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7 (일)

  • 맑음동두천 22.2℃
  • 흐림강릉 32.1℃
  • 흐림서울 24.0℃
  • 흐림대전 27.6℃
  • 구름많음대구 27.7℃
  • 흐림울산 26.9℃
  • 흐림광주 26.5℃
  • 흐림부산 24.7℃
  • 구름조금고창 26.6℃
  • 흐림제주 29.7℃
  • 맑음강화 21.4℃
  • 흐림보은 27.6℃
  • 구름많음금산 28.6℃
  • 구름많음강진군 26.8℃
  • 흐림경주시 27.1℃
  • 구름많음거제 24.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편집인칼럼

[치과신문 편집인 칼럼] 텅 빈 곳간은 다시 채워야 할 것이다

URL복사

최성호 편집인

전공의 집단 사직에 따른 의료공백 사태가 길어지자,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 1,9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의료공백 사태를 메울 비상 진료체계를 유지하려는 조치라고 한다.

 

이번 결정으로 건강보험 재정만 1조원 가까이 쓰이게 되었다. 또한 필수의료 분야의 정당한 보상을 위한 의료서비스 대가의 효과를 평가할 운영위원회를 설치하고, 하루 30만원의 ‘중증 소아 단기 입원 수가’를 신설하기로 했다.

 

이번 제13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에서 ‘비상 진료체계 건강보험 지원방안’ 연장을 의결했다. 약 1,890억원의 건강보험 재정을 추가로 투입하기로 한 것으로, 지난 2월부터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비상 진료에 건강보험 재정 투입을 5번째 연장하기로 한 것이다. 5개월째 매달 투입된 것이다.

 

이 돈은 전공의가 없어 진료를 못 하는 상급종합병원에서 병·의원급으로 경증 환자를 보내면 보상하는 데 쓰인다. 또 전공의가 없으니, 교수나 전문의가 중증 환자를 받아서 치료하는 응급실이 있는 병원에 더 보상을 해주는 데 쓰인다.

 

건강보험 재정은 가입자인 국민의 보험료를 아껴 모아, 미래를 위해 조성한 소중한 곳간이다. 이마저 기금 고갈을 우려해 아끼는 방법을 여러 방면으로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국민의 건강보험 재정을 ‘쌈짓돈’으로 생각하고 고갈시키고 있다. 애초 전공의들이 이탈하지 않았거나, 의대 정원 갈등을 정부가 빨리 수습했다면 쓰지 않아도 되었을 돈이다.

 

전문가들은 실제로 소요될 재정은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정부는 상급 중증환자 입원료를 사후 보상하기로 약속했다. 전공의가 없으니, 교수나 전문의가 낮에 진료하고 밤을 새워 돌아가면서 당직하는 것에 대해 입원료를 올려주기로 약속하고 나중에 정산해 주겠다고 한 돈이다. 쉽게 말해서 정부가 상급종합병원에 빚을 진 것이다. 무슨 돈으로 나중에 갚을 것인지, 얼마나 더 갚아야 하는지 전혀 모르는 빚잔치다.

 

사실 건강보험 재정 투입을 5번이나 연장한 건정심 탓을 할 것도 아니다. 건정심 회의록을 보면 가입자인 국민 대표, 공익단체, 건보 노조 등은 이 재정 투입에 대해 꾸준하게 우려를 제기하고 있었다. 정부가 수용하지 않았을 뿐이다.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가 개별 사직한 것이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 상황은 아니다. 의정 갈등으로 인한 뒷수습을 위해 쓰지 않았어도 될 소중한 건보 재정을 펑펑 투입하면서, 결국에는 바닥을 보일 건보 재정을 어떻게 채우려는지 궁금하다. 결국 텅 빈 곳간을 채우려면 국민에게 손을 벌릴 수밖에 없을 것이고 그러면 온 국민은 더 높은 건강보험료를 부담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건강보험은 말도 많았지만 어쨌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회보험이고,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세계가 부러워하는 제도였다. 이는 국민이 납부한 보험료를 재원으로 대부분 운용됐고, 국민이 일궈온 역사이기에 그 주인인 국민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사용되어야 할 재정이다. 건강보험 재정은 정부의 쌈짓돈이 아니다. 정부가 선심성, 남발용으로 사용해서도 안 되고, 긴급 재난에 급하게 사용할 수도 없는 국민의 미래 재정이다.

 

정부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혼란 상황을 해결하겠다고 국민이 어렵게 모은 건강보험 재정을 임의로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다. 국가적 재난 상황이라고 억지로 동의하더라도 그 성격상 당연히 국고 일반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는 것이다.

 

당연지사 건강보험 재정은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고 의료서비스에 대한 급여 혜택, 국민의 건강 회복 및 유지와 간병비 급여화 등 국민을 위한 보장성 정책에 투입되어야 할 의료안전망을 위한 것이다.

 

넘겨받은 곳간이 비어 있으면 곳간을 채워야 하지만 시간이 걸린다. 곳간을 다시 채우기 위해 어두운 터널을 통과하듯 어려움을 이겨내야 한다. 모든 국민이 빈 곳간을 함께 메워갈 이 시간을 역사는 매우 소중한 시간으로 기록할 것이다. 또한 곳간이 왜 텅 비었는지, 왜 충분했던 건보 재정이 텅 비게 되어서 국민의 피땀으로 다시 채워야 했는지 역사에 기록되어야 한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조기 교육은 교육을 빙자한 아동학대다
초5가 고2 수학을 배운다는 기사가 보인다. 초5가 고2 수학 문제를 풀었다는 의미가 아니다. 과거에도 수학 천재들이 어려운 수학 문제를 푼 일들은 많았다. 하지만 이번 기사는 그런 천재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학원에서 ‘초등 의대반’이라는 명분으로 초등 5학년부터 고2 수학을 가르친다는 내용이다. 이 기사를 보며 청소년 심리를 전공한 필자는 매우 놀랐다. 상업적 목적으로 초5에게 고2 수학을 가르치겠다는 학원도, 그것에 호응하는 학부형들도 모두 정상이 아니다. 최근 적지 않은 초등학생이 새벽 1시에 공부가 끝난다는 것도 허언이 아닌 듯하다. 이런 내용 속에 아이의 정신건강에 대한 배려나 고려가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은 문제다. 수학 천재가 아닌 그저 머리 좋은 아이에게 고2 수학을 가르치는 것은 교육이 아니라 아동학대이기 때문이다. 학원과 학부모의 과도한 욕심이 정상적으로 성장해야 할 아이들의 정서를 파괴하고 심리적인 성숙을 막을 것이 안타깝다. 학원이 돈을 벌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아이들이 정상적 심리 발달을 못할 것을 모르는 학부모들은 더 문제다. 비록 우리나라 사교육 문제가 오래됐지만, 지금처럼 초등학생까지 희생자로 내몰 만큼

재테크

더보기

수익 나는 저가매수와 리밸런싱 전략 | 주식, 금, 비트코인 매매 리뷰

지난 시간 장기적으로 투자수익을 내기 위한 단 하나의 원칙인 ‘BLASH - Buy Low and Sell High’에 대해 알아봤다. 저가매수 고가매도를 하기 위해서 연준의 기준금리 위치와 방향을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으로 분석하고, 대중의 심리를 다양한 방식과 지표로 판단해 리밸런싱 매매에 이용하고 있다. 이번 시간은 미국주식, 금, 비트코인의 각 자산들을 최근 어떤 식으로 비중을 확대 및 축소하고 리밸런싱 매매를 했는지 실제 투자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리뷰해보겠다. 미국 주식 리밸런싱 리뷰 미국 주식은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을 바탕으로 금리저점 D에서 비중을 늘리기 시작해 금리고점 A까지 유지한다. 금리고점 A가 지나면 버블의 최고점 B까지 비중을 축소하기 시작하며 금리인상 시기(D ~ A) 구간에 매입했던 미국 주식의 수익을 확정짓고, 장기 보유 물량을 제외하고 B에서 미국주식 비중을 최소화 한다. 경제위기 C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필자는 2017년 미국주식 투자를 시작했는데, 2018년부터는 자산배분을 응용해 다양한 자산을 편입하기 시작했다. 2018년 12월 금리고점 A를 지났기 때문에 연준이 첫 번째 금리인하(B, 버블의 최고점)를 하게 된 2019년


보험칼럼

더보기

[치과 노무칼럼] 근로계약 체결 시 급여설정(올바른 급여설정이 임금체불 방지)

근로계약을 작성할 때 가장 민감한 부분이 급여액일 것이다. 보통 입사 제안 시에는 급여액이 추상적으로 제안되지만, 근로계약서 작성 시 금액의 내용 및 성격을 명확히 해야 향후 노무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급여를 설정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1. 그로스 VS 네트 치과 등 병의원에서 고유한 급여문화 중 하나가 급여를 실수령액으로 계약(네트)하는 것이다. 입사하는 직원에게 먼저 사업장의 급여 원칙을 설명해야 하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그로스’ 개념을 정착시키는 것을 권장한다. 네트제로 계약할 경우 사업장에서는 향후 급여 인상에서 소득세 증가에 따라 예상치 못하게 사업장의 부담액이 커지고, 퇴직금·연말정산 환급금·연차수당 산정 등에서 불필요한 분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로자는 ‘결국 내 통장에 이체되는 금액이 얼마인가’에 대한 관심이 크기 때문에 네트제를 인정해 주는 사업장을 찾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로 인해 그로스 문화 정착이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로스제와 네트제에 따라 급여관리 방안 및 향후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2. 기본급 설정 (최저시급) 기본급은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