회를 진행한다. Dr.Mitanio Yasushi는 악안면 성장치료의 개념을 발전시켜 RAMPA 장치를 개발한 재일한국인 치과의사다. 최범규 교수는 서강대 기계공학과에서 의료와 기계공학을 접목시킨 기계공학자다.이번 설명회는 상악 복합체를 전상방으로 이동시키는 RAMPA Therapy를 통한 성장기 체형교정, 성장 방향 등 증례를 통한 치아교정과 악정형치료의 역학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RAMPA 장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개골 변화의 관측이 악안면 성장치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도 풀어나갈 예정이다.◇문의 : 02-705-8639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대한구각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이종호·이하 구강외과학회)가 지난달 20일과 21일 양일간 몽골 울란바타르에서 열린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for the 20th Anniversary of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conjunction with Mongoli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이하 몽골학회)’에 참가했다.이번 몽골학회에는 구강외과학회를 대표해 이종호 이사장과 구강외과학회 산하 구강암연구소를 맡고 있는 오희균 소장이 참석해 강연을 펼쳤다.이종호 이사장은 ‘The outcome of micro-surgical repair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fter overfilling of the calcium hydroxide paste into mandibular canal’을 주제로 다뤄 호평을 받았다. 또한 오희균 소장은 ‘How to get successful outcomes with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에 대해 강연을
오희균 교수(전남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가 지난 12~ 14일 부여리조트에서 열린 54차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이하 악성재건학회) 총회에서 신임회장으로 선출됐다. 오희균 신임회장의 임기는 2년으로 오는 2017년 11월까지다. 오희균 신임회장은 취임과 관련해 “53년의 역사와 전통을 가진 악성재건학회의 수장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요구에 맞는 새로운 치료 분야를 연구 개발하고, 체계적인 교육과 연수회 등을 통해 우수하고 유능한 악안면성형재건외과의사들을 양성해 나가겠다”고 전했다.또한 그는 “활발한 국제적인 학술교류를 통해 학회의 국제적인 위상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오희균 신임회장은 전남대치전원장과 전남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아시아구강악안면외과학회 재무이사 등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치고 있다.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황순정·이하 양악수술학회)가 12월 12일 동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악교정수술 후 발생한 문제의 조기대처’를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학술대회는 △턱교정 수술 후 Relapse factor는 무엇이며 어떻게 control 될까?(임구영 원장·헵시바치과) △Orthopedic Tx in orthodontic surgery(손홍범 원장·이튼치과) △악교정수술 후 발생한 문제의 조기 대처-교정적 관점(김성식 교수·부산치대) 강연을 준비하고 있다. 턱교정수술은 수술 전 분석과 수술계획, 수술 전 준비와 수술과정의 여러 단계가 진행되면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악골과 저작근의 다양한 조건에 의해 수술 후 예측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는 분야. 양악수술학회는 이번 학술대회의 초점을 여기에 맞췄다. 양악수술학회 관계자는 “원치 않는 수술 직후 결과에 대해 가능한 조기에 적절한 대처를 하고 수술 후 합병증과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토론의 장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교정과와 구강악안면외과의가 함께 긴밀한 협진과 상호보완적인 방법을 찾아가는 학회의 특성을 잘 살려, 이번 학술대회에서도 양 측면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학장 김성교)이 주최하고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동문회(경구회)가 후원하는 ‘제16회 경북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학술집담회’가 다음달 4일 경북대 치전원 대강당에서 열린다. 2002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학술집담회를 개최해오고 있는 경북치대 구강외과학교실은 올해 16회를 맞았다.이번 학술집담회는 경북치대 이상한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차두원 원장(차앤백치과), 김종철 원장(미르치과), 최병호 교수(연세대원주의과대 치과학교실) 등이 연자로 나설 예정이다.집담회의 대주제는 ‘Application of CT in Dentistry’로 정해졌다. 강연은 차두원 원장의 ‘구강악안면 외과수술에서의 CBCT’, 김종철 원장의 ‘CBCT와 CAD/CAM의 융합을 통해 가상시술을 현실화하기’, 최병호 교수의 ‘Digital Implant Surgery’등을 통해 CBCT의 모든 것을 아우를 예정이다. 이번 강연은 대한치과의사협회 보수교육 2점이 인정되며 사전등록은 다음달 3일까지다.◇ 문의: 053-600-7551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이종호·이하 구강외과학회)가 지난달 25일부터 30일까지 호주 멜버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2차 국제구강악안면외과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COMS 2015)’에 참가했다.이번 ICOMS 2015에서는 이종호 이사장 및 김명진 전임이사장이 초청연자로 나서 큰 호응을 얻었으며, 이 밖에 구강외과학회 소속 교수 및 전공의 등 약 100여명이 논문 및 포스터 발표, 좌장에 참여하는 등 한국 구강외과학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렸다.이번 학회는 전 세계 구강외과학 석학 및 임상가들이 모여 다양한 연구실적과 수술 및 질환 관련 최신지견을 공유하는 자리로, 구강외과학회 또한 세계 구강외과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국내 구강외과학의 현재를 소개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ICOMS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구강악안면외과 관련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세계적인 학술대회로 1962년 1차 런던 학술대회 개최 이후 올해 22번째 학술대회를 맞이하게 됐다. 제22차 ICOMS에서는 구강악안면 분야의 종양, 외상, 안면기형, 임플란트, 악관절 등 다양한 석학들이 한자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회장 차인호·이하 악성재건학회)가 다음달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롯데부여리조트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이 주관한다.학술대회 대회장을 맡고 있는 권경환 교수(원광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는 “이번 학술대회는 앞으로 10년을 준비한다는 의미에서 ‘Preparation for next 10 years’를 대주제로 준비하고 있다”며 “치과계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반에 걸쳐 미래의 먹거리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추계학술대회는 이같은 문제를 고민하고 그 해결책까지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학술대회에서는 △Tissue Engineering △Implant △Navigation and Simulation Surgery △Trauma focused on Orbital Fracture 등 크게 4개의 심포지엄이 진행된다.Tissue Engineering 심포지엄에서는 이준 교수, 박기동 교수, 이승진 교수가 연자로 나서 조직공학의 미래를 제시하고, 임플란트를 주제로 한 두 번째 심포지엄에서는 대만의 Po-Chin Hsu 교수, 지영덕 교수, 김희진 교수, 프랑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이종호·이하 구강외과학회)가 지난 19일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제3과학관 국제회의장에서 ‘Technical Refinement in implant surgery’를 대주제로추계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이날 학술집담회는 총 6개 강연이 두 개 세션으로 구성돼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은 ‘Update of current technique and problem shooting in implant surgery’를 주제로 최동주 교수(한림대강동성심병원)와 김남윤 원장(김남윤치과) 그리고 김종엽 원장(보스톤스마트치과)이 연자로 나섰다.최동주 교수는 ‘Technical refinement of Guided Bone Regeneration’을 주제로 GBR 시 골이식재의 선택과 기준 등을 제시했고, 김남윤 원장은 ‘Minimally invasive Osseo-integrated implant and abutment screw removal’을 통해 임플란트의 기계적 손상과 관련된 증상에 대처하는 방법과 치료 실패에 따른 임플란트 제거방법, 특히 골융합된 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이 이를 해결하는 방법과 노하우를 전달했다.이어 김종엽 원장은 ‘Cau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이종호·이하 구강외과학회)가 지난 15일과 16일 양일간 충주 그랜드호텔에서 하계 워크숍을 개최했다. ‘구강외과학회의 발전 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번 워크숍에는 집행부 임원을 비롯해 구강외과학회지 편집위원과 역대회장 및 감사 등 총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1부 주제발표에 나선 김영균 편집위원장은 구강외과학회지의 현재 진행상황과 성과 등을 발표했으며, 구강외과학회 편집이사 이원 교수가 구강외과학회지에 도입된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2부 초청강연에서는 김현정 교수(고려대의과대)가 ‘체계적 고찰(메타분석)을 통한 논문 작성’에 대한 특강을 펼쳤다. 구강외과학회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구강외과학회지의 현 위상 및 등재 현황을 확인하고,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됐다”고 전했다.이종호 이사장은 “구강외과학회지 발전을 위해 애쓰고 있는 편집위원회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향후 구강외과학회지가 SCI(E), SCOPUS에 등재될 수 있도록 학회는 편집위원회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황순정·이하 양악수술학회)가 지난 18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2015년 정회원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악교정 수술에서의 삼차원 영상 모델 이용- 양악수술 후 상기도변화’를 주제로 한 김문기 과장(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의 강연으로, 학회 정회원들을 위한 깊이있는 학술 토론의 장이 됐다. 양악수술학회 측은 “최근 호흡과 관련된 악교정 수술 전후의 기도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관련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라며 주제선정이 이유를 전했다. 상기도의 변화를 삼차원 구조로 실제에 가깝게 분석할 수 있고, 이러한 삼차원 구조물에서의 공기 흐름을 유한요소 해석의 한 분야인 전산 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으로 분석함으로써 양악수술 전 후 상기도에서의 공기흐름 변화를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됐다.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수술 후 원활한 호흡을 고려한 턱교정수술에 대한 활발한 토론과 함께 앞으로 진행될 연구방향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한편, 양악수술학회는 1년에 2회 정회원만을 위한 학술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준회원 가운데에서도 일정 증례 이상의 임상경험을 가진 경우 위원회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교육연수원이 다음달 6일 서울대치과병원 B세미나실에서 턱교정수술연수회를 개최한다.‘수술 후 하악과두 변위 처치와 하악전돌 회귀현상의 극복’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연수회는 황순정 교수(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와 양훈주 교수(서울대치과병원 턱교정수술센터), 그리고 권대근 교수(경북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가 연자로 나설 예정이다.주최 측은 “이번 연수회에서는 하악상행지시상분할술을 이용한 턱교정수술에서 수술 후 발생하는 하악과두 변위와 하악 후방이동 수술 후 생기는 회귀현상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라며 “하악과두 변위와 회귀현상의 비수술적 처치방법에 대한 최신 지견을 학술적 근거와 임상경험을 통해 공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신종학 기자/sjh@sda.or.kr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치과(과장 김선종·이하 이대목동병원)이 주최하는 세미나가 다음달 3일 이화여대 포스코관에서 펼쳐진다.이번 세미나는 ‘성장기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치료해야 하나?’를 주제로 다양한 연자들의 강연이 이어진다.이날 첫 강연은성재현 前 경북치대 교수가 ‘반대교합의 조기치료 결과 장기관찰’을 통해 반대교합의 장기관찰에 대한 전반적인 증례를 소개, 공유할 예정이다.이어 이희주 원장(웃는내일치과)이 ‘청소년기 하악 과성장과 치료목표 설정’을, 박영철 前 연세치대 교수가 ‘미니 스크류(TADs)를 이용한 Ⅲ급 부정교합의 효율적 치료’로 부정교합 치료에 대한 견해를 전한다.등록마감은 오는 31일까지다.◇ 문의 : 02-2643-0276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학회장 차인호·이하 악성재건학회)가 지난 8일 단국대학교치과대학에서 ‘악안면재건을 위한 미세수술연수회’를 개최했다.이번 연수회에서는 지름이 1~2㎜ 정도 밖에 안 되는 혈관을 10바늘 이상 봉합해 이어주는 임상 술기 등 매우 미세한 부분을 다루는 수술기법이 강의와 실습을 통해 진행됐다. 이날 연수회는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이종호·이하 구강외과학회)가 함께 참여했으며, 연수회에는 양학회 산하 수련병원 조교수 및 펠로우, 전공의 그리고 해외 연수생 등 총 23명이 참가했다. 차인호 회장은 “미세수술은 아주 가느다란 혈관을 현미경으로 보면서 봉합하는 수술로 테크닉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러한 수술의 기본 술기를 제대로 배운 뒤에 혼자서 계속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본 연수회의 목적”이라고 전했다.또한 그는 “우리 세대만해도 이 같은 미세수술은 외국에 나가서 배워야 했지만 지금은 악성재건학회와 구강외과학회가 함께 진행할 수 있게 되어 감개무량하다”고 덧붙였다.미세혈관 수술은 악안면 부위와 구강 조직이 종양 절제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해 결손이 생겨 인체의 다른 부위에서 혈관, 신경, 뼈, 근육. 피부 등을 포함하는 조직을 채
대한구순구개열학회(회장 김종열·이하 구순구개열학회)는오는 27일 부산 디오 본사 대강당에서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한다.‘Lifetime management of CLP’를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구순구개열 보험정책에 관한 고찰 및 조망’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릴 예정이다.심포지엄에서는 신호성 교수(원광치대)가 ‘구순구개열 교정치료와 국민건강보험 중기 보장성 강화 계획’을 다루고, 일본의 Saga Medical School의 Massa ki Goto 교수가 일본의 구순구개열 보험제도에 대해 설명한다.이어 김경원 교수(충북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와 정주령 교수(연세치대 교정과)가 구순구개열 수술 관련 보험제도와 교정관련 보험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의견을 나누게 된다. 이 밖에 학술대회에서는 일본 도쿄치과대학의 Teruo Sakamoto 교수와 차봉근 교수(강릉원주치대)와 김유미 교수(부산치대) 등이 구순구개열 환자 치료에 대한 학술적 임상적 지견을 펼친다.마지막 특강에서는 가야대 언어치료학과의 김성 교수 ‘언어와 기호’에 대해 강연할 예정으로 기대를 모은다.◇문의 : 055-360-5153신종학 기자 sjh@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