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간치은의 염증지수를 파악하고, 치간칫솔을 처방하는 시스템인 ‘BOB score’의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큐라덴코리아가 지난 11일과 12일 양일에 걸쳐 심화 세미나를 진행, 첫 P1 스페셜리스트를 배출했다. P1 스페셜리스트는 ‘BOB score’ 앱의 임상활용법을 정확히 배우고, 이를 임상에 도입할 수 있도록 도울 자격이 부여된 치과위생사다. 이들은 앞으로 BOB score 앱을 도입하려는 치과에 직접 방문해, BOB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 환자에게 치간칫솔을 처방하고 염증개선상태 등을 환자와 소통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P1 스페셜리스트를 양성하는 국제적인 교육자로 활동하게 된다. 큐라덴코리아는 ‘BOB scrore’ 앱을 국내에 출시하기에 앞서, P1 스페셜리스트 양성하기 위해 지난 7월 1차 세미나에 이어, 심화세미나를 진행했다. 이틀에 걸친 강의와 실습은 영국 치과위생사인 Thedora Little과 큐라덴코리아 자문의인 박창진 원장(미소를만드는치과)이 진행했다. BOB는 Bleeding on interdental Brushing의 약자로, 치간칫솔 사용 시 치간에서의 출혈로 염증정도를 파악하는 한편, 이 앱을 이용해 환자의
덴탈빈(대표 박성원)이 지난 7월부터 진행한 ‘덴탈빈 레드코스’가 지난 13일 마무리됐다. 이번 코스는 22세기서울치과병원 조용석 원장과 김세웅 원장이 연자로 나서 각각 임플란트 치료의 수술과 보철 파트 교육을 진행했다. 수술 파트를 진행한 조용석 원장은 총 6회에 걸쳐 세미나를 진행했다. 그는 임플란트 트레이닝 코스 소개, 임상증례 발표, 임플란트 합병증과 관리를 비롯해 △Bone evaluation △Handling of surgical kit and motor △Surgical Guideline of Implant 등을 다뤘으며, Drilling hands-on with bone density 등 실습교육도 진행했다. 총 4회에 걸쳐 진행된 임플란트 보철 파트에서 김세웅 원장은 △임플란트 보철을 위한 인상 채득 과정의 이해 △구치부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한 임상 가이드 라인 등 2개 파트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김세웅 원장은 임플란트 보철과 인상채득을 위한 기본 개념,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적절한 인상 채득 방법, 인상재 선택 방법, 최종 보철물 장착 과정에서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바이트 채득 방법 등을 다뤘다. 덴탈빈 관계자는
미얀마 치과의사들에게 선진화된 치의학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결성된 교육봉사단(단장 임종성)이 지난 5일 미얀마 양곤에서 ‘제2차 특별강연회’를 개최했다. 미얀마 치과계의 지도자급 치과의사 40명만을 초청해 진행된 이번 강연회는 △이진규 교수(경희치대)의 ‘근관치료의 기본원칙’ △김선종 교수(이대서울병원)의 ‘악안면 외상 및 악골괴사의 처치, 악교정 수술, 임플란트 수술’ △신승일 교수(경희치대)의 ‘치주외과 및 치주판막수술의 기본원칙’ △이성복 교수의 ‘최상의 치과보철치료를 획득하는 Top-Down 개념’ 등으로 구성됐다. 임종성 단장은 “미얀마의 치의학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미얀마 치과의사를 위해 우리 봉사단은 교육과 봉사를 아우르는 모든 지원을 꼼꼼히 기획하고 실천하고 있다”며 “미얀마 보건체육부와 미얀마치과의사회 관계자들의 전폭적인 지원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제3차 특별강연회는 내년 2월경 개최될 예정이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큐레이(Qray) 연구성과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KCQ 2019(Korea Conference on Qray 2019’가 다음 달 3일 연세대학교 의생명연구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 1층 유일한홀에서 개최된다. 연세대학교 BK21 플러스 통합구강생명과학에서 주관하고 ㈜아이오바이오(대표 윤홍철)가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QLF 기술을 활용한 Qray 연구자들이 연자로 나선다. ‘정량광형광검사법’ QLF 기술은 지난해에는 정량광형광기를 이용한 치아우식증 검사법이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으면서 진단과 임상에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치과의사들의 관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 이번 KCQ 2019는 QLF 기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는 시간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먼저 QLF 개발자인 알버트 박사와 국내 연구 선구자인 김백일 교수가 QLF의 역사를 짚어주고, 송제선 교수와 최윤정 교수, 곽영준 원장이 각각 소아치과, 교정과, 보존과에서 활용되고 있는 임상증례를 소개한다. 특히 오후 세션에서는 미생물학, 생태학적 관점에서 QLF 기술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김응빈 교수의 강연과 세계적으로 명망있는 연구기관인
대한턱얼굴미용외과연구회(회장 최진영·이하 미용외과연구회)가 지난달 2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태평양 턱얼굴미용외과 심포지엄’에 참여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 대만, 일본, 싱가폴, 태국, 베트남 및 터키 등 세계 각국의 턱얼굴미용외과 전문가 60여명이 참가했다. 이날 코성형술, 눈성형술, 안면윤곽수술, 이마보형물수술, 안면거상술, 턱교정수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20여개의 발표가 이어졌다. 국내에서는 최진영 교수, 이의석 교수, 변준호 교수 등이 연자로 나서 열띤 강연으로 참가자들의 관심을 모았다는 후문이다. ‘아-태 턱얼굴미용외과 심포지엄’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나라들의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중 턱얼굴 미용수술을 전문적으로 하는 치과의사들이 모여 2년에 한 번씩 개최하는 학술대회다. 지난 2017년 서울에서 제1회 대회가 열렸으며, 올해는 대만 타이페이에서 제2회 대회가 마련됐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전주홍·이하 양악수술학회)가 지난달 28일 삼성서울병원에서 ‘2019 추계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3D 기반 양악수술의 Practi cal Flow’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집담회는 회원 50여명이 참가했다. 이날 조헌제 원장(앵글치과)이 연자로 나서 3차원 기반 양악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살폈다. 1강에서는 양악수술 시 사용하는 3차원 분석과 수술계획, 3D 가상수술 및 3D 프린터를 이용한 수술 장치의 개발 등 3D 기반 양악수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알기 쉽게 전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어 2강에서는 다양한 증례를 통해 양악수술 이후 Segmental management에 대해 설명해 갈채를 받았다. 아울러 기존 예정된 시간을 훌쩍 넘겨 마무리될 정도로 활발한 질의응답 및 토론이 이어졌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대한노년치의학회(회장 이성근·이하 노년치의학회) 산하 섭식연하장애재활연구회(회장 고석민·이하 연구회)가 지난달 30일 신흥 본사 세미나실에서 ‘비디오투시연하검사(VFSS)에 기반한 연하장애 평가와 치료의 종합적 이해’를 주제로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학술집담회에는 우희순 교수(원광대학교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가 연자로 나서 섭식연하장애에 대한 각 직역 간 협진의 중요성과 구강위생관리를 통한 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치과의사의 역할을 강조했다. 특히 구강준비기 및 구강기, 인두기 등 삼킴의 순간을 투시하는 VFSS를 설명하면서 삼킴에 대한 7개의 밸브를 중심으로 검사결과에 따라 어떤 치료를 해야 하는지 명확히 짚어줬다. 동영상으로 섭식연하장애의 단계를 보다 쉽게 파악하는 등 평소 가지고 있는 궁금증을 말끔히 해소하는 유익한 시간이었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연구회 고석민 회장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연하장애 환자도 늘고, 그 만큼 치과의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며 “연하장애의 단계별 원인에 따라 치과의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대처법을 공유할 수 있었던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계속해서 연구회는 오는 12월 16일 ‘구강운동촉진기술(O
대한치과수면학회(회장 정진우·이하 치과수면학회)가 지난달 20일부터 25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된 세계수면학회 학술대회 2019(World Sleep 2019, the 15th World Sleep Congress)에 참가했다. 세계수면학회(World Sleep Society)는 지난 2016년 World Sleep Federation(WSF)와 World Association of Sleep Medicine(WASM)이 결합한 세계 최대 규모의 수면학회다. 12개의 키노트, 17개 코스, 89개의 심포지엄과 함께 1,121개 포스터가 발표된 이번 학술대회는 수천여명의 각국 수면치의학자가 참석한 가운데 최신 수면치의학 연구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특히 치과수면학회 박지운, 오드리윤 이사가 각각 △Sleep disturbance as a causative factor of inflammation and comorbidities in high disability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hort lingual frenulum, mouth breathing and maxillofacial development 등에 대한 내용으로
서울치의학교육원(원장 황성연·이하 SIDA)이 1~2년차 진료스탭의 눈높이에 맞춘 교정임상 베이직 세미나를 개최한다. 오는 20일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조영채 원장(압구정스마일치과)이 연자로 나서 ‘치과의사가 알려주는 교정이야기(Basic)’를 다룬다. △교정치료 과정의 이해 △교정기구와 장치 알아보기 △브라켓 본딩 시 고려사항 △Wire change 시 고려사항 등을 주제로 임상에서의 자신감 배양을 돕는다. 발치와 비발치 케이스를 구별하고, 케이스를 통해 Class I, Ⅱ, Ⅲ차이를 알아본다. 또한 교정장치 기구는 물론 브라켓 본딩과 wire change 시 고려사항을 꼼꼼히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지난 세미나를 수강한 스탭들은 “이론과 환자 케이스를 비교해 설명함으로써 어렵게만 느껴졌던 교정에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교정의 개념과 과정을 쉽게 알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고 추천한 바 있어 더욱 기대를 모은다.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SI평생교육원에서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의 정원은 20명으로, 교정에 관심있는 1~2년차 스탭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엄태관·이하 오스템)가 오는 19일과 20일 대구보건대학교에서 ‘Gothic Arch Tracing과 SR Nexco를 활용한 프리미엄 덴처’ 세미나를 진행한다. 이번 세미나 장일환 소장(JD치과기공소)이 디렉터를 맡아 기능성과 심미성 모두 만족시키는 덴처 제작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장일환 소장은 “BPS 시스템에서 많은 치과기공사들이 Gnathometer M을 활용한 무치악 Gothic Arch 장치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Stratos 교합기를 활용해 보다 쉽게 Gnathometer M을 세팅하는 노하우를 공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세미나 첫 날은 Gothic Arch Tracing 장치인 Gnathometer M의 이론과 사용법을 비롯해 Suction Effect를 위한 트레이 라인 설정에 대한 강의와 데모를 진행한다. 둘째 날에는 수강생 전원이 Stratos 교합기를 이용한 Gnathometer M 세팅 실습으로 세미나가 시작된다. 이어 심미적인 치은형성을 위한 SR Nexco 활용법에 대해 데모 시연 후 수강생들의 실습과 디렉터의 원포인트 레슨이 진행된다. 오스템 관계자는 “오스템은 향후
브레인스펙병원교육개발원(대표 김민정·이하 브레인스펙)이 오는 20일 서울 방배동 브레인스펙 세미나실에서 ‘우리치과만의 특별한 임플란트 상담’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치과 실장 및 팀장 등 스탭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최규영 강사(브레인스펙)가 연자로 나서 임플란트 상담 활용법을 강연한다. 최규영 강사는 기초상담법, 전문상담법, 임플란트 상담 시 필요한 사항을 짚어주고, 어르신 임플란트 환자 심리를 활용한 공감 상담기법을 다룬다. 최 강사는 보험 임플란트 환자층을 사로잡는 상담기법, 어르신에게 신뢰받는 상담기법, 처지를 바꿔 생각하는 상담 노하우 등을 사례별로 풀어낼 예정이다. 이날 마지막 시간에는 △신뢰받는 우리치과만의 내규 만들기 △상담 케이스별 정리 활용하기 △환자 관리방법 등을 정리해 줄 계획이다. 브레인스펙 측은 “환자와 마주할 때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상담법부터 환자 케이스별로 상담하는 방법, 롤 플레이를 통한 실전 연습까지 단 한 명의 환자도 놓치지 않는 상담 노하우를 습득하는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경희대학교치과대학(학장 권긍록·이하 경의치대)이 주최하고, 경희치대·치의학전문대학원 동창회(회장 안민호·이하 경희치대동창회)가 주관하는 강동 ‘경희대학교 개교 70주년 학술대회’가 오는 27일 강동경희대병원에서 열린다. ‘맞이할 미래, 치과융합 디지털 세계로’를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최신 디지털 치의학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외 저명 연자들의 알찬 강연들로 구성됐다. 경희치대동창회 안민호 회장은 “경희대학교의 개교 70주년을 함께 기념하는 학술대회로서 더욱 의미가 깊다”면서 “최근 가장 핫한 이슈인 디지털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며, 틀에 박힌 식상한 내용보다는 디지털에 강세를 보이는 젊은 치과의사들을 연자로 초청해 기존 디지털 치의학 강연과 다른 새로운 측면에서 접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최용석 교수가 첫 번째 연자로 나서 ‘IT플랫폼 기반 치과검진시스템 개발과 발전방향’을 주제로 학술강연의 포문을 연다. 아울러 김성훈 교수가 바통을 이어받아 ‘디지털교정에서의 새로운 해석 : Roth? MBT? TWEeMAC Prescription!’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또한 노관태 교수가 연자로 나서 ‘In house Digital Dentu
대한턱관절교합학회(회장 이석형·이하 교합학회)가 오는 19일, 20일 양일간 서울아산병원에서 ‘2019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신교합치료, evidence based 가능할까? △심미전악 수복을 위한 임플란트 수술 및 교합(guided implant surgery) 등을 핵심주제로 한 알찬 강연들로 구성됐다. 학술대회 첫째 날은 김진환, 김성욱, 박희주, 최병갑 원장 등이 연자로 나서 교합치료와 전신 관계, 심미적인 교합을 위한 수술 및 보철, 교합의 역사, 코골이·수면무호흡 총정리, 코골이장치 만들기 등의 내용으로 강연을 선보인다. 둘째 날은 해외연자 강연과 더불어 김성택 교수, 이계형 원장, 최희수 원장 등이 연자로 나서 스플린트 총정리, 치과경영세미나 및 스탭과 함께 듣는 강연으로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부산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원장 김현철·이하 부산치대)이 지난달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스마트 덴티스트리-Complication 본질을 꿰뚫다’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서울 세미나는 부산치대 재경동문을 위한 자리로, 매년 5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정기학술대회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부산치대 주최 학술대회의 3대 축 중 하나에 해당한다. 올해로 6회를 맞은 이번 세미나에는 150여명이 참석, 약 300명에 달하는 재경동문회 회원의 절반가량이 참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학술대회는 △김용덕 교수(부산치대)의 ‘실패한 임플란트에서 배운다’ △이현원 원장(삼성치과)의 ‘From Vertical To Horizontal’ △장호열 원장(장호열치과)의 ‘예지성 있는 상악동 거상술-합병증의 예방과 처치’ 등 부산치대 출신 연자들의 강연으로 구성됐다. 부산치대 총동창회 김기원 회장은 “올해로 부산치대가 설립 40주년을 맞이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있는데, 이번 재경동문 회원을 위한 학술대회에도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연말에는 부산에서 홈커밍데이도 예정돼 있다”며 “동문들의 많은 참여와 성원 바란다”고 말했다. 재경동문회 송호택 회장은 “
스트라우만이 지난달 2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하반기 서울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임플란트 디자인부터 보철까지 폭넓은 주제로 준비된 이번 세미나에는 양승민 교수(삼성서울병원 치주과)와 권용대 교수(경희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배아란 교수(경희대치과병원 치과보철과)가 연자로 참여했다. 양승민 교수는 ‘나는 왜 티슈 레벨 임플란트가 좋을까?’라는 주제로 티슈 레벨 임플란트가 가지는 장점과 스트라우만의 임플란트 표면 기술을 소개했다. 특히 양 교수는 스트라우만 티슈 레벨 임플란트가 장기 임상에서 가장 낮은 임플란트 주위염 발병률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권용대 교수는 ‘Straumann Roxolid, Does size matter?’를 주제로 스트라우만이 개발한 록솔리드 임플란트의 특장점을 설명하고 임상증례를 공유했으며, 배아란 교수는 ‘Reliability with Limitations: Titanium Resin Base Concept’을 주제로 Ti-base 타입 보철 제품인 스트라우만 Variobase의 장점과 사용 시 주의사항 및 보철 수복 사례들을 공유했다. 스트라우만 관계자는 “많은 분의 성원으로 이번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