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논 단] 도가니탕을 좋아하십니까?

URL복사

박창진 논설위원

요즘처럼 날이 추울 때는 뜨끈한 국물에 밥을 말아 먹는 것이 최고다.도가니탕은 그 중에서도 가장 최고로 꼽을 수 있다. 사전을 찾아 보니 도가니라는 말은 소의 무릎뼈와 거기에 붙은 고깃덩이를 일컫는 말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니 설렁탕, 곰탕, 도가니탕의 정확한 차이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최근 한 TV프로그램에서 도가니탕에 대해 취재를 한 내용을 봤다. 여러 곳의 식당을 조사한 결과 도가니탕에 도가니는 없으며 도가니 대신 그 것과 유사하게 생긴 힘줄(인대)을 넣어 끓인다고 한다.

 

붕어빵에 붕어가 들어있지 않은 것처럼 도가니탕에도 도가니가 없는 것인가? 그 프로그램에서 한우 도가니만을 넣어 끓인 도가니탕을 파는 집을 아주 힘들게 찾았는데 방송국 PD에게 건네는 그 집 주인 할머니의 말씀이 아주 기가 막힌다. “방송에 나가면 손님이 늘고, 그러면 장사하기 어려워진다. 한우 도가니를 구하는 것이 쉬운 것도 아닌데 그러면 장사 못한다.”

 

소 한 마리에서 나오는 무릎 뼈는 얼마나 될까? 소 한 마리로 도가니탕을 몇 그릇이나 만들 수 있을까? 전국에 도가니탕을 파는 집은 얼마나 많을까?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해도 우리가 먹는 도가니탕은 모두 가짜인 것이 분명하다. 광고에 나온 집, 유명하다고 하는 집, 모두가 가짜 도가니탕을 파는 집일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도가니탕을 사먹는다.

 

환자 한 명을 원칙대로 진료할 때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1급 와동 하나를 하더라도 전 과정을 원칙대로 진료한다면 어느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할까? 과연 우리는 도가니탕을 제대로 만들어 팔고 있는 것일까? 그럼에도 환자는 찾아온다.

 

병원은 식당과 닮은 점이 많다. 깨끗해야 하고 우리 몸의 건강과 관련되어 있다. 결과물을 만들어낸 원재료나 과정에 대해서 손님들은 잘 모른다. 주인이 직접 주방에서 요리하는 작은 식당부터 대형 프랜차이즈까지 다양한 크기마저도 치과와 비슷한 점이 있다.

 

모든 사람이 좋은 재료로 주인이 직접 손질해 끓여내는 정성스러운 음식을 제공받길 원한다. 하지만 그 음식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받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힘줄을 넣어 끓인 도가니탕이 이미 시장에서 일정 가격을 형성해놓았기 때문에 진짜 도가니탕이 그 시장가격을 넘어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가격을 싸게 받는 식당에서는 대개 유통과정을 줄이고 대량으로 축산농가에서 직접 사오기 때문에 가격을 낮춰 받을 수 있다고 한다. 거짓말인 경우가 대부분일 것. 너무나도 안타깝지만 좋은 재료를 사용하고 내 손으로 준비하고 정성으로 담아내기 위해서는 정해진 시간 동안 한정된 수량의 도가니탕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그 할머니가 금전적 부자가 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강남 한 복판의 큰 건물에서 직원들을 시켜 힘줄을 넣고 끓인 것을 도가니탕이라고 이름 붙여 파는 음식점 사장들과 같은 사람들이 치과계에도 많은 것은 참 서글픈 일이다.

 

또 한 편으로 한우 도가니탕 집의 그 할머니 같은 치과의사들이 정당한 대가를 받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할머니의 마음속에 있는 진실과 만족 그리고 행복 등 자신의 일에 대한 보람이 전부가 아닌 사회적으로 또 금전적으로 보상받는 날이 언젠가는 올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