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논 단] 트위터, 페이스북?

URL복사

박준호 논설위원

일종의 사회현상 혹은 새로운 트렌드로 비춰지던 트위터와 페이스북. 그러나 어느 틈엔가 순식간에 우리 생활 속으로 파고들어 와 더 이상 낯설 것도, 새로울 것도 없는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예전 같으면 컴퓨터에 네이버나 다음, 네이트와 같은 포털사이트 화면이 띄워져 있을 테지만, 요즘에는 페이스북이 띄워져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고, 동료 치과의사들과 얘기하다 보면 ‘진료 중에도 틈틈이 과연 어떤 트윗이 올라왔는지, 누가 리트윗했는지, 담벼락에는 어떤 글들이 올라왔고, 누가 댓글을 달았는지, 좋아요를 눌렀는지 확인하게 된다’는 중독 비슷한 경험담도 들을 수가 있다.


블로그, 싸이월드에 이어 현재의 트위터와 페이스북까지, 소셜미디어들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물론, 손에 꼽을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이유들이 있겠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소통’을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꼽는다. 기술이 발전하여 장소와 상관없이 사람들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현대인들은 더욱 외로워지고 소통에 목말라하게 되었다. 핸드폰과 컴퓨터 문자 자판으로 이어진 인간관계란 진정한 소통이라기보다는 무언가 차갑고 표면적인 것으로 느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념을 깨뜨린 것이 바로 소셜미디어가 아닌가 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개인의 일상을 교류하고, 만나서 수다를 떨듯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되자, 이제 인터넷이 소통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많은 치과들이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해 환자와의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찌보면 누구보다 소통에 목말라하고 있는 사람들이 바로 환자들이기 때문이다. 치과에서는 아무리 노력해도 환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내줄 수 있는 시간이 한정될 수밖에 없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환자들이 궁금해하는 것에 답해주고자 하는 시도는 환영할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문제는 그 목적이 소통이라는 본질보다는 마케팅에 더욱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것이다. 할인과 이벤트, 홍보성 글과 내원 유도의 글들이 소셜미디어가 추구하는 소통을 방해하고 있고, 때문에 진실성과 신뢰라는 소통이 가져야만 하는 전제가 변질되고 있는 것이다.


환자들이 치과의사와 원하는 소통이란 무엇인가? 사실 이는 과거 10년 전, 20년 전, 훨씬 그 이전부터 변하지 않아왔다. 바로 ‘관심’이다. 환자의 상태에 대해 먼저 말을 걸어주고, 환자가 겪게 될 수 있는 고통에 관심을 갖고 적절한 조언을 해주는 것, 마음 속에 담아두었던 사소한 질문과 두려움을 서슴없이 꺼내어 놓을 수 있고, 또한 이를 해결해주고 감싸주는 것, 다시 말해 ‘환자 자체’에 대한 관심 말이다. 소셜미디어는 바로 그러한 환자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또한 환자가 그 관심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하나의 통로가 되어줄 것이다.


트위터, 그리고 페이스북을 통한 진정한 소통을 위해서는 정보전달이며, 홍보며, 마케팅, 그러한 복잡한 것들을 모두 떠나 환자와의 진심이 담긴 교류라는 하나의 목표가, 그 심플함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한번 고민해볼 일이다. 나는 지금 무엇을 전제로,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페이스북에 글을 남기고 있고, 환자의 글에 댓글을 남기고 있는가. ‘소통’이라는 소셜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자 본질이 훼손되지 않기를 희망할 뿐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8월 금리인하 사이클 후반부, 금 자산배분 전략

2025년 8월 현재 글로벌 자산시장은 금리 사이클의 후반부로 진입하면서 각 자산의 가격 흐름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미국 증시는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으며, 달러와 금, 미국채 등은 저점에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금은 이번 사이클에서도 핵심적인 안전자산으로서 의미 있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을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진단하고, 금 투자와 자산배분 전략을 어떻게 바라볼지 살펴보고자 한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은 금리 사이클을 여섯 구간으로 나누어 자산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한다. 현재는 금리 인하기(A~D) 중에서 B 이후 C로 향하는 구간의 후반부에 해당하는데, 이는 첫 번째 금리 인하가 시작된 이후 경제위기 국면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황이다. 이 구간에서 위험자산은 마지막 랠리를 펼치며 고점을 경신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최근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은 신고가를 기록하며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를 반영했다. 반면 금과 미국채, 달러 같은 안전자산은 아직 본격적인 반등 국면에 진입하지는 않았지만, 사이클상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곧 상대적 우위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사이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