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치과의사 커뮤니티 모어덴이 상아동 거상술 코스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모어덴 홈페이지(https://www.moreden.co.kr)에 새롭게 론칭한 권용대 교수(경희치대)의 강악동 거상술 강의는 기초부터 심화까지 총 7시간으로 구성돼 있다. 최신 레퍼런스를 통한 근거 기반의 총정리로 최신 임상술식을 기대하는 치과의사들의 니즈에 맞는 강연이 될 전망이다. 권용대 교수는 ‘Full-Spectrum of Sinus Floor Elevation’을 타이틀로 △상악동의 국소해부학에 대한 기본 지식 및 상악동 골이식술의 임상 결과 △상악동 부위 영상진단의 기초 △측방 접근의 외과 술기의 디테일 학습을 통한 자신감 배양과 실제 수술로의 이행 △치조정 접근의 외과 술기의 디테일 △측방 접근 vs 치조정 접근:성공을 위한 key △Surgical and anatomic pitfalls와 그 극복 △합병증 분석과 외과적 대처–Perforation, Infection 등의 내용을 담았다. 권용대 교수는 “생생한 실제 수술현장을 통해, 술자의 시점 이상의 극사실적인 수술현장을 바탕으로 보다 실제적인 술기를 마스터 할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김미은·이하 구강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새로운 시도와 풍성한 강연으로 회원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구강내과학회는 지난 10월 20일 스페이스쉐어 서울중부센터에서 ‘구강안면통증의 최신 치료법 탐구:편두통부터 근막통증까지’를 대주제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특히 학회에서 처음 기획한 ‘안면부 초음파 연수강좌’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이날 학술대회에 참석한 회원은 170여명, 별도로 추가신청을 받은 연수강좌에도 50여명이 참석하는 등 활기를 띠었다. 전공의 증례발표는 점심시간을 활용해 더 많은 참석자들이 귀 기울일 수 있도록 준비했다. 회원들의 접근성을 높인 새로운 학술대회장도 만족도가 높았다. 학술대회는 ‘두통’에 초점을 맞췄다. 첫 세션인 ‘Update on headache treatment’에서는 △긴장형 두통 업데이트(김지영 교수·부산대 신경과) △편두통 업데이트(이미지 교수·서울대 신경과) △Botulinum toxin injection for managing orofacial pain and headache(김성택 교수·연세치대 구강내과)를 주제로 다양한 두통 유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종원)가 오는 11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Stress-less 치과 만들기 Project’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지난 4월에 이어 이번 세미나에서도 임플란트 보철 시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인 시멘트리스 보철 시스템 ‘DIO UV+ Abutment’를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DIO UV+ Abutment’는 시멘트리스 보철 시스템의 핵심 제품으로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된 특징을 자랑한다. No Link, No Collet, No Flat bur 구조로, 추가 컴포넌트 없이 스크루만으로 보철물을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낮은 VD(수직 거리) 환경에서도 5㎜ 높이의 보철물 제작이 가능해 간편한 진료와 심미적인 보철을 동시에 제공,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최적의 결과를 제공한다. 최병호 명예교수(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가 연자로 나서 ‘환자와 분쟁 없는 치과’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최근 의료분쟁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와의 분쟁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최신 경향과 대응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어 ‘DIO UV+ Abutment’의 최다 필드 테스트를 진행한 손현락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회장 김영준)가 오는 11월 24일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다양한 시각에서 본 TMD:치과를 넘어, 의료 및 법적 관점까지’를 대주제로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TMD를 치과적 관점에서, 의과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보험청구 및 법적 문제를 통해 TMD의 문제에 심층적으로 다가간다. 먼저 ‘치과 내 TMD’ 세션은 교정과, 보철과, 구강악안면외과적 관점에서 다룬다. 양일형 교수(서울치대 교정과)가 ‘TMD 치료와 치과교정치료’에 대해, 이양진 교수(분당서울대병원 보철과)가 ‘TMJ와 교합 그리고 TMD와 보철’에 대해, 허종기 교수(강남세브란스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구강악안면외과에서의 TMD 진료’를 강연한다. ‘의학에서 본 TMD’ 세션은 이비인후과, 마취통증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이 강연을 맡는다. 김희정 교수(연세의대 마취통증의학과)의 ‘턱관절장애와 관련된 만성통증의 진단과 관리’, 강지인 교수(연세의대 정신건강의학과)의 ‘만성통증에 대한 정신의학적 이해와 접근’, 정연훈 교수(아주대의대 이비인후과)의 ‘TMD를 통하여 본 이비인후과 질환’ 강연을 준비하고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치주과학회(회장 계승범·이하 치주과학회)가 지난 10월 19일과 20일 양일간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제64회 종합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Unveiling Periodontitis and Clinical Complications’을 대주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치주질환 등 임상문제에 대해 돌아보는 기회를 가졌다. 첫날 오전에는 치주과 전공의들의 연구와 임상증례를 공유하는 구연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학회의 국제적 경쟁력 함양을 위해 발표는 물론, 질의응답까지 영어로 진행했다. ‘KAP Young speaker & Award session’에서는 KAP 최우수는문상, 동선신연학술상 등 시상과 함께 박진영(연세치대), 이효정(분당서울대병원), 신승윤(경희치대) 교수의 강의가 진행됐다. 이튿날 오전에는 ‘International researcher & Special lecture’를 주제로 현재 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Ti-sun Kim 교수(하이델베르그대학)와 Ryan Lee 교수(퀸스랜드대학)가 특강을 펼쳤다. 또한 김종관 명예교수(연세치대)의 ‘치주과학사에 빛나는 별들 그리고 미래’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부산대학교치과병원(원장 김현철·이하 부산대치과병원)이 오는 12월 8일 ‘2024년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술대회는 부산대치과병원과 치의학융복합진료센터 두 곳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먼저 부산대치과병원에서는 △옥수민 교수(부산치대)의 ‘비만과 치매 예방을 위한 코골이의 진단과 치료’ △김현주 교수(부산치대)의 ‘Emdogain과 Minocycline을 활용한 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의 효과적 관리’ △이소현 교수(부산치대)의 ‘무치악 환자를 위한 오버덴처의 첫걸음’ △신종현 교수(부산치대)의 ‘소아 환자의 SS 크라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적용하는 방법’ 등으로 오전 세션을 진행한다. 오후 세션에서는 △백영재 원장(늘푸른치과)의 ‘임플란트 주변 전정성형술과 유리치은이식술’ △김성언 원장(세종치과)의 ‘The road to All on X’ △하석민 원장(젊어지는치과)의 ‘불가능을 기능으로: K-All on X’ △하원석 원장(WS치과)의 ‘All on X를 위한 가이드 서저리’ 등이 진행된다. 치의학융복합진료센터에서는 두 차례의 구연발표가 오전 시간을 채운다. 오후에는 △김성민 교수(서울치대)의 ‘Imme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경희대치과병원이 지난 10월 9일 바이오급속교정센터가 주관한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세미나 및 참관 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그래피의 후원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17개국 58명의 외국인 교정의가 참석했다. 세미나에서는 경희대치과병원 바이오급속교정센터와 교정과 전문의들이 어린이 교정환자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바이오 소아교정치료법과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SMA)의 특화된 적용법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나눴다. 행사 후 교정과와 바이오급속교정센터에서 활용되는 테라하츠(Tera Harz) 로봇 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참관이 이어졌다. 김성훈 바이오급속교정센터장은 “바이오급속교정센터는 경희대치과병원이 최초로 개발한 독창적인 진단 치료법으로, 선진 의료기술을 공유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바이오급속교정이 교정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경희대치과병원 바이오급속교정센터는 지난 10월 12일 우크라이나 교정의를 대상으로 ‘성장잠재성을 극대화하는 바이오 소아교정과 상악골 협착 교정 환자’에 대한 특별 강연회 및 핸즈온 코스도 진행했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통합치과학회(회장 정복영·이하 통합치과학회)가 지난 10월 12일,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에서 ‘2024년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해외연자 Dr. Ji, Chao(Periodontics, Central Smile, 홍콩)와 Prof. Chen, Hui (Prosthodontics, The Univ. of Hong Kong)가 ‘Full-arch implant-supporteds fixed prosthesis, Myth and reality’를 주제로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의 수술 단계부터 최종 보철 단계까지를 아우르는 전 범위의 치료에 대한 고찰과 고견을 제시해 주목받았다. 강연과 함께 다양한 임상 증례와 독창적인 연구에 대한 여러 회원의 포스터 발표 및 전시도 진행됐다. 이중 류현수 전공의(연세치대 통합치의학과)가 ‘전치 저작 환자의 임플란트를 동반한 상악 구치 임시 보철 수복증례’를 발표해 최우수 포스터를 수상했다. 이날 학술집담회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200여명의 치과의사와 관계자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성황을 이뤘다. 통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 10월 12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DENTIS WORLD SYMPOSIUM(DWS) in LISBON’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포르투갈 리스본 Champalimaud Center Auditorium에서 열린 이번 심포지엄은 최신 치과 임상 트렌드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로, 유럽과 미국, 중동, 아시아 등 전 세계 20여개국에서 300여 명의 치과의사들이 참여했다. ‘The Big Wave Part 2: Catch the Wave’를 대주제로 한 심포지엄은 총 7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포르투갈, 튀르키예, 니카라과, 이집트, 스페인, 베네수엘라 등 각국을 대표하는 연자들이 다양한 임상 증례를 기반으로 열띤 강연을 펼쳤다. 우수 포스터 시상식에서는 러시아의 Dr. Alexander A. Danilov가 ‘Bimaxillary prosthetic rehabilitation on 10 Dentis implants using an intraoral scanner. Application of the “DK (Danilov & Konstantinov) bridge techniqu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심미치과학회(회장 김진환·이하 심미치과학회)가 올해 시작한 국제교육원 사업의 첫발을 뗐다. 심미치과학회는 지난 10월 12일, 서울대치의학대학원에서 ‘2024 Advanced Esthetic Hands-On’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학회가 새롭게 선보인 이번 국제교육원 프로그램에는 △대만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해외 치과의사 14명이 등록했다. 심미치과학회는 지난 2016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는 인정의 교육원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치부 라미네이트와 올세라믹 크라운에 대한 강연과 핸즈온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김진환 회장은 “초도이사회 때 밝혔던 학회의 확장을 국제교육원이라는 플랫폼으로 시작하게 돼 더욱 뜻깊다”고 전했다. 김우현 국제교육원장은 “처음 선보인 프로그램임에도 현장에 참석한 참가자들의 반응이 매우 뜨거웠다”면서 “올해 경험을 토대로 내년에는 더욱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김재구·이하 KORI)가 지난 10월 4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KORI 회의실에서 ‘KORI Standard Edgewise Typodont Course(이하 KORI SET Course)’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매년 두 차례, 봄과 가을에 열리는 KORI SET Course는 이번에 74차를 맞았다. 러시아, 중국, 우크라이나에서 온 28명의 해외 연수생들이 1주일간의 교육을 받았다. 강규석 코스 디렉터의 지휘 하에 김재구 회장과 정성호 코스 코디렉터 등 10명의 KORI 인스트럭터들이 교육을 담당했으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총 6명의 외국인 helper가 참여해 자국민의 교육을 도왔다. 또한 연수회를 지원하고 참가자들을 격려하기 위해서 이선국 Charles H. Tweed 국제교정연구회 한국지회 회장이 연수기간 동안 함께 했다. 코스 커리큘럼은 Edgewise 술식의 습득을 위한 이론 강의와 실습으로 구성돼 있다. 실습은 △Basic Wire Bending Exercise △Soldering △1st Order Exercise △Anterior 3rd Orders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디지털 기술의 혁신이 치과진료의 전반적인 흐름을 바꾸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저스트스캔이 더욱 발전된 ‘Same-day Dentistry’ 솔루션을 제안해 관심을 모은다. 오는 11월 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저스트스캔 세미나 2nd’에서는 저스트스캔이 제시하는 치과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공개된다. 치과의사인 저스트스캔 지진우 대표는 진료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고민했고, 그 과정에서 디지털 덴티스트리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Same-day 치료’, 즉 하루 만에 치과치료를 완성하는 솔루션에 주목했다. 지진우 대표는 “치과치료는 통상 여러 번에 걸쳐 진행돼왔으나,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많은 치료가 하루 안에 이뤄질 수 있게 됐다”면서 “세미나에서는 Same-day 치료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개원가에서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다룰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Modern Same-Day Dentistry’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발전과 더불어 관심이 높아진 ‘Same-day 덴티스트리’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하루 만에 임플란트, 보철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연조직 처지에 대해 임상가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본 개념과 이론을 배울 수 있는 세미나를 오는 11월 24일 서울 마곡 오스템연수센터 세미나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FGG(Free Gingival Graft), CTG(Connective Tissue Graft)의 개념과 연조직 대체재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도 및 숙련도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이에 조인우 교수(단국치대)가 연자로 나서 이론 교육과 핸즈온 실습 등을 지도할 예정이다. 조인우 교수는 임상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연조직 처지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이론을 다루고 △연조직 수술에 대한 분류 및 수술 방법 정리 △FGG를 활용한 전정성형술 △CTG를 활용한 치근피개술 등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핸즈온에서는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연조직 수술에 대한 이해와 적응을 목적으로 돼지 턱뼈를 이용해 자가조직 채취 및 FGG/CTG 실습은 물론, 연조직 대체재료인 콜라겐 매트릭스를 이용한 치주 실습까지 체험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오스템 관계자는 “이번 조인우 교수 세미나는 가이스트리히 Mu-cograft, Fibr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후원하는 ‘TEAM AZIT’가 ‘AZIT 연수회’ 2기 모집을 시작한다. TEAM AZIT(A to Z Implant Training)는 임플란트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함께 배우고 나누기 위해 모인 임상가 그룹으로 김용진 원장(예스미르치과)을 비롯해 최진 원장(서울미르치과), 손영휘 원장(e-좋은치과), 박정철 원장(효치과), 나기원 원장(예스미르치과), 이윤형 원장(예스미르치과), 김진구 원장(연세구치과) 등 총 7인의 임상가가 함께한다. AZIT 연수회는 지난 2월 임플란트 교육에 갈증을 해소하고 치과계 발전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연수회로 기획해 현재 1기가 순항하고 있다. 2기는 세부 프로그램을 한층 더 강화해 내년 3월을 시작으로 2026년 12월까지 총 40강 프로그램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AZIT 연수회 2기는 보다 풍성한 강의 프로그램을 구성, 임플란트 수술 및 보철의 기초부터 심화 과정 그리고 최신 디지털 임상까지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각 단계에 맞춘 탄탄한 이론과 함께 핸즈온 및 라이브 서저리까지 경험할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1기 참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움이 지난 10월 19일 바르셀로나 CCIB 오디토리움에서 ‘2024 바르셀로나 월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2017년 이후 바르셀로나에서 7년 만에 다시 개최된 이번 월드 심포지엄에는 총 28개국에서 1,000여명이 참석했다. bright 임플란트와 DASK Simple을 활용한 혁신 솔루션 등 이전보다 더욱 발전된 치과기술과 디지털 솔루션으로 주목을 받았다. 덴티움 관계자는 “최근 세계 곳곳에서 발발한 전쟁과 분쟁으로 비자발급에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전 세계에서 1,000명 이상이 심포지엄을 찾았다”며 “스페인 최고 치과대학인 UIC(Universidad Internacional de Catalunya) 학생 200여명을 비롯해 세계 각국의 참여자에게 자사 제품에 대한 핸즈온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등 열기가 매우 뜨거웠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월드 심포지엄을 통해 미국치과협회의 인증을 받은 UIC와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유럽 내 영향력을 확대하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심포지엄은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먼저 Surgery 세션에서는 Dr. Quevedo(UIC)가 Short 임플란트 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