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심리학이야기

사필귀정 사필정 (事必歸正 事必正)

URL복사

진료실에서 바라본 심리학 이야기 (55)

요즘은 모두가 다 아이들 교육에 몸살을 앓는다. 조기교육에, 해외연수에, 아이들 교육에 힘들어하고 있다. 그리고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노력에 몰입하다 보니 가장 중요한 인성 교육은 교육현장에서 사라졌다.

 

요즘 학교에는 지식전달자와 공부 기계만 있고 스승도, 제자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학생이 선생님을 구타하고 학부모가 선생님의 머리채를 잡고 휘두르는 것이 우리 교육현장의 한 일면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학력을 최고의 덕목으로 여기고 좋은 스펙을 만들기 위해 앞만 보고 달린 선생과 학부모 모두의 책임이다.

 

그런 교육환경에서, 인성교육이 없는 상황에서 졸업을 하고 사회에 나온 그들에게 다음의 목표는 학업의 일등이 아니라 돈 버는 능력이 일등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정의와 도덕이란 옛날의 고사성어에나 나오는 말이니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 되는 것은 다 한다’일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자본(돈)이 최고인 자본주의 기본사상과 맞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얼핏 생각하면 옳은 이야기다. 먹고 살길이 없어서 훔친 장발장의 빵 한 조각은 법과 용서를 넘어서 생존이라는 도덕과 법 이전의 삶의 본질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국민소득이 1만 불 이하일 때는 모두가 돈만 있으면 좋았던 시대일 것이다. 하지만 3만 불의 시대에서는 그 돈을 어떻게 벌었나 하는 것과 그 돈을 어떻게 쓰느냐가 더욱 중요한 사항으로 바뀌게 된다.

 

결국, 2만 불에서 3만 불로의 변화 때에 나타나는 것은 사회가 극도로 투명해지면서 불로소득이 줄어서 생활은 조금 더 팍팍해지게 된다. 이는 선진국의 일반 서민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큰 변화는 의식의 변화이다. 모두가 먹고사는 데에 문제가 없어지면 그다음은 도덕성이 강조된다. 청문회의 정치인들을 보면서 확인되고 있는 사항들이다.

 

장관 한 번 하고 싶은 사람이 해야 할 일에 자식 군대 보내기와 위장전입 안하기가 있게 된 것도 우연이 아니다. 그것은 자본주의가 민주주의와 같이 성장하면서, 민주주의가 피를 먹고 크는 나무란 말이 탄생할 때에 피를 부른 군주들 뒤에 자본가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주주의의 발전은 반드시 자본가들의 도덕성과 인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한 때 학벌이 최고이던 시대가 있었다. 그리고 돈 많은 사람이 최고였던 시대도 있었다.

 

그러나 선진국으로 가면 대박이란 것이 사라지고 먹고 사는 것은 해결이 되니 결국엔 어떻게 자기의 삶을 살아가는가가 더욱 중요한 가치로 다가올 것이다.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교육이 서당에서 시작되었다. 어머니가 삯바느질로 어렵게 마련한 돈으로 공부를 해야 하니 공부하러 가는 아이의 마음가짐은 요즘 아이들과 달리 참으로 숙연했을 것이다.

 

그리고 어린 학생들이 제일 먼저 배우는 책이 천자문이었다. 천자문은 중국 삼국시대 때에 위나라 종요가 왕의 미움을 받고 하루 만에 천 개의 글을 겹치지 않고 써오면 실력을 인정하고 살려 주겠다는 왕명에 대항하여 쓴 글로, 글 쓰고 머리가 새었다고 하여 백발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내용이 살면서 행하여 할 대의를 적은 것이다. 그다음으로는 初學入德之門(초학입덕지문)서로 四字小學을 배웠다. 어릴 때부터 지켜야 할 행동과 효행, 효심을 올바르게 가르치는 오늘날 초등교육의 필독서이다. 총 960글자로 한 줄에 4글자씩 글귀를 만들어 240 구절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그 글귀들은 이미 우리들의 삶 속에 알게 모르게 깊이 배어 있다.

 

덕업상권, 과실상규, 상부상조, 용모단정 등 많이 듣던 말들이 바로 그 책에 적힌 말들이다. 지금으로 치면 초등학교 교과서인 책에 말이다. 오늘은 수신 편에 있는 損人利己(손인이기) 終是自害(종신자해)라는 말이 가슴을 아리게 한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에 적힌 글귀인 一笑一少(일소일소) 一怒一老(일노일노)를 보며 선조들이 삶을 대하는 지혜로움과 후학에게 최고의 삶이 행복임을 가르친 것에 그저 놀라울 뿐이다.

 

요즘 신문 방송에 시끄러운 치과계를 보면 옛 선조들의 말씀이 떠오른다. 사필귀정 사필정(事必歸正 事必正).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8월 원달러 환율과 금리사이클 전망

2025년 8월,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경제 구조 변화와 금리사이클이 맞물리는 변곡점에 서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 금리사이클, 그리고 과거 금리사이클 프랙탈 분석을 토대로 환율의 큰 흐름을 정리하고, 주기적 자산배분 관점에서 실천 가능한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으로 본 금리사이클 국면 자산배분의 핵심은 ‘현재 기준금리 국면을 파악하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미리 담고, 불리해질 자산은 미리 줄이는’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저가매수 고가매도를 반복하는 것이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으로 8월 12일 현재 위치를 점검하면, 시장은 B~C 구간의 말미에 가깝다. 과거 프랙탈에 비춰보면 C 이벤트가 2025년 4분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구간에서 위험자산은 종종 마지막 신고가 랠리를 보이지만, 직후 큰 조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1998년 외환위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팬데믹 초기처럼 위기의 형태는 매번 달랐으나, 공통적으로 경제위기 시기에는 원화 약세가 심화되며 환율이 급등하고, 안전자산(금·달러·미국채)이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다만 이번 사이클은 인플레이션 압력과 장기 역배열의 여파로 미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