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 11일 경희대치과병원에서 ‘제7회 치주질환과 NCD(Non-Communicable Diseases, 만성비전염성질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올해 컨퍼런스에는 145명이 등록하는 등 구강질환과 전신질환을 통합·관리하는 보건사업에 관심이 집중됐다. 첫 번째 연자로 나선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이지은 과장은 ‘제2차 구강보건사업과 구강-전신건강 통합건강 프로그램’을 주제로, 2차 구강보건사업의 중점은 ‘구강질환의 건강증진 및 전신질환과 통합관리’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보건소 내에서 구강건강과 전신건강 모두를 향상하기 위해, 일차 의료에서 구강질환과 전신질환을 통합 관리하는 모형 개발과 정책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현재 구강정책과에서 진행 중인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사업, 치과 맞춤형 감염관리 체계 확립사업, 한국 치과의사들의 해외 활동가능성 연구에 대한 설명도 있었다. 이어 서울대병원 조비룡 교수(가정의학과)는 ‘구강-전신건강 통합건강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서 연구목적 세 가지를 전달했다. 첫째, 일차의료에서 구강질환과 전신질환 통합관리 필요성 확인, 둘째, 구강질환과 전신질환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가 ‘제7회 치주질환과 비전염성만성질환(NCD)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11월 11일 오후 2시 경희대치과병원에서 개최되는 치주질환과 NCD 컨퍼런스는 ‘NCD와 관련된 구강·전신건강 통합건강 프로그램 개발’을 부제로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이지은 과장,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조비룡 교수, 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신승윤 교수가 강연한다. 햇수로 8년째 접어들고 있는 ‘치주질환과 NCD 컨퍼런스’는 심혈관 질환, 당뇨, 비만, 이상지질혈증, 호흡기 질환, 치매 등 여러 비전염성만성질환(NCD)이 치주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됐다는 사실을 검증하고, 치과계 및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사업이다. 올해도 치주과학회는 컨퍼런스에서 그간 NCD 관련 진행 사업을 보고하고, 구강-전신건강 통합건강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내용을 함께 토의할 계획이다. 치주과학회 관계자는 “학회에서 NCD 컨퍼런스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국가정책사업이 의과 분야의 일차 만성질환 관리사업에 치중돼 아쉬움이 있다”며 “지난해 치과와 의과의 개원가 협력 모델에 대한 보고서가 나왔고, 올해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 제63회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21일과 22일 양일간 과학기술컨벤션센터(이하 ST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Return to the basics : In-depth review of what we know’를 대주제로 기본의 자세에서 치주과학에 대한 원리와 치료를 살펴본 학술대회는 치주과학회 사상 역대 최다 인원이 등록하는 등 흥행가도를 달렸다. 치주과학회는 종합학술대회 성공 개최 요인 중 하나로 학술대회 장소 이전을 들었다. 계승범 회장은 “세종대 광개토관에서 올해 처음으로 ST센터로 장소를 옮겨 걱정이 많았지만,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나고, 세계적인 해외연자 동영상 강연 등 풍성한 학술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로 학회 사상 가장 많은 인원이 등록한 것으로 집계됐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학술대회 첫날 오전에는 전공의 연구와 임상증례 결과에 대한 구연발표가 진행됐다. GBR을 다룬 오후 심포지엄Ⅰ과 동시에 진행된 심포지엄Ⅱ에서는 ‘Soft tissue augmentation’을 소주제로 4명의 강의가 이어졌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다니엘 토마와 빈센트 롱코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푸르고바이오로직스(대표 윤창배·이하 푸르고)가 9월부터 점심시간에 치과를 방문해 골재생 이야기를 나누는 런치 세미나 ‘BoneTalks(이하 본톡스)’를 진행한다. 본톡스는 푸르고 골이식재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핸즈온을 통한 체험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푸르고 관계자는 “푸르고의 임상학술, 연구, 세미나팀 등에서 세미나를 신청한 치과로 직접 찾아가 점심 혹은 간식을 먹으며 맞춤형 미니 세미나를 진행하게 된다”며 “본톡스를 통해 골이식재 ‘THE Graft’ 등 대표제품에 대한 상세설명과 푸르고가 진행하고 있는 골 재생 연구 등 고객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푸르고는 치과 생체재료 전문기업으로 지난 20여년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개발한 제품을 전 세계 임상가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골이식재 단일품목으로 SCI급 논문 34편을 포함한 임상논문 50편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전하고 예지성 있는 제품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과 임상에 투자하고 있다. 런치 세미나 본톡스 신청 및 문의는 푸르고 영업 담당자 또는 세미나팀(070-4827-1577)으로 하면 된다.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 7일, 경희대치과병원 강당에서 약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제2차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특히 이번 학술집담회 주제는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ChatGPT’와 ‘인공지능 로봇’으로 시종일관 뜨거운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첫 번째 연자인 이재홍 교수(전북치대 치주과)는 ‘인공지능 챗봇, ChatGPT 연구영역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ChatGPT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와 prompt를 이용한 사용방법(Prompt, In-context learning, Hyper-parameter)을 다루고 아직 ‘hallucination 오류’와 같은 보완점도 다뤄 이목이 집중됐다. 특히 이재홍 교수는 연구영역에서 사용할 ChatGPT 버전과 구체적인 사용법을 설명하고, ChatGPT에 관련한 윤리적인 문제와 주의사항으로 강의를 마무리했다. 두 번째 연자로 나선 변수환 교수(한림대성심병원 구강악안면외과)는 ‘치과 인공지능 로봇 임플란트’를 주제로 현재 의료영역에 사용 중인 각종 로봇을 소개했다. 소프트 티슈 로봇(Da Vinci robot)과 하드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 제63회 종합학술대회가 10월 21일과 22일 양일간 과학기술컨벤션센터(이하 ST센터)에서 개최된다. 이번 종합학술대회는 ‘기본이 바로 서면 길이 생긴다’는 ‘본립이도생(本立而道生)’을 강조한 ‘Return to the basics:In-depth review of what we know’를 대주제로 삼았다. 학술대회는 소주제로 △경조직(GBR, Augmentation, Hard tissue) △연조직(Soft tissue augmentation) △전치부 심미 △General Dentist 세션 : KAP에서 배운다 △테크닉 세션 : 저는 요즈음 이렇게 합니다 등 다섯 가지 심포지엄을 준비했다. 특히 전치부 심미 분야의 세계적인 연자인 다니엘 토마 교수(스위스)와 연조직 이식에 있어 라이징 스타인 빈센트 롱코(프랑스)의 특강도 준비돼 관심을 모은다. 올해로 4회를 맞이한 ‘가치공감 토크콘서트’도 이어진다. 학부생, 인턴 및 공보의 등 치주과 수련 지원자에게 치주과학에 대한 이해와 진로선택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치주과학회 구기태 학술이사는 “이번 학술대회는 치주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종합학술대회가 스타 연자들과 함께 발치와 처치에 대해 A부터 Z까지 밀도 있게 다루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주임교수 신승일)은 경희치주임플란트연구회(회장 임상철·이하 K-PERIO)와 공동으로 ‘제9회 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종합학술대회’를 지난달 27일 경희대학교 청운관에서 개최했다. 사전등록 550여명, 현장등록 60여명 등 600명이 넘는 치과의사들이 참가한 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Star words’ 학술대회는 2019년 8회 대회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잠시 중단됐다가 4년 만에 귀환했다. 올해도 경희치대 출신뿐만 아니라 타교 출신 치과의사들도 대거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최 측 역시 큰 만족감을 표했다. “단일학교 단일과에서 개최하는 학술대회가 흔하지 않다. 동문들의 왕성한 활동과 모교와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통해 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의 위상을 높이고 학술대회가 치과계에 의미있는 명품 학술대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한 K-PERIO 임상철 회장은 “국내 최고의 연자진을 섭외해 ‘발치와를 바라보는 다양한 임상 접근’을 대주제로 치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학회) 제33회 춘계학술대회가 지난 15일과 16일 양일간 370명이 등록한 가운데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개최됐다. 양일간 개최된 치주학회 춘계학술대회는 전공의들의 연구와 임상증례 등이 구연발표로 진행돼 활력을 더했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 첫날인 15일에는 잇몸의날 기념식이 학술대회에 참가한 전공의 만찬과 같이 진행돼 학회의 전통적인 대국민 사업이 전공의들에게 각인되는 소중한 시간이 됐다. 춘계학술대회는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Periodontology’를 대주제로 다학제간 복합치료와 치주염과 전신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학술대회 대회장인 김원경 교수(서울아산병원 치주과)는 “이번 학술대회는 전공의 수련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지역 병원치과, 즉 서울성모병원, 이대목동병원, 서울아산병원이 힘을 모아 준비해 더욱 의의가 있었다”고 말했으며 구기태 학술이사 역시 “학술대회를 공동으로 준비한 3개 기관은 메디컬과 협진이 잘되고 다학제간 복합치료 노하우가 풍부해 어느 해보다 알찬 프로그램으로 준비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춘계학술대회에서 구연발표를 진행한 수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가 지난 1일 판교 사옥에서 5 Matrix 핸즈온 세미나의 마지막 5회차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조용석 원장(22세기서울치과병원)이 연자로 나서 ‘Essence of lateral approach sinus bone augmentation surgery’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조용석 원장은 “상악동은 발치와의 형태와 유사한 Self-contained defect에 가까우나, Defect가 아닌 해부학적 구조물이기 때문에 새로운 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악동막 거상을 통해 Defect를 형성해줘야 한다”며 상악동 골증강술의 기본원리를 설명했다. 더불어 상악동 골증강술을 위한 골이식재를 선택할 때는 좋은 결과와 가격, 편리성 등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며 푸르고의 ‘THE Graft’를 소개했다. 또한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달걀과 형태가 다른 네 가지의 상악동 덴티폼 모형을 이용해 다양한 상악동 골증강술을 공유했다. Crestal approach와 Lateral approach 뿐만 아니라, 조용석 원장이 직접 고안한 CLSBA 방식의 수술법을 소개하고 직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가 지난 25일 판교 사옥에서 5 Matrix 세미나의 4회차 ‘골재생을 위한 시간적 고려’를 개최했다. 이창균 원장(크리스탈치과)이 연자로 나서 환자의 defect 타입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시기를 정의, 골이식과 임플란트 식립 시기에 고민이 많았던 참석자들에게 명쾌한 해답을 제시했다. 세미나에서는 실제 임상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케이스들이 공유됐다. 특히 Incision 디자인부터 임플란트 식립과 GBR까지 수술 전 과정을 실습으로 진행해 이해를 도왔다. Granulation tissue graft와 Crescent Shape F.G.G.와 같은 치주 술식은 물론, Ti-mesh를 이용한 GBR 실습을 진행해 참석자들로부터 호평을 이끌어냈다. 이창균 원장은 “임플란트 식립과 골이식의 시기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임상 사진, 엑스레이 등을 이용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법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특히 전치부는 심미적인 성공도 중요한 만큼 Labial plate의 결손 여부는 임플란트 식립 시기에 있어서, 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가 지난 18일 판교 사옥에서 5 Matrix 세미나(3회차)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임플란트 주변의 Biologic Width 변연의 문제, 작지만 큰 경계’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는 민경만 원장(서울메이치과)과 유정훈 원장(서울동민치과)이 연자로 나섰다. 실제 임상에서 접할 수 있는 케이스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핸즈온도 실제 수술과 최대한 유사하게 만들어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당장 내일 임상에 적용 가능할 것 같다”는 평을 하는 등 높은 만족감을 내비쳤다. 민경만 원장과 유정훈 원장은 임플란트의 장기적 성공을 위한 임상 조건을 제시하며 세미나의 포문을 열었다. 그 중 임플란트 주변의 Biologic width는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이를 위한 다양한 치료법을 소개했다. FGG과 CTG의 이론적 방법을 설명한 후, 실제 돼지뼈를 이용해 생동감 있는 실습을 진행했다. 또한 Gingivectomy와 Root Coverage 같은 임상에서 꼭 필요한 치주 수술 테크닉을 단계별 설명을 통해 상세히 보여줬다. 세미나를 통해 전반적인 치주 술식을 모두 공유하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학회) 제33회 춘계학술대회가 오는 4월 15일부터 16일까지 양일간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개최된다.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Periodontology’을 대주제로 진행되는 춘계학술대회는 △임상증례 △특강 △심포지엄 등으로 구성됐다. 학술대회 첫 날인 15일에는 신현승, 임현창, 김용건, 유상준 교수가 각각 좌장으로 참여하는 임상증례가 진행된다. 마리아홀에서 진행되는 첫날 특강은 고영경 교수를 좌장으로 김성은 대표(알렉산더테크닉 코리아 디렉터)가 ‘알렉산더 테크닉, 내 몸 통증 없이 자유롭게 움직이기’를 강연한다. 이튿날인 16일에는 오전에 두 가지 특강이, 오후에 심포지엄이 마련돼 있다. 첫 번째 오전 특강은 방은경 교수를 좌장으로 박정원 교수(연세치대 치과보존학교실)가 ‘전치부 심미수복,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강연을, 이어서 안수진 교수(경희치대 치과보철학교실)가 ‘임플란트 틀니의 식립 전략, 어디에 몇 개 심지’ 강연을 준비 중이다. 오후는 김원경 교수를 좌장으로 한 ‘전신질환과 치주질환’ 심포지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의 2023년도 첫 번째 학술집담회가 지난 9일 서울대치과병원 강당에서 개최됐다. 첫 집담회였음에도 불구하고 206명이 참석하는 등 성황을 이룬 이번 학술집담회는 보존학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신수정 교수(강남세브란스병원 보존과)와 최근 연조직과 관련해 많은 강연을 하고 있는 박병규 원장(서울필치과)이 연자로 나섰다. 먼저 신수정 교수는 ‘왜 환자가 씹을 때 불편할까? 치아균열과 치근파절’을 주제로 임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지만, 해결하기 까다로운 치아균열과 치근파절에 대해 강연했다. 우선 균열치아와 치근파절을 구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치아균열 환자 내원 시 치료순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청중들의 열띤 호응을 이끌었다. 두 번째 연자로 나선 박병규 원장은 ‘임플란트 시대의 치은점막 수술’에 대해 수련의 때부터 현재까지 시행했던 여러 치은점막 수술 증례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했다. 특히, 치은퇴축이 된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술식과 가장 임상적으로 효율적인 방법을 소개해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한편, 치주학회는 앞으로도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치주과학회(이하 치주학회)가 제32대 계승범 집행부의 공식 출범을 알리며 힘찬 도약을 다짐했다. 치주학회는 지난달 2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반기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학회는 학술집담회·춘계학술대회와 제15회 잇몸의 날 행사 등 중점 사업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날 인사말에 나선 계승범 회장은 “코로나19 상황에도 치주학회는 국민의 치주건강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해왔다. 올해는 비대면 시대가 끝나고 일상 회복이 기대되는 만큼 그동안 위축됐던 국제교류를 활성화해 국제적 위상을 높이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이를 위해 △각 위원회를 중심으로 신·구조화를 이뤄 참신한 의견이 도출, 실현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온·오프라인을 통한 대국민홍보 지속 △NCD(Non-communicable Diseases: 만성비전염성질환) 컨퍼런스 등을 통한 정책역량 강화 △개원의를 포함한 비공직 회원들의 학회 참여 활성화 등 세부적인 실천 방안도 제시했다. 상반기 주요 일정을 살펴보면, 먼저 오는 9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제1차 학술집담회가 열린다. 학술집담회에서는 신수정 교수(연세대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단국대학교치과대학(이하 단국치대) 치주과학교실이 네오바이오텍 후원으로 지난 4일 임상전단계 실습실에서 학생 대상 임플란트 및 치주수술 핸즈온을 진행했다. 올해로 8회째인 학생 핸즈온은 신현승·이성조 교수, 강대영·김상민·공준형 임상교수, 이재민 전임의 및 전 의국원과 치주과 전문의인 김남윤 원장(김남윤치주과치과의원)이 본과 3학년 학생 64명에게 임플란트 및 치주수술 이론 및 실습을 각각 2시간씩 진행했다. 이번 핸즈온은 임플란트와 치주수술로 팀을 나눠 진행돼 집중도가 컸다. 임플란트 핸즈온 팀에서는 신현승 교수의 기초이론 강의 후 임플란트 기구 및 재료, 모델 등을 통한 임플란트 실습이 진행됐다. 치주수술 핸즈온 팀에서는 이성조 교수의 기초이론 강의에 이어 치주 모델 상에서 치주수술 실습이 시행됐다. 연수회 종료 후에는 survey 어플리케이션으로 교육 피드백을 시행, 교육 취지에 맞는 결과를 얻었는지, 개선사항은 없는지 등에 대한 진솔하고 깊은 토론이 이어졌다. 조인우 과장은 “이제는 너무나 당연한 임플란트와 관심이 점점 높아지는 치주수술에 대해 남들보다 한걸음이라도 더 나아간 술기를 가진 예비 치과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