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5)

URL복사

수평성_제주를 다르게 바라볼 수 있는 곳들

제주하면 맑고 푸른 하늘, 끝없이 펼쳐진 바다, 청정의 자연이 생각난다. 이번엔 조금 다르고 독특하게 경험해보자. 제주의 수평성. 우리가 도시에서 가장 많이 보는 수직성 말고, 서울에서는 보기 어려운 다양한 수평성을 느껴보자.


틈새로 보이는 수평성

 

 

한국에 뮤지엄 산(SAN), 재능교육 본사, 지니어스 로사이(Genius Loci) 등 다양한 건축을 설계한 안도 다다오. 그의 작품인 제주 섭지코지의 글라스 하우스(Glass Houe)1)는 언뜻 보면 일본 고베의 아와지 유메부타이(Awaji Yumebutai)와 유사하나, 제주 자연과 관련된 특유의 건축어휘들을 펼친다. 끝없이 펼쳐진 제주의 바다를 두 팔 벌려 품은 듯한 건축공간에 경사진 정원 그리고 글라스 하우스 건물 사이로 바다를 볼 수 있다. 건물 틈새로 바다의 수평선이 보인다니, 엄청난 틈새다[그림 1].


안개 사이로 보이는 수평성

 


현상설계를 통해 간삼건축이 설계한 제주특별자치도립미술관2)은 산중턱에 자리하여 하늘, 한라산, 억새들이 어우러진 제주의 자연과 함께하는 조용하면서도 열린 공간이다. 단순한 기하학적 입방체가 대지와 만나면서 분할되고 미술관 외관이 면과 프레임으로 분화되어 제주를 담아낸다. 비오는 날 버스 타고 미술관을 가보니 방문객 없이 한적한데 미술관 입구 수공간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 사이로 미술관 앞쪽의 수평 프레임만 눈에 띈다. 미술관은 나에게 평소 강한 인상의 노출콘크리트는 가리고 완전히 새로운 자신만의 수평성을 드러내 보여주었다[그림 2].


단순한 매스의 수평성

 


이로재 승효상 건축가가 제주에 남긴 건축물 중 감자(지슬)창고 애칭이 붙은 서귀포시 대정읍 추사관은 제주에서 눈여겨봐야 할 건축이다.3) 이곳은 제주 유배생활에도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노력으로 성취한 학문과 예술의 결과인 세한도를 건축의 모티브로 표현하였다고 한다. 건물 주변의 땅을 옛 성벽까지 비우고 소박한 재료로 추사의 이미지를 반영했고, 관람객들이 지하의 입구와 전시실을 거쳐 추사적거지 앞마당으로 연결된 지상으로 나오도록 설계됐다. 단순하고 투박해 보이는 기다란 오각형의 매스, 지붕선을 연장하면 수평의 가상선이 한라산까지 닿을 듯하다[그림 3].
 

수평의 전망대

 


 제주시 원도심 산지천 포구 끝자락에 있는 김만덕 기념관 맞은편에는 지그재그 모양의 건축물인 산지천 산포광장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전망대는 2017년 제주 문화도시 조성 공모사업으로 제주시 도시공간 청년기획단 1기의 결과물이다.4) 결과에 대한 평가는 나누어지는데 모양이 복층 주차장과 비슷하고 주변 건물들에 비해 높지 않아서 전망대로서 역할에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고 한다.5) 그러나 건너편에서 바라본 전망대는 수직성의 대표인 전망대가 수평성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는 아이러니한 사실만으로도 높은 평가를 주고 싶다[그림 4].


수평을 걷는다

 


마라도는 제주와는 또 다른 수평성을 볼 수 있는 장소다. 어디서나 보이는 바다, 파노라마 조망, 바람, 낮게 깔린 자연, 군데군데 있는 작은 건축들, 어디를 가도 내가 중심인 듯 모든 공간이 나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수평성의 극치가 나타난다. 눈높이에서 바라보이는 주변 환경이 수평을 형성하면서 360도 열려 있는 공간. 그 공간 사이로 난 길을 걸어가는 동료의 뒷모습과 그 주변에 작은 마라도 성당6)과 등대. 눈에 보이는 하나하나가 얼마나 또렷한지 마라도의 수평은 사물을 보는 내 눈을 새롭게 틔운다. 존 버거(John Berger)의 ‘Horizon(지평)이 뒤섞이기를 바랍니다’7)라는 말이 떠올랐다[그림 5].

 

 

※주석
1. https://www.phoenixhnr.co.kr/static/jeju/architecture/glass-house
2. http://www.gansam.com/g_style/human_view/index/75/
3.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2564
4. https://blog.naver.com/km643/221128131472
5.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9273
6. https://cafe.naver.com/catholicmarado
7. https://blog.naver.com/chichifree/221798496042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우울과 불안의 관계
우울과 불안은 현대인 심리적 고통의 양대 산맥으로 불린다. 물론 개개인으로 접근하면 성격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와 민감도의 차이는 있으나 양상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과거에 대한 집착은 우울을 만들고,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이 불안을 만들어낸다고 알고 있다. 우울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불안은 늘 우울을 유도하기 때문에 우울 속에 불안이 포함되는 관계다. 진화심리학에서는 우울과 불안을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 긍정적인 시각으로 파악한다. 인류가 탄생하고 좀 더 많이 우울하고 불안한 자들이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런 성향이 결국 DNA 속에 내재되었다. 인체가 감염되면 염증유전자가 발현되며 면역체계가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기분저하 유발 시스템이 가동된다. 우울모드로 진입되면 외부 활동을 중지하고 에너지 비축으로 회복에 집중하는 효과가 있다. 우울한 모습은 다른 사회 구성원들에게 구조 신호를 보내고 도움을 받는 데 유리했다. 개인적으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의 집중력을 높이고 위험 회피나 환경 적응에 도움이 되어 생존가능성을 높였다. 불안은 사회적 민감성을 높여서 집단 내에서 갈등을 줄이고 협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 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집

재테크

더보기

이스라엘-이란 분쟁 속 2025년 6월 원달러 환율 시황과 전망

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을 기습적으로 공습하면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금융시장이 빠르게 반응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 또한 민감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가와 달러인덱스의 움직임은 글로벌 투자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됐으며, 환율의 향후 방향성에 따른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도 높아졌다. 이 칼럼에서는 원달러 환율의 흐름을 글로벌 금리 사이클과 프랙탈 분석을 바탕으로 전망하고, 투자자들이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다뤄보려 한다. 2025년 6월 18일 현재 글로벌 경제는 금리 인하 사이클의 B~C 구간 후반부를 지나고 있다. 본격적인 경제위기 국면(C)의 진입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환율시장 역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필자의 지난 분석에 따르면, 경제위기 국면(C)의 시작은 2025년 4분기(10월 전후)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시기가 다가올수록 환율의 상승 압력도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과거의 금리 사이클과 환율 움직임을 분석해보면, 환율은 대개 경제위기가 본격화되기 직전에 급등하면서 이전 고점을 돌파하는 패턴을 반복적으로 나타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지난 두 달간 꾸준한 하락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