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해 12월 26일, 서울대치과병원 승산강의실에서 2024년 제3차 학술집담회와 제64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206명이 등록한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허익 교수(경희치대)와 이동운 교수(원광치대)의 강연이 마련됐다. 첫 번째 연자인 허익 교수는 ‘Biologic width revisited’를 주제로, Biologic width(생물학적 폭경, 이하 BW)의 정의와 기원을 설명했다. BW의 기능은 ‘natural sealing’이라며, BW가 파괴되면 발생하는 문제점도 강연했다. 특히, 임상적으로 BW의 적용방법(Alternative passive eruption, Crown lengthening, Root trunk의 거리)을 설명해 관심을 모았다. 끝으로 임플란트에 대한 BW와 안정적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조건(D interocclusal distance에 대한 고려, D2 stage placement)도 소개했다.
두 번째 연자로 나선 이동운 교수는 ‘임플란트의 적절한 식립 깊이는?’을 주제로 강연했다. 임플란트 발전에 따라 식립 깊이에 대한 의견이 달라졌음을 설명하고, 임상적인 상황이 임플란트 식립 깊이의 변화를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D Bone level과 Tissue level를 다르게 접근, D Internal connection으로 subcrestal로 가능, D 인접치를 고려한 깊이, D supracrestal gingival thickness 고려, D Abutment-implant connection의 골흡수, D 상부보철물을 고려한 식립깊이).
학술집담회 이후에는 치주과학회 제64차 정기총회가 이어졌다. 치주과학회 계승범 회장은 “2024년 한 해 동안 학회의 성과와 발전을 위해 힘써준 임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총회는 2024년 치주과학회 부서별 활동을 정리하고, 회무, 재무, 감사보고 순서로 진행됐다. 이후 2025년도 시업계획 및 예산안도 검토했으며, 치주과학회 차기 회장인 설양조 부회장은 올해 포부를 밝히며 변함없는 성원과 격려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