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주과학회(회장 이영규·이하 치주과학회) 2014 춘계학술대회가 지난 18~19일 양일간 천안 상록리조트에서 개최됐다. 전국 치과대학 치주과 전공의 등 3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What do we need to learn?’을 주제로 단국치대 치주과학교실 주관으로 풍성하게 마련됐다. 치주학의 ‘기본’에 충실한 강연으로 연자와 연제를 구성해 전공의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 학술대회 첫 날인 18일에는 치주치료의 최신 경향을 알아볼 수 있는 시간으로 할애, 각 교육 수련기관 전공의들의 임상증례 발표로 관심을 모았다. 오후에는 김태일 교수(서울치대)가 치주과학술지 JPIS 투고 전략에 대해 강연해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전공의 포럼으로 시작된 학술대회 둘째 날은 Debate 형식을 도입, 같은 주제에 다른 의견을 가진 전공의들의 활발한 토론으로 임상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도왔다. 또한 △Considerations in implant dentistry △Successful dental treatment 등 두 가지 대주제로 진행돼 학문적인 깊이를 더했다. 자연치의 유지-관리 및 처치, 어드밴스된 치주처치의 방향, 임플란트의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이영규·이하 치주과학회) 춘계학술대회가 다음달 18~19일 천안 상록리조트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치주과학회 춘계는 전국 치과대학 치주과 전공의들의 임상증례 발표는 물론 상호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전공의 포럼을 처음 선보이며 보다 풍성한 학술향연을 예고했다.학술대회 첫날인 18일은 오후 2시부터 전공의 임상증례발표와 JPIS/SCI 학술지 투고 전략에 대해 김태일 교수(서울대 치주과)가 노하우를 전수한다.또한 6시 이후에는 각 대학 전공의들이 한 자리에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전국의 치주과 전공의들이 함께 하는 시간은 각 대학의 특성을 공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많은 학술-친목 교류가 가능케 하고 있다.둘째 날인 19일에는 오전 시간은 전공의 포럼으로, 오후에는 두 가지 주제의 심포지엄으로 구성돼 있어 전공의는 물론 지역 개원가의 관심도 불러 모을 전망이다.‘Considerations in implant dentistry’를 주제로 진행되는 심포지엄Ⅰ은 △임플란트 수술 시 고려해야 할 해부학적 구조물(박종태 교수·단국치대 해부학교실) △임플란트 식립 시 발생한 신경손상의 치료(변진석 교수·경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이영규·치주과학회)가 눈에 띄는 성과와 학술활동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치주과학회는 최근 분과학회 최초로 연보를 발간했다. 첫 선을 보인 2011~2012 연보는 2년 간의 학회 활동을 충실히 담아냈다. “3년 전 학회 50주년을 기념해 50년사를 만들면서 불거진 자료 분실 등의 안타까운 상황을 반복하지 않게 위해 연보를 발행케 됐다”고 밝혔다. 구영 편집위원장은 “기록되지 않은 과거는 역사가 아니다”면서 “이를 통해 회무가 더욱 투명해지고 정확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번에 발행된 연보는 책자와 전산자료 형태로 제작됐으며 회원은 물론 관계기관, 국립도서관 등 주요기관에 배포돼 학회의 위상을 제고하는 계기가 됐다.치주과학회는 또 3월 24일 ‘잇몸의 날’을 맞아 라디오 공익광고를 1주일간 진행하는 한편, 잇몸의 날 기념식을 가졌고, 재능기부행사로 ‘사랑의 스케일링’을 진행해 치과계 안팎의 관심을 모았다.상반기 최대 행사가 될 춘계학술대회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오는 4월 18~19일 천안 상록리조트에서 개최되는 춘계학술대회의 주제는 ‘What do we need to learn’, 올해 처음으로 전공의 포럼을 선보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을 통해 실전 감각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는 ‘四人四色(사인사색) 실전 치주 연수회’가 오는 15일부터 총 6회에 걸쳐 신흥연수센터 및 목동예치과병원에서 진행된다.이번 세미나는 김도영 원장(김전치과)과 김현종 원장(가야치과), 이학철 원장(목동예치과병원) 그리고 김영성 교수(서울아산병원 치주과) 등 4명의 연자가 모여 각자의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가감 없이 펼쳐낼 것으로 보인다. 사인사색 치주 연수회는 이미 지난 3차례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치주 관련 손꼽히는 연수회로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최 측은 “어떤 치료라도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치주적인 고려가 필요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체계적인 연수회는 흔하지 않아, 사인사색 연수회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세미나는 이전 세미나와 마찬가지로 진료실에서 항상 접하게 되는 치주질환에 대한 꼼꼼한 강의는 물론, 연자들의 개별 지도하에 1:1 실전 실습이 진행될 예정이다.비외과적 치주치료, 수술, 그 외의 환자 동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부분들과 다른 분야와의 접목 등 치주치료의 전반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특히 마네킨, pigjaw, clin
(주)가이스트리히코리아가 주최하고 대한치주과학회가 후원한 Mariano Sanz 교수(마드리드 Complutense대학) 초청 특별 핸즈온 실습 강연회가 지난달 23일 그랜드 힐튼호텔에서 개최됐다. 치주과학회 학술대회장에서 펼쳐진 이번 핸즈온 코스에서는 구기태 교수(서울치대)와 정의원 교수(연세치대), 박정수 전임의(경희대치과병원) 등이 수퍼 인스트럭터로 핸즈온 코스 진행을 함께 했다. Sanz 교수는‘Soft tissue plastic techniques’를 대주제로 치주수술의 최신 임상 술식을 4시간여에 걸쳐 전달했다.먼저 이론 강연에서는 ‘Surgical skills in soft tissue plastic techniques’를 주제로 △Soft tissue augmentation techniques for augmenting the width of keratinized tissue △Root coverage techniques the treatment of localized gingival/mucosal recessions 등에 대해 강연했다.강연 후에 이어진 핸즈온 실습에서는 이론 강의에서 다뤄진 내용에 관해 connective tissue gra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이영규·이하 치주과학회) 2013 종합학술대회가 700여명 회원들의 성원 속에 지난달 23~24일 양일간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개최됐다.‘I am a periodontist’를 대주제로, 치주과의 자부심과 긍지를 되새겨보는 시간으로 마련하겠다는 취지대로, 이번 학술대회는 치주학의 기본부터 다양하고 깊이있는 내용, 그리고 새로운 시도를 선보여 관심을 모았다. 학술대회 첫날인 23일에는 전공의 임상연구와 논문발표를 시작으로 일본치주병학회의 회장인 도쿠시마대학 Toshihiko Nagata 교수가 치주병과 당뇨병과의 관계에 대한 특강을 진행했다. 또한 USC대학 Homma Zadeh 교수는 치주조직 재생에 조직공학을 이용하는 방법과 이를 임상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생생한 임상증례로 설명해 관심을 모았다. 이 외에도 ‘치주관점에서 바라본 복합치료’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진행돼 깊이를 더한 풍성한 학술대회가 됐다. 이튿날인 24일에는 ‘부족한 잔존골에서 임플란트 치료전략(임상증례 중심으로)’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Mariano Sanz 교수가 임플란트와 자연치 주변의 soft tissue management에 대한 특강, 인정의포럼,
김도영 원장(김전치과), 김현종 원장(가야치과), 이학철 원장(목동예치과병원) 그리고 김영성 교수(서울아산병원) 등 4명의 연자가 한 자리에 모여, 각자의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가감 없이 펼쳤다. 바로 신흥이 후원하는 ‘사인사색(四人四色) 실전 치주 연수회’가 진행된 것.지난 10월 19일 시작해 총 6회로 마무리된 이번 연수회는 이번이 세 번째로, 이전 연수회보다 업그레이드 된 커리큘럼으로 진료실에서 항상 접하게 되는 치주질환에 대한 꼼꼼한 강의와 실습교육이 이어졌다. 특히 이번 사인사색 실전 치주 연수회에서는 비외과적 치주치료, 수술, 그 외의 환자 동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부분들과 다른 분야와의 접목 등 치주치료의 전반에 대한 강의가 진행됐다. 연수회 1회차에서는 전반적인 개념과 코스 소개를 시작으로 치료계획이 진행됐고, 2회차에서는 △Periodontal examination △Instrumentation △Antimicrobials 관련 이론 강의가, 실습에서는 △치주낭 측정/charting △Root planning unit chair △Root planning 치아 △Root planning 마네킨 등이 다뤄졌다.지난달 2일 3회차에서는 △Fu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이영규‧이하 치주과학회) 제53회 종합학술대회(대회장 조기영)가 오는 23~24일 양일간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치주과학회는 지난 2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I am periodontist’를 주제로 내건 만큼 치주과 본질에 충실하면서도 치주과의사로서의 역량과 자부심, 긍지를 고취시키는 계기로 만든다는 계획을 밝혔다. 치주관점에서 바라본 복합치료와 임상증례를 중심으로 부족한 잔존골에서 임플란트 치료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한 깊이있는 고찰이 이뤄질 예정으로, 3명의 해외연자와 다양하고 깊이있는 강연이 준비돼있다. 학술대회 첫날인 23일에는 일본치주병학회 회장인 Toshihiko Nagata 교수가 나서 치주병과 당뇨병의 관계에 대한 특강을 펼친다. “당뇨병성 치주염의 치은열구액에서의 maker로 진단을 입증하는 흥미로운 강연으로, 기존에 접했던 이 분야 강연보다 한 단계 진일보된 연구성과를 경험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학회 측은 소개했다. 이어지는 Homma Zadhe 교수의 특강은 치주조직 재생에 진전된 방법으로 조직공학을 이용하는 방법과 이것을 임상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주며 관심을 끌어모을 전망
지난 9월 6일부터 총 6회에 걸쳐 진행된 메가젠 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의 ‘Perio Master Course’가 지난 18일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이번 Perio Master Course는 학문적 이론에서부터 접근해서 진료 현장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임플란트 치주학에 대한 노하우까지를 다뤘으며 매회 강의 후 실습을 통해 점검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메가젠 측은 “1:1 실습 위주의 강연으로 만족도가 높았을 것 같다”며 “개원가에서 필요한 강연과 실습위주의 강연을 앞으로 계속 준비해나가겠다”고 전했다.◇문의 : 02-3014-7840김희수 기자G@sda.or.kr
가이스트리히 코리아가 주최하는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고수들의 임상 노하우’ 핸즈온 코스가 다음달 3일 부산치과의사신협 세미나실에서 개최된다.이번 핸즈온 코스는 김창성 교수를 비롯한 이중석 교수와 김민수 교수 그리고 임현창 강사 등 연세대치과병원 치주과 멤버들이 팀을 이뤄 상악동 거상술 등에 관한 임상 노하우를 가감없이 공개할 예정이다.먼저 ‘Sinus Graft 임상 노하우’ 세션에서는 sinus graft의 시술 방법인 lateral approach와 crestal approach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안전한 sinus graft를 하기 위한 anatomical issue에 대한 이해와 비교적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해결책 및 이를 미연에 저지할 수 있는 예방책까지 상세한 노하우를 전할 예정이다.궁극적으로 성공적인 sinus graft를 시행하기 위한 △material for sinus graft △기수의 선택 △골이식재의 선택 등도 다뤄진다.이 같은 과정이 모두 진행된 이후에는 핸즈온으로 lateral approach 및 crestal approach 등 sinus graft 실습교육이 이어질 예정이다. 또한 ‘환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이영규·이하 치주과학회) 제53회 종합학술대회가 한달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11월 23~24일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홀에서 펼쳐질 이번 종합학술대회의 주제는 ‘I am periodontist’다.첫날인 23일에는 임상연구발표를 시작으로 Toshihiko Nagata 교수(도쿠시마대 대학원)와 Homma Zadhe 교수(Southern California대학교)의 해외연자 특강과 ‘치주관점에서 바라본 복합치료’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이어진다. 심포지엄은 치주교정-치주 및 심미적 문제가 있는 환자에서 치주치료와 교정치료를 병행해 자연치를 보존하고 심미 및 예후를 개선한 증례부터, 임플란트 인접 치아에 대한 치주-엔도 comprehensive treatment 등 복합적인 치료에 대한 4가지 강연이 준비돼 있다. 둘째 날에는 ‘부족한 잔존골에서 임플란트 치료전략(임상증례를 중심으로)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으로 포문을 열며, 임성빈 교수(단국치대), 김진선 원장(미소모아치과), 김도영 원장(김전치과)이 연자로 나선다. 이 외에도 학회 인정의 포럼과 스페인 Mariano Sanz 교수의 특강이 2시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어서 관심을 모은다. Mar
(주)가이스트리히코리아(이하 가이스트리히)가 다음달 12일 서울 역삼동 세미나실에서 ‘제3회 가이스트리히 코리아 연조직 재생 연수회’를 개최한다. 자가연조직 대체재를 이용하는 연조직 재생술을 다루는 이번 연수회는 올해 들어 세 번째로 열리는 것으로, 지난 2회 연수회 모두 성황리에 마무리 된 바 있다.연조직 재생연수회는 허익 교수(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를 비롯해 신승일 교수와 박정수 전임의(경희대치과병원) 등 경희치대 치주과 멤버들이 연자로 나서고 있다. 이론교육을 바탕으로 실습위주의 교육이 진행될 이번 연수회에서는 ‘Surgical procedure to widen the keratinized mucosa and cover the recessed root’를 주제로 다룰 예정이다.이론 교육 이후 진행될 핸즈온 실습에서는 돼지 턱뼈를 이용해 Mucograft짋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실습에서는 치은 증대술과 치근 피개술 등이 다뤄질 예정이다.치은증대술 및 치근피개술은 대부분 CTG(Connective Tissue Graft), 혹은 FGG(Free Gingival Graft) 술식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수회에서는 3D-Collagen Matrix
김도영 원장(김전치과)과 김현종 원장(가야치과) 그리고 이학철 원장(목동예치과)과 김영성 교수(서울아산병원 치주과) 이상 4명의 연자가 진행하는 ‘四人四色(4인4색) 실전 치주연수회’가 다음달 19일부터 총 6회에 걸쳐 신흥연수센터 및 목동예치과병원에서 진행된다.4인4색 실전 치주연수회에서는 김도영 원장, 김현종 원장, 이학철 원장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합류한 김영성 교수 등 4명의 연자가 한 자리에 모여, 각자의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가감 없이 펼쳐 낼 예정이다.세 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연수회는 비외과적 치주치료, 수술, 그 외의 환자 동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부분들과 다른 분야와의 접목 등 치주치료의 전반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며, 마네킨, pigjaw, clinical photo taking 실습을 비롯해 live practice까지 다양한 방식의 실습도 준비돼 있다.다음달 19일과 20일 첫 세미나에서는 △Introduction과 치료계획(Nonsurgical vs surgical, extraction etc) △Periodontal examination △Instrumentation △Antimicrobials 등 이론 강의와 △치주낭 측정/chart
대한치주과학회(회장 이영규·이하 치주학회)가 제3차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지난 11일 경희대학교에서 열린 학술집담회는 ‘Periodontal treatment in the future’를 주제로 한 신승윤 교수(경희치대 치주과)의 강연과 ‘10 years of experience in sinus augmentation’을 주제로 한 김재석 원장(명동루덴치과)의 강연으로 진행됐다. 신 교수는 치주치료의 시대적 흐름과 줄기세포를 이용한 미래의 치주치료를 진단하는 시간을 만들어 호평을 얻었으며, 김재석 원장은 상악동거상술 환자 통계를 통해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계기를 만들어 관심을 모았다. 한편, 학술집담회에 앞서 진행된 정기이사회에서는 오는 11월 23~24일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개최되는 제53회 종합학술대회(대회장 조기영) 최종 학술프로그램에 대한 검토가 이어졌다. 또한 지난 3~4일 일본 나라현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치주학회 학술대회 참가 결과보고와 2017년 대회를 유치한 데 따른 준비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치주와 임플란트의 상관관계를 엿볼 수 있는 장이 펼쳐졌다.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원장 박준봉·이하 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주임교수 정종혁)과 경희치대 OB회(회장 민원기·이하 K-Perio)가 공동 주최한 ‘제2회 치주과학교실 하계학술대회’가 지난 1일 5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희대학교 청운관에서 열렸다. ‘치주치료와 임플란트’를 대주제로 설정한 이번 학술대회는 임플란트 치료 시 발생하는 치주질환 문제를 살펴보고, 질의 응답을 통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자와 참석자가 함께 탐구하는 학술토론의 장이 됐다. 특히, 임상초보를 위한 오전 강연과 숙련자들을 위한 오후 강연으로 나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각각의 수준에 맞는 강의를 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참가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치주질환과 임플란트 상관관계에서 연조직 처치가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민원기 회장은 “이번 2회 학술대회는 참가자의 수준에 따른 연제 설정 및 연자 섭외를 진행했다”며 “젊은 개원의나 치주를 접하지 못한 타 전공 치과의사들에게 자신이 소화할 수 있는 치료범위를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이어 “앞으로는 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