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료정책연구원에서 2019년 8월에 공개한 이슈리포트 ‘치과의사의 스트레스 원인과 관리전략’을 보면 요즘 치과의사들의 정신 심리 상태가 좋지 않다. 치과의사(대상자:치과의사 2.382명, 평균연령 45.4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최근 2주간 우울감을 경험한 치과의사가 60.9%였고, 최근 1년간 자살을 생각한 치과의사는 16.3%였다. 보고서는 우울의 원인을 스트레스로 평가했고, 2009년 경북대에서 연구한 한국치과의사의 번아웃을 한 원인으로 제시했다. 리포트를 보면서 연구원이 분석한 요즘 치과의사들의 우울과 필자 생각은 조금 달랐다. 10년 전 치과계와 지금 치과계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현재 치과의사들이 처한 환경에서 느끼는 상황을 2009년 번아웃 논문을 인용하는 것은 의도는 좋았지만 조금 아쉬움이 남았다. 우선 2009년에 비해 2019년 치과 현실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참담하다’는 표현이 옳을 것이다. 10년 전에는 육체적인 노동 증가로 인한 번아웃이었다면, 지금은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강해진 것으로 번아웃이란 표현을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우울이라 표현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요즘 치과계 환경은 체감경기 침체와 과도한 경쟁으
Shanghai, Glittering Night 2019, Shanghai, China Nikon Z7 | 15㎜ | F10 | 30sec | ISO-64/ http://instagram.com/hansol_foto 중국의 과거를 보려면 시안, 중국의 현재를 보려면 베이징, 중국의 미래를 보려면 상하이에 가라는 말이 있다. 화려한 도시의 색과 하늘을 찌를 듯한 고층 건물들은 낮보다 밤에 더욱 찬란하게 빛이 났다. 세계 여러 나라 도시의 밤을 카메라 속에 담아 보았지만, 상하이는 그 어느 도시보다도 눈부셨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8년 6~8월에 초·중·고생 9,0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에서 33.8%가 자살을 생각해봤다는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의 45.6%는 하루 공부시간이 3시간 이상이었고, 초등학생(41.4%), 중학생(46.1%), 고교생(48.6%)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증가됐다. 반면, 평일 여가시간 2시간 미만은 초(34.5%), 중(40.4%), 고(54.8%)로 나타나 여가시간 부족(평균 44.2%)인 것으로 분석됐다. 평균 하루 공부시간 3시간 이상의 응답자에서 초(41.4%), 중(46.1%), 고(48.6%)로 나타났다. 반면 일주일 동안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가 23.5%였다. 이 자료에서 몇 가지 눈에 띄는 것이 있다. 초등학생의 여가시간 부족(34.5%)과 평균 하루 공부시간 3시간 이상(41.4%)이다. 이는 여러 면에서 사회적인 문제를 유발시킨 초등학생의 과도한 학원이 대표적 원인이다. 우선 아이입장에서 한창 놀아야 할 아이들에게 절대적으로 노는 시간 부족과 장시간 학원수업은 지루함과 집중력 감소를 유발시키고, 이것은 심리안정이나 정서 등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한다. 요즘 증가하는 ADHD와도
Men in Black 2019, Seoul, Korea Nikon Z7 | 24㎜ | F13 | 1/5sec | ISO-64/ http://instagram.com/hansol_foto 시작은 비록 외롭고 비교적 낮은 길이지만, 그 길을 휘어져 돌아간 끝에는 군중의 중심에서 당당히 나타날 것이다. Though your beginning was insignificant, Yet your end will greatly increase.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티
Main Station 2015, Helsinki, Finland Nikon D800 | 24㎜ | F20 | 0.4sec | ISO-50 /웹페이지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카메라와 여행한다는 것은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다. 컴퓨터 한 켠 깊숙이 자리한 사진을 꺼내어 볼 때는 그때 그 순간, 장면, 분위기와 생각 속으로 다시 여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티벌 룸부스전, 영상전 @명동 L7호텔 개인전 -
Way Back Home 2019, Seongnam, Korea Nikon Z7 | 105㎜ | F4 | 0.8sec | ISO-640 아찔하게 오르내리는 언덕길, 그 길의 끝은 누군가의 삶의 공간이다. 도시에서의 삶은 언덕길처럼 힘이 들 수는 있지만, 집에 도착한 그 날의 끝에는 ‘수고했어 오늘도’ 한 마디의 안락함이 맞이할 것이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티벌 룸부스전, 영상전 @명동 L7호텔 개인전 - ‘COSMOPOLITAN’ @해방촌 Gallery
여름휴가를 끝내고 KTX에서 내리니 택시 승강장에 줄이 길게 늘어섰다. 필자 바로 앞에는 30대 중반으로 보이는 엄마와 3~4학년 정도로 보이는 딸, 1학년 정도 된 아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오랜 시간을 기다리다 보니 우연히 그들의 대화를 듣게 되었다. 딸은 계속해서 당장 백화점으로 무엇인가를 사러 가자고 졸랐고, 엄마는 짐이 많으니 집으로 가자는 이야기였다. 사실 엄마는 오른손에 큰 트렁크 한 개와 핸드백을 메고 왼손에는 아이들 학습지 가방과 파라솔을 들고 있었다. 딸은 아무것도 들고 있지 않은 반면, 아들은 작은 백팩을 메고 있었다. 딸은 택시를 타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졸랐고 엄마는 끊임없이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택시가 오고 엄마가 트렁크에 짐을 실으러 가지만 딸은 거들기는커녕 뒷좌석에 먼저 올라탔고 그 다음으로 동생이 탔다. 그 가족이 떠나는 모습을 보면서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다. 만약 엄마가 자신이 가진 3개의 짐 중에서 딸이 감당할 수 있는 학습지 가방과 파라솔 혹은 자신의 핸드백을 딸에게 맡겼다면 상황이 조금 달라졌다고 생각한다. 그 많은 짐을 들고 백화점에 가자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짐 없는 딸이 엄마의 고충을 모르기 때문이다. 만약 딸도
The Unknown Travel 2019, Adiyaman, Turkey Nikon Z6 | 70㎜ | F5.6 | 1/250sec | ISO-100 짙은 안개 속 목적지가 보이지 않는 산을 향해 떠나는 길. 때때로 여행은 미지의 세계로 한 걸음 내딛는 구불구불하고 긴 길이다. 마치 눈앞의 언덕을 넘어가면 새로운 세상이 펼쳐지고, 그 뒤의 산을 또 넘어가면 안개가 걷히며 눈부신 태양이 반겨줄 것이라는 기대를 품는 것처럼.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티벌 룸부스전
7년 전 베스트셀러였던 ‘로마인 이야기’의 한국어판 서문에서 저자 사오노 나나미는 “이웃나라끼리 친한 곳은 없다”라고 말하며 한국인과 일본인을 떠나 동양인이라는 관점에서 서양사를 읽어보라고 권했다. 그녀의 말처럼 호주와 뉴질랜드, 프랑스와 독일 등 가까운 나라는 친하지 않다. 역사적으로 얽히고설킨 것이 많기 때문이다. 친한 일본 친구가 많은 필자에게 최근 극우주의자 아베의 극단적 선택은 그리 달갑지 않다. 물론 미국이 트럼프가 전부가 아니듯 아베가 일본을 대변하진 않는다. 그러나 역사는 항상 누군가의 선택에서 변화가 시작되어왔다. 사마천의 사기에서 누군가의 선택은 늘 역사를 바꾸었다. 괴철이 조언한 3국 분할을 한신이 받아들였다면 유방은 한나라 건국이 어려웠고, 우리는 또 다른 삼국지를 읽었을 것이다. 진나라 승상 이사가 사구정변에서 지록위마 간신 조고의 유혹을 뿌리쳤다면 진나라는 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사면초가에서 항우가 훗날을 위하여 오강을 건넜다면 유방이 전쟁에 질 수도 있었다. 오월동주의 부차가 오자서의 충고를 들었다면 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역사는 매순간마다 행한 선택이 결과를 바꾸는 것을 보여주었다. 일본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과 협상에서 유
Manhattan Heart 2018, NYC, USA Nikon D850 | 12㎜ | F11 | 1/8sec | ISO-64웹페이지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전 세계에서 가장 도시적인 느낌이 강한 곳은 바로 뉴욕이다. 비록 지금은 더 높은 건물이 맨해튼 시내에 많지만,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내게 뉴욕의 심장과 같이 느껴졌다. 강렬한 일몰빛이 수많은 건물들의 옆모습을 따갑게 비추었고, 그 날 저녁 나 또한 그 일몰을 맞이하는 수많은 사람들 중 하나였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