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구름조금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1.7℃
  • 구름조금서울 13.7℃
  • 구름많음대전 12.7℃
  • 구름많음대구 14.7℃
  • 구름조금울산 14.4℃
  • 구름많음광주 15.7℃
  • 맑음부산 15.7℃
  • 구름많음고창 11.4℃
  • 흐림제주 18.0℃
  • 구름많음강화 14.4℃
  • 구름많음보은 10.3℃
  • 구름조금금산 9.8℃
  • 구름많음강진군 12.9℃
  • 구름많음경주시 11.8℃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우연과 필연, 그리고 당연

URL복사

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이야기 (290)

흔한 시쳇말로 ‘내가 하면 로맨스고 네가 하면 불륜이다’는 말이 있다. 그냥 웃으면서 하는 이야기이지만 심리학이나 종교적으로 보면 매우 중요한 핵심을 지닌 말이다.


심리학에서 자기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중을 어느 곳에 두는가의 문제는 그 사람의 심리상태나 정신 건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청소년들에게 자아중심성을 표현하는 ‘상상속의 청중’과 ‘개인적 우화’라는 심리현상이 있다. ‘상상속의 청중’은 한마디로 모두가 나에게 집중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과장된 자의식으로 인해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믿는다. 늘 누구나 자신을 지켜본다고 생각하는 스타의식이 바로 상상속의 청중이다.


‘개인적 우화’는 한마디로 나는 타인과 다른 특별하고 독특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세계는 다른 사람의 그것과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믿는다. 청소년은 자신의 우정, 사랑 등이 다른 사람은 결코 경험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믿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경험하는 죽음, 위험, 위기가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으며, 혹시 일어나더라도 피해를 입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 폭주족이 자신은 죽지않는다고 생각하고 폭주하는 이유이다. 이처럼 청소년은 타인에 대한 비중보다는 거의 자신이 모든 사건과 사고의 중심에 놓여있다. 성인도 이와 비슷하게 세상의 중심에 자신을 두고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하는 경우에는 이상심리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자기영웅형으로 타인이 자신의 감정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분열형 성격장애’나 자신은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있다. 반면 자기소심형으로 사회로부터 공격이나 피해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회피성 성격장애’가 있고 이와 유사한 ‘의존성이나 강박성 성격장애’가 있다. 결국 인간은 갓난 아기의 완벽한 자기중심체에서 타인을 인식하고 심리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이해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성인이 된다. 하지만 성인의 심리로 완성되기 이전에 성인의 대접을 받으면 청소년기의 심리상태가 고착되고 발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소년등과’이다. 20대 초반에 행시, 사시에 합격을 하여 타인으로 신분적 우위를 점하면서 심리적 성숙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경우이다. 청소년기의 자기영웅심적인 ‘개인적 우화’ 심리가 그대로 고착되고 발전하지 못하여 성인이 지녀야할 타인에 대한 배려나 생각 중심의 이동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심리학적인 면에서 보면 ‘소년등과’의 사회적 엘리트 집단이 그 피해자이고 그들의 가족이 2차 피해자이다. 얼마 전 ‘민중은 개, 돼지’라고 말한 교육부 고위공직자의 내면적 심리상태의 원인이 소년등과에 따른 심리적 미성숙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유리한 것은 ‘당연’이고, 좋은 일의 발생은 ‘필연’이며, 불리한 것은 ‘우연’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들은 이런 사고가 특히 강하다. 그래서 필자는 어떤 사건을 접하면 제일 먼저 사건이 ‘우연, 당연, 필연’ 중에서 무엇을 기반으로 이야기되는가를 지켜본다.


거짓말을 해야 하는 경우에 우연성을 강조하는 것이 일반적 소아심리이다. 우연성이 강조되는 사건일수록 거짓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성인에게 남아있는 소아심리의 잔재 때문이다. 요즘 세상을 시끄럽게 하는 ‘우병우 처가 땅거래 의혹’을 보면 법조로비의 대명사가 된 넥슨이 갑자기 이해되지 않는 건물을 손해를 보며 사들였는데 우연히 그 건물 집 사위가 우병우였다는 것이다. 어떤 사건이나 이벤트에는 인과가 있고 그 인과 속에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은 각각 자기들만의 생각의 중심이 있다. 그 중심이 성숙한 자는 중도적 생각과 말을 한다. 반면 성숙의 기회를 잃은 사람들이나 미성숙자는 생각의 중심이 자신에 머무르며 ‘우연’이란 단어를 익숙하게 사용한다. 이 사건은 ‘우연’으로 구성되었다고 들린다.


성숙한 자에게는 우연도 필연이다. 오른손이 한 일을 왼손이 모르는 것이 당연이고 필연이다. ‘우연’만 모를 뿐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밸류에이션 지표로 본 S&P500, 역사적 고평가 구간에 들어서다

최근 미국 증시는 역사상 유례없는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AI 관련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지수의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각종 지표들이 과거 어느 시기보다 과열된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금리 인하 사이클이 막바지에 이르고 연준의 통화정책이 완화 국면에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고평가 국면이 지속된다면 자산배분 투자자의 리밸런싱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P500의 밸류에이션을 판단할 때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네 가지 주요 지표는 PSR(주가매출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PER(주가수익비율), 그리고 연간 배당수익률이다. 각 지표는 시장의 기대 수준, 기업의 실적, 그리고 주식의 내재가치를 서로 다른 시각에서 보여준다. 이 네 가지 지표를 종합해보면, 현재 미국 증시는 2000년 IT 버블이나 2021년 팬데믹 당시의 고점보다도 더 과열된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PSR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이 실제 매출 규모에 비해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최근 PSR은 역사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IT 버블 당시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