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2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사랑의 유통기한과 Love story

URL복사

치과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420)

얼마 전 결혼정보회사에서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사랑의 유통기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조사 결과 미혼남녀 중 56.0%는 ‘사랑의 유통기한이 있다’고 답했다. 남성은 66.1%로 여성 응답자 47.0%보다 높았다.

 

유통기한이 있다는 6가지 이유 중에서 남성의 경우 ‘더 이상 설렘이 느껴지지 않아서’가 48.8%로 1위였고, 여성의 경우 ‘감정이 항상 처음과 같을 수는 없어서’가 40.6%로 1위였다. 다음으로 남성의 28.1%가 ‘감정이 항상 처음과 같을 수는 없어서’, 여성의 23.8%가 ‘더 이상 설렘이 느껴지지 않아서’라고 답했다. 그 뒤로 남성은 ‘오래 만나면 권태기가 와서’(15.0%), ‘특별한 이유는 없다’(13.4%), ‘익숙함이 소중함을 잊게 만들어서’(3.1%), ‘사랑의 유통기한이 있다는 속설을 들어서’(1.6%)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사랑의 유통기한이 있다는 속설을 들어서’(14.9%), ‘익숙함이 소중함을 잊게 만들어서’(13.9%), ‘특별한 이유는 없다’(3.0%), ‘오래 만나면 권태기가 와서’(2.0%) 순으로 생각했다.

 

이와 반대로 ‘사랑의 유통기한이 없다’고 답한 44%의 응답자 중에서 1위는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어서’(40.8%)였으며, ‘표현이 달라질 뿐 마음은 달라지지 않아서’(21.8%), ‘사랑은 영원한 것이라고 생각해서’(12.3%), ‘언제나 처음처럼 사랑하기 때문에’(10.1%), ‘특별한 이유는 없다’(8.4%), ‘권태기가 오지 않기 때문에’(5.0%) 등이었다.

 

이 결과에서 필자는 몇 가지 생각이 들었다. ‘연애의 유통기한’과 ‘사랑의 유통기한’이 혼동된 것인지, 아니면 사랑과 연애가 동일시되는 것인지, 아니면 사랑과 연애에 대한 필자의 정서가 지금 미혼남녀들과 다른 것인지에 대한 의심이 들었다.

 

1970년대 영화 ‘러브스토리’를 미혼 시절에 보았던 세대들은 사랑과 연애에 대한 감정이 지금 세대와는 확실하게 다르다. 지금이라면 진부한 내용으로 부잣집 아들과 가난한 집 딸이 만나 사랑하고 집안의 반대를 극복하고 결혼하지만 20대 아내가 병으로 사별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당시 영화를 본 젊은 세대에게 ‘러브스토리’는 ‘눈이 내리네’ OST 음악이 깔리면서 눈밭에서 뛰노는 모습과 “사랑은 미안하다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명대사를 남기며 20대 나이로 백혈병으로 죽음을 앞둔 아내를 지켜보던 남편의 모습 등으로 사랑에 대한 강인한 메시지를 던졌다.

 

50~60대 중에는 지금도 영화 주제가 ‘Love story’로 알려진 ‘Where do I begin’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첫사랑이 이른 나이에 죽었다고 알려진 대만 가수 등려군이 부른 노래는 그런 이유인지 애절하여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사랑에 대하여 ‘Love story’의 가사는 지금도 심금을 울린다.

 

“Where do I begin to tell the story of how great a love can be, how great a love can be, The sweet love story that is older than the sea, The simple truth about the love she brings to me, Where do I start, With her first hello, She gave a meaning to this empty world of mine, There’d never be another love, another time, She came into my life and made the living fine, She fills my heart, She fills my heart with very special things, With angels songs, with wild imaginings, She fills my soul with so much love, That anywhere I go I’m never lonely, With her along who could be lonely, I reach for her hand, it’s always there.”

 

기성세대들에게 ‘사랑’이란 로미오와 줄리엣과 같은 극단적인 감정은 아니지만 ‘러브스토리’에서 보여준 그런 로망이 들어 있다. 연애의 유통기한은 이해가 되지만, 사랑의 유통기한이란 말은 좀 거부감이 든다. ‘더 이상 설렘이 없어서’, ‘감정이 처음과 같지 않아서’ 그들은 사랑이 식었고 변했다고 생각했다. 장자는 무용지용(無用之用), 즉 ‘쓸모없는 것의 쓸모 있음’이 중요하다 하였다. 평범한 감정이 유지돼야 설렘이 중요하다. 항상 설레고 처음 같은 감정이 유지된다면 그 사랑 또한 유지되기 어렵다. 사랑도 성숙해야 깊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10월, 반감기 사이클과 비트코인 자산배분의 전환점

2025년 10월, 비트코인은 다시 한 번 중대한 사이클의 갈림길에 서 있다. 2024년 4월 반감기 이후 약 1년 6개월이 흐르며, 시장에는 반감기 사이클에 따른 상승장에 대한 기대감과 동시에 하락장 진입에 대한 경계심이 공존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ETF 자금 유입과 글로벌 유동성 확대가 가격을 지지하고 있지만, 금리 사이클 측면에서는 이미 위험자산이 정점에 근접한 국면에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비트코인의 반감기 사이클과 연준의 금리 국면을 함께 살펴보며, 현재 시장의 위치를 진단하고 자산배분 투자자에게 필요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해본다. 연준의 기준금리 흐름을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으로 단순화해보면, 현재는 금리 인하기의 후반부, 즉 B~C 구간의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 금리 인하는 일반적으로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이 동반되는 시점에 시작되지만, 이번 사이클은 물가가 완전히 진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위기 국면이 도래하기 전까지 유동성 확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으며, 암호화폐 시장의 반등 역시 점차 피로감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이제 더 이상 리테일 중심의 투기 자산이 아니다. ETF 승인과 기관 자금의 유입으로 주식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