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마을의 아침 2020 / Gwangyang Nikon Z7 | 15㎜ | F11 | 1/125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매화마을에 도착했을 때는 가로등도 없는 어둠 속에서 아무것도 볼 수가 없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하늘은 서서히 밝아지고 어느새 지평선 너머로 해가 떠올랐다. 언덕을 가득 덮은 흰 매화는 아침 햇빛을 받아 찬란한 금색으로 보였다. 겨울이 따뜻했기에 아직 차가운 공기 속에서도 봄이 예년보다 더욱 빨리 찾아왔나 보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한국판 촬영 HOYA Global Ambassador 2018 개인전 ‘COSMOPOLITAN’ Gallery NAMIB 2020 개인전 ‘COMPLEX-ITY’ 갤러리탐 탐앤탐스 블랙 청담점
코로나19가 지구촌을 덮었고 일상을 집어삼켰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결국 생활을 간소화시켰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개인적인 시간이 많아지게 되었다. 개인적인 시간을 누려보지 못한 사람들은 당황할 수 있다. 특히 치과의사들처럼 늘 바쁘게 움직이던 사람일수록 더욱 그럴 것이다. 게다가 지속되는 암울한 뉴스와 현실을 걱정하다 보면 점점 더 우울해지는 모드로 몰입하게 된다. 이때 우울모드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우선 생각을 전환해야 한다. 남는 시간을 근심과 걱정에 사용하지 말고 즐거움과 행복으로 전환해야 한다. 시간이 지나야 해결되는 것들은 그냥 놔두면 되는 것이 자연계 법칙이다. 혹독한 추위도 때가 되면 사라지는 것이 자연법칙이다. 오랜 옛날 혹독한 추위를 피해 동굴에 머물던 사람들 가운데 벽에 그림을 그리며 놀았던 사람들은 동굴벽화라는 작품을 남겼다. 자연계에서 현실이란 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최재천 교수는 코로나19에게 인류는 블루오션이라고 설명했다. 자연법으로 보면 코로나19는 얼떨결에 인류에 들어와 보니 블루오션이다. 그런데 숙주가 너무 약해서 금방 죽어버린다. 결국 자연법은 숙주를 오래 살리는 방향으로 흐를 것이고 시간이 지나면 코로나19 치명률은 감
Fly to the Manhattan 2018 / New York Nikon D850 | 15㎜ | F11 | 8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바둑판처럼 잘 정리된 도로 체계의 그리드와 그 그리드를 가로지르는 브로드웨이로 구성된 뉴욕은 대표적인 계획도시다. 그 전경을 조망하기 위해 맨해튼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헬기에 탔다. 맨해튼, 미드타운, 센트럴파크가 차례대로 펼쳐지는 스카이라인은 땅에서 볼 때는 웅장함을, 하늘에서 볼 때는 치밀함을 보여준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한국판 촬영 HOYA Global Ambassador 2018 개인전 ‘COSMOPOLITAN’ Gallery NAMIB 2020 개인전 ‘COMPLEX-ITY’ 갤러리탐 탐앤탐스 블랙 청담점
요즘 봄날 햇살이 따스하다. 겨우내 길어진 머리칼이 거추장스러워 자르고 싶었지만 코로나19 때문에 미루다가 지난 일요일에 드디어 손질했다. 마스크로 중무장하고 늘 다니던, 젊은 남자사장의 헤어숍을 들러 머리칼을 자르고 나니 시원하고 개운하다. 8,000원이라는 사장에게 1만원을 드리니 고마워한다. 현금을 사용하던 시절에는 택시탈 때 같이 종종 잔돈을 거슬러 받지 않는 즐거움이 있었지만, 요즘 모든 것을 카드나 스마트페이로 결제하다 보니 조그만 고마움과 성의 표시가 사라졌다. 가벼운 마음으로 문을 나서고 바로 옆에 위치한 개인이 운영하는 커피숍에서 아메리카노를 주문했다. 일요일 오전에 느끼는 여유와 넉넉함이 감미로운 커피향과 아우러져 잠시나마 일상의 행복을 느꼈다. 돌아오는 길에 2년간 손질을 미뤄왔던 고무나무 분갈이를 위해 화원에 들러 화분과 흙을 사고 눈에 띄는 화사한 꽃 화분도 하나 샀다. 고무나무 뿌리가 화분 밖으로 탈출까지 한 것을 보니 그동안 무슨 일로 분갈이도 못해 주었나 하는 반성을 하며 정성껏 끝내고 물을 흠뻑 주고 나니 마음이 뿌듯하다. 고무나무가 고맙다고 말을 하는 듯하다. 미뤄왔던 일을 해결하니 자신이 대견해졌다. 요리가 취미이다 보니 저
저녁을 먹으려고 테크노마트 엘리베이터를 탔다. 벽에 영화 ‘기생충’ 포스터가 보인다. 아카데미상 트로피 4개가 그려진 수상 기념 포스터였다. ‘2020년 아카데미상 4개 부분 수상’이란 말을 10년 전에 했다면,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는 이야기보다도 10배는 더 안 믿었을 것이다. 봉준호 감독이 소감에서 언급한 ‘인셉션’ 영화처럼 꿈속 이야기 같다. 기생충이 국가 간 계급을 넘어선 것에 대해 찬사를 보낸다. 정확히 표현하면 주류에 합류한 것에 대해서이다. 한국이 영화도 만들 줄 아는 나라라고 이제 알게 될 사람들과 그들을 만날 한국 사람들에게도 좋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영화는 종합예술이다. 감독이 주도하고 자본이 투입되고 관객이 호응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늘 감독이 원하는 대로 작품이 해석되는 것만은 아니다. 영화‘82년 김지영’이 그렇다. 감독은 영화를 통해 현시대를 살아가는 30대 여성이 느끼는 아픔을 나타냈다. 하지만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는 필자 시각에서는 작가 의도는 좋았지만 과한 설정이 영화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트렸다. 감독은 육아와 경력단절, 한국적 가족문화 속에서 겪는 여성갈등을 표현했다. 올해 39세인 주인공은 이따금 엄마 인격이나 할머니
일상을 살면서 매일이 같고 따분하고 무료하다고 말한다. 시험에 합격하거나 진급을 하면 기뻐하지만, 그 또한 시간이 조금 지나면 곧 일상이 된다. 요즘 코로나19로 하루하루가 긴장인 상황이 되고 보니 그런 일상에서 누렸던 평범함이 얼마나 행복하였는가를 새삼 깨닫게 되었다. 별일 없는 무료한 하루가 진정으로 행복하고 기쁜 날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일상에서 기쁨이란 것은 맥주를 마실 때 첫 번째 한 모금 같은 짜릿함뿐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통상 기쁨은 익숙함으로 바뀌고 다시 일상이 되고 무료함으로 변한다. 지금 코로나19는 우리를 힘들게 한다. 사람이 있는 곳은 어디를 가도 조심하고 긴장을 늦추질 못한다.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급감하고 고객들은 매우 예민해져 있다. 매스컴을 보면 볼수록 우울모드로 들어간다. 연관된 모든 것이 우리를 힘들게 한다. 반면 그 속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고전분투하는 의료진들과 관계자들 모습은 삶을 기쁘게 만든다. 하지만 자신들 동선을 숨기며 타인에게 배려하진 않는 사람들 모습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이처럼 한 가지 사건에서 기쁨, 슬픔, 어려움을 모두 경험한다. 물론 경중이 있다. 경중 또한 자신 기준으로 생각하니 타인 입장에서 보면 또 다
Fog City 2020 / San Francisco Nikon Z7 | 45㎜ | F8 | 1/200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1월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했다.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에서는 보통 봄, 가을의 일교차가 큰 날 오전에만 안개를 잠깐 볼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샌프란시스코의 날씨는 달랐다.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Fog City라는 별명처럼 일정 중 절반은 안개가 자욱하게 낀 도시를 마주했다. 아침에는 안개가 많이 끼어 있더라도 지표면이 따뜻해지는 낮에는 맑은 하늘이 보이는 경우가 많으니 여유 있게 여행 일정을 짜는 것이 좋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한국판 촬영 HOYA Global Ambassador 2018 개인전 ‘COSMOPOLITAN’ Gallery NAMIB 2020 개인전 ‘COMPLEX-ITY’ 갤러리탐 탐앤탐스 블랙 청담점
대구, 울산, 포항, 부산시치과의사회와 경남·경북치과의사회의 임원 및 회원 치과의사 선생님들께 위로의 말과 힘내시라는 응원을 보냅니다. 생각치도 못했던 코로나19 유행으로 당황스럽고 참담하시기까지 하리라 생각합니다. 글을 쓰면서도 여러 선생님의 얼굴이 떠오르고 스쳐 지나갑니다. 모두 힘든 여건에서 조금 더 힘을 내시고 견딜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호흡기 전염성이 강한 코로나19 현장에서 환자 구강보건을 담당해야 하는 치과의사는 절대적으로 감염에 취약합니다만, 전신 스크럽을 하고 진료할 수 없는 것도 개원 치과의사들의 현실입니다. 환자를 진료할 때마다 감염 우려에 대한 두려움은 증가됩니다. 지난주 제가 근무하는 대학병원에서 치과 직원 1명이 발열증상을 보여 모두 긴장하였습니다. 그 순간 수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2주 동안 자가격리는 어떻게 하나, 치료 중인 환자는 어떻게 하나, 당장 오늘 저녁은 어디로 가나, 그동안 진료한 환자에게 어떻게 알리나, 가족들은 감염되지 않았을까 등등 수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도 지금 이 지역 선생님들은 저보다도 더 심하게 매일매일이 그와 같은 나날이라 생각됩니다. 진료한 환자가 확진자로 판명되면 어떻게 하나, 내가 걸리면
눈 내리는 캠퍼스 2020 / Gwangju Nikon Z7 | 28㎜ | F7.1 | 1/200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따뜻한 광주에서 이번 겨울 처음으로 제대로 된 눈을 맞이했다. 조선대학교 캠퍼스는 독특한 외관의 본관 건물이 동구 지역 어디에서나 눈에 띌 정도로 인상적이다. 건물이 만들어내는 선은 눈이 내리는 날 유독 아름다웠고, 눈이 잔뜩 내리는 동시에 파란 하늘이 잠깐 열린 순간 셔터를 눌렀다. 마치 동화 속 같은 눈 내리는 겨울날을 사진에 담았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한국판 촬영 HOYA Global Ambassador 2018 개인전 ‘COSMOPOLITAN’ Gallery NAMIB 2020 개인전 ‘COMPLEX-ITY’ 갤러리탐 탐앤탐스 블랙 청담점
우수가 지났다. 이제 얼었던 얼음이 녹기 시작한다. 보름 뒤 경칩에 나올 개구리도 서서히 눈을 뜨기 시작하는 때이다. 늘 그러하듯이 세상은 역시 시끄럽다. 지금은 코로나19이다. 정치적인 것과 부동산 뉴스가 간간이 들린다. 그중 필자가 걱정해오던 한 사건이 유발된 것에 마음이 아프다. 며칠 전, 한 아파트에서 34세 전문인이 투신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뉴스에 의하면 같은 전문인인 아내(42세)와 두 아이(아들 5세, 딸 1세)는 침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고 한다. 우선 고인들의 명복을 빈다. 보도에서 최근에 영업장을 한 개 더 개원하고 인테리어로 고민했다는 기사가 눈에 띈다. 기존 업장이 잘되고 있어서 경제적인 어려움은 아니었다고 전한다. 동료들은 긍정적이고 밝은 사람이었는데 미스터리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전반적인 내용을 들여다보면서 필자는 미스터리한 사건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과는 다를 수 있지만, 보이는 것만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몇 가지 심리적인 사항들이 생각된다. 우선 42세 전문인 아내이다. 5세 아들에 1세 딸을 두었다. 출산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산후 우울증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전문직이며 5세 아들을 지닌 스트레스에
Morning of San Francisco 2020 / San Francisco, USA Nikon Z7 | 24㎜ | F8 | 30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아침 해가 뜨기 전인 오전 7시, 샌프란시스코의 북쪽에 위치한 소살리토의 한 전망대를 찾았다. 전날 밤부터 하늘 전체를 뒤덮었던 짙은 구름이 서서히 사라지고, 지평선과 짙은 구름 사이로 태양의 노란빛이 보이기 시작했다. 강한 바닷바람을 타고 구름이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었기에 30초의 긴 시간 동안 셔터를 열어 두어 구름의 흐름을 사진 속에 담았다. 멈추어 있는 도시와 다리와 대조적으로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구름의 선은, 마치 새로운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연극의 첫 막과도 같아 보였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한국판 촬영 HOYA Global Ambassador 2018 개인전 ‘COSMOPOLITAN’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