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10)

URL복사

중국이라는 대륙에서는 상상이 현실이 된다

웬만해서는 비교급의 형용사가 통하지 않는 곳. 대륙은 스케일만 큰 것이 아니다. 언어, 환경, 우리의 생각과 다른 생활양식 등 조금의 불편함을 받아들이면 그들의 역사만큼 쌓인 건축도시공간에 관한 재밌고 특이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상상 그 이상의 일들이 벌어지는 곳을 찾아가 보자.


명청시대 황궁과 붉은 담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영화 마지막 황제1)에서 어린 푸이가 하늘을 뒤덮은 노란천을 향해 뛰어가던 장면을 잊을 수 없다. 또 사방이 붉은 담으로 끝없이 막힌 자금성의 공간도 잊혀지지 않는다. 이제 베이징의 자금성은 박물관이다. 가보면 규모에 놀라고 몰린 관람객에 놀란다. 그러나 선양의 궁은 북경 자금성과 같은 명청시대 궁이지만 방문객은 적다. 느긋하게 왕궁 내부를 보는 것도 좋지만 주변의 붉은 담만으로도 어떤 곳인지 충분히 느껴진다. 혹시 겨울날 매서운 추위 속에 가로수 나뭇잎은 모두 떨어지고 앙상한 나뭇가지 그림자만 붉은 담에 비칠 때 방문한다면 영화 속 황제의 참담함을 약간이라도 공유할 수 있으리라. 모든 것에는 높았다, 낮았다 하는 사이클이 있다[그림 1].

 

왕징 소호와 주변거리

 


북경은 내가 아는 공간의 스케일과 다르다. 시내에서 지하철을 잘못 내려 한 정거장 걸으면서 후회했다. 북경 왕징 코리아타운 한복판에 마치 산봉우리 같은 현대건축이 들어섰다. 자하 하디드의 왕징 소호(Soho)2). 도시 블록 하나가 건물 하나다. 비가 거의 오지 않는 북경의 건물들이 빛 바랜 것처럼 왕징 소호도 황사와 먼지가 쌓여 오래돼 보인다. 소호 사거리에서 건물까지 걸어가려면 공유자전거의 파도를 넘어야 한다. 주황, 파랑, 노랑, 빨강 등 서로 다른 자전거의 색으로 회사를 구분하는 공유회사 자전거다. 영화 북경자전거 주인공 구웨이와 지안의 흑묘백묘는 이제 컬러가 되었다. 그런데 타고 다니는 자전거보다 거리에 거치된 것이 더 많아 보인다. 끝없이 펼쳐진 자전거를 보면서 지구를 살릴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곳은 건축도 물건도 사람도 너무 많아 탈이다[그림 2].


난징의 가슴 아픈 기억

 


한국인이라 그런지 상하이에 가면 임시정부청사에 가보고 싶듯, 난징을 가면 난징 대학살 추모관3)을 제일 먼저 가게 된다. 이곳은 강렬한 기하학적 형태의 단순한 현대건축이지만 내, 외부에 다양한 추모공간들이 마련돼 있다. 관람자의 동선에 따라 입구에서부터 놓여 있는 직설적인 형태의 조각들은 적나라하게 그 당시 고통의 소리를 지르는 듯하다. 난징의 추모공간은 이 공간을 중심으로 도시 전체로 퍼져나간다. 추모가 공간과 시간에 한정될 수 없을 만큼 그만큼 역사의 크기는 사람들의 가슴에 그리고 도시 전체에 담겨 있다. 비가 내려 낮게 가라앉은 하늘로 인해 더욱 가슴깊이 새겨진다[그림 3].


카지노보다 시대의 낭만을 앉아본다

 


마카오는 도박에서 컨벤션으로 전환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많이 바뀌었다. 그래도 마카오에 간다면 다들 의심의 눈초리로 쳐다본다. 그러나 마카오는 겉에서 보는 것보다 훨씬 낭만적이며 포르투갈의 영향으로 아시아 그 어디와도 비교할 수 없이 색다른 공간이 많다. 마카오 하면 떠오르는 랜드마크인 세인트 폴 성당은 누구나 다 아는 곳이다. 열심히 사진을 찍는 연인들과 관광객을 피해 느긋하게 계단 옆 그늘에 앉아있으면 낭만의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어온다. 남중국해 바다와 포르투갈 역사와 매케니즈 음식(Macanese Food)4)이 뒤섞인 특유의 향이 날라와 코끝을 자극한다. 낭만의 향이 낭만의 공간에 퍼진다[그림 4].


뭐든 모이면 뭔가가 된다

 


홍콩은 야누스와 같다. 낮과 밤, 현대건축과 이름 없는 폐허와 같은 건물. 세련된 사람들과 가난한 사람들. 그러나 홍콩은 적어도 가난함이 도시에서 자리를 잡아야 하는 상황인 듯 나름대로 각자의 공간을 형성한다. 숨이 막힐듯이 작은 공간들이 모여 거대한 공동주택이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삶이 겹쳐져서 세월의 옷을 입고도 꿋꿋하게 자신을 드러낸다. 2층 버스, 트램, 스타페리를 타고 거리를 다니다 만나는 익청맨션(Yick Cheong Building)5). 이 건물을 보는 순간 느껴지는 것은 폐허미라고 해야 할까? 건물 사이 작은 나무는 밀림보다도 더 커 보인다. 너무 많은 방문객들로 인해 이제는 개방하지 않는다. 트랜스포머4를 다시 보면서 공간을 느껴보는 수밖에 없다[그림 5].

 

 

※주석

1.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A7%80%EB%A7%89_%ED%99%A9%EC%A0%9C
2. http://www.onbao.com/dbria/sub.html?cd_com=1021507
3.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01847&memberNo=16605023&vType=VERTICAL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950990&cid=67006&categoryId=67007
5.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926971&memberNo=1969&vType=VERTICAL
너무 많은 방문객으로 이제는 개방하지 않는다. 꼭 이렇게 단체로 사진을 찍어서 남겨야 하는가…. 이제는 영화 덕분에 유명해져서 예전의 사람 중심의 공간이 아니다. 유명세는 어디나 치러야 하는가 보다. 홍콩 갈 때마다 혼자 즐기던 곳 하나가 사라졌다.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나스닥100 상승장 전망과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나스닥100 지수가 역대 최고치에 근접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그러나 신고가 경신 랠리의 이면에는 금리인하 사이클의 마지막 국면이라는 복잡한 변수가 존재하는 만큼,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앞으로 금융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핵심 요인은 연준의 금리 사이클이며, 이를 활용한 주기적인 자산배분 투자 전략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는 시점이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에 따르면, 현재 우리는 금리인하 사이클(B → C 구간)의 후반부에 위치해 있다. 이 구간은 위험자산이 가장 적극적으로 상승하는 마지막 랠리를 의미하지만, 동시에 향후 경제위기(C 이벤트)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계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2020년 3월 코로나 위기 당시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하가 대표적인 C 이벤트에 해당한다. 과거 경험상 금리인하 사이클이 대략 4~5년 주기로 프랙탈적으로 반복된 점을 감안하면, 유사한 시나리오가 다시 펼쳐질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과거 2023년 7~8월에 금리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4년 9월에 첫 금리인하(B)가 단행됐으며, 프랙탈 분석상 경제위기 C 이벤트는 2025년 말에서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