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20)

URL복사

쇼팽과 도시 공간

서유럽의 국가나 도시가 명확한 정체성을 가지면서 독자적인 문화가 강조되면서 발달한 것에 비해 동유럽의 경우는 도시마다 커다란 차이가 없고 유사하게 보인다. 물론 동유럽의 유사성에는 필자의 무지도 한몫한다. 냉전의 시대에 경제적 사회적 손실과 피해가 가장 컸던 땅인 만큼 복구도 더디고 오래 걸린다. 그러나 평화의 시대에 동참하면서 도시마다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 가면서 현대건축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비용의 문제로 개발이 늦어지면 오히려 전통이 남게 된다는 개발의 역설이 이곳에서도 어느 정도 적용되는 듯하다. 오래된 구도심과 새로 개발된 신도심의 적절한 조화는 많은 다른 국가에서의 실패를 타산지석 삼아 폴란드의 바르샤바는 그 어느 곳보다 아름답게 현대화하는 중이다.


구도심은 다 좋다

 


바르샤바 구도심의 비어 스트리트(Beer Street)에 있는 성 마틴 교회(St. Martin's Church)1)는 처음에는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바르샤바의 구도심은 프라하(Praha), 부다페스트(Budapest), 소피아(Sofia), 탈린(Tallin) 등 동유럽의 다른 도시와 유사한 분위기여서 큰 기대 없이 돌아다녔다. 그러다 교회를 지나서 다른 블록으로 가려고 몸을 돌리는 순간 눈에 들어온 교회 첨탑과 옆 건물의 가로등 그리고 건물 사이로 들어오는 햇빛에 의해 건물의 노랑과 붉은색이 마치 스푸마토(Sfumato) 기법처럼 퍼지면서 골목 분위기가 필자의 마음속까지 번지며 들어온다. 동유럽의 도시가 비슷하게 눈에 익숙하고 일상의 도시처럼 무뎌질 때 바르샤바의 구도심은 필자에게 최고의 장면을 안겨주었다[그림 1].


바르샤바 현대건축

 


바르샤바 구도심의 감동을 안고 다니다 보니 어느덧 바르샤바 대학교(University of Warsaw)2)까지 가게 되었다. 대학교는 유리 커튼 월(Curtain Wall) 도서관과 옥상정원 등 현대건축으로 가득 차 있어서 오히려 바르샤바라는 오래된 도시가 어색해 보일 정도이다. 어색함은 전쟁이 치열한 도시일수록 파괴된 곳이 많아 현대건축도 많고 새로운 건축이 자리를 잡는 데는 사람처럼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다가온다. 이곳의 건축은 기존의 장소를 고려하면서도 현대건축의 특징들이 잘 나타나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Collegium Iuridicum IV는 하부의 돌과 상부의 유리를 접목하여 전통과 현대를 조합하였다[그림 2].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이름만으로도

 


바르샤바 대학교 길 건너에는 코페르니쿠스 과학 센터(Copernicus Science Centre)3)가 있다. 강가에 낮고 넓은 상자로 램프를 이용하여 공간을 연결하고 입면은 수직의 다양한 패널을 사용하여 한눈에 봐도 최근 현대건축의 경향을 반영한 듯하다. 램프를 걸어 오르면 중간에 강 쪽을 파노라마 전망으로 접하게 되고 다시 돌아서 옥상까지 가니 데크와 옥상정원이 나타난다. 현대건축에서 사용하는 시각적 전망, 건축적 산책로, 연속성 등을 이용하여 좋은데 사용된 건축어휘들이 예측 가능한 것으로 이뤄져 아쉬웠다. 코페르니쿠스라는 이름만으로도 천체와 하늘과 우주를 느끼게 하는 그 어떤 상상력이 발휘될 듯한 공간이기를 바란다[그림 3].


 

피아노 건반 횡단보도

 

바르샤바 시내로 돌아오면 사회주의 국가였을 때 소련에서 일부러 사회체제의 선전을 위해 만들어진 문화과학궁전(Palace of Culture and Science)이 있다.

 

37층짜리 고층 빌딩으로 시내에서는 웬만해서는 다 보일 정도의 규모의 사회주의 건축양식이다. 시민들은 구 소련체제를 상징하는 건물을 보고 싶지 않을듯하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도로를 건너는데 건널목이 피아노 건반이다. 바르샤바에서 쇼팽은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로만 위로를 해주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상처받은 사람들 마음 구석구석을 위로해준다.

 

시내 바닥을 보면서 쇼팽 박물관4)으로 간다[그림 4].

 


동유럽도 최첨단으로 탈바꿈하는 중

 


바르샤바 중앙역 쇼핑몰인 즈워티 테라시(Zlote Tarasy:Golden Terraces)5)는 바르샤바를 대표하는 현대 상업시설이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지붕은 유리와 철골로 덮혀 있다. 이런 디자인은 설계와 시공 비용이 많이 들어 국가의 경제적 상황을 보는 척도로도 인식되기도 한다. 그래서 바르샤바에서 이런 상업시설을 볼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동유럽을 다니면서 느끼는 것은 현대건축 프로젝트가 많지 않지만 하나의 프로젝트가 한국이나 아시아에서의 프로젝트보다 심혈을 기울이고 고민을 더 많이 한 결과처럼 보인다. 미국의 상업건축을 주로 설계하는 건축가 존 저드(The Jerde Partnership)의 역작이라는 사실이 조금 아이러니하다[그림 5].

 

 

*주석
1) https://en.wikipedia.org/wiki/St._Martin%27s_Church,_Warsaw
2) https://www.buw.uw.edu.pl/en/
3) https://en.wikipedia.org/wiki/Copernicus_Science_Centre
4)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87XX41600218
5) https://en.wikipedia.org/wiki/Z%C5%82ote_Tarasy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나는 반딧불’의 위로가 지닌 의미
얼마 전 진료실 라디오에서 잔잔한 노래 하나가 들렸다. 얼핏 처음 가사가 들렸을 때 스스로 빛나는 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반딧불이라고 들렸다. 그래서 슬프다는 내용인 줄 알았는데 그 다음 가사가 알고 보니 자신은 개똥벌레였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빛나는 별이 아닌 줄 알았고 반딧불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그것도 아닌 개똥벌레였다면 엽기적이고 가학적이고 심한 우울한 가사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많은 대중들이 위로를 받는다고 하여 노래를 찾아보았다. 가사는 살다가 어느 날인가 스스로 하늘에 빛나는 별이 아닌 땅에 기어 다니는 개똥벌레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개똥벌레도 스스로 조그만 가치의 빛을 낸다면 누군가에겐 비록 작더라도 소중한 빛을 내는 반딧불일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내용이었다. 이 노래는 지난해 말부터 우울했던 대중들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다. 잔잔한 음률에 남성 가수의 담담하고 고즈넉한 목소리 톤으로 부른 ‘나는 반딧불’이다. 잔잔한 음률에 젖어서 찬찬히 가사 내용을 음미해보면 2·30대들의 아픔이 느껴진다.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하늘에서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