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발행인칼럼

[발행인칼럼-9] 왜 의료인은 돈을 벌면 안 되는가?

URL복사

글/김민겸 발행인(서울시치과의사회장)

 

왜 의료인은 돈을 벌면 안 되는가?

 

예과시절 자연과학대학 수업을 듣던 중 지나가는 한마디 “타인의 질병과 아픔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의사는 그리 좋은 직업은 아니지 않나요?”

 

그 말에 잠깐 황당했었는데, 그렇다면 △타인의 무지나 학벌욕구를 이용해서 돈을 버는 강사라는 직업은? △타인의 배고픔과 식탐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쉐프는? △타인의 무료함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예능 피디는? △타인의 허영을 이용해 돈을 버는 백화점은 또 어떤가?

 

세상을 ‘만인 대 만인의 착취’로 보는 그런 황폐한 세계관이 지성인의 요람이라는 대학에서 수업시간에 표현된다는 것이 놀라울 뿐이었다. 올드보이의 한 대사가 떠오른다. “웃어라, 온 세상이 너와 함께 웃을 것이다. 울어라, 너 혼자만 울게 될 것이다.”

 

중요한 건 ‘강제했는가’이다
누구도 그 식당에서 강제로 밥을 먹게 하거나, 그 예능프로 시청을 강제하지 않는다. 의사가 무조건 자신에게 치료를 받으라고 강요했는가. 자유시장이라는 건 개인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면 그만이고, 싫으면 거래를 안 하면 그만이다. 자신의 의지로 자유롭게 선택하고 거래한 후에는 상대에게 만족감과 고마움을 표하는, 승자만 있고 패자는 없는 곳이 바로 자유시장경제다.

 

이기심은 개인과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다
강력한 군대를 원한다면, 얼차려와 갑질을 할 게 아니라, 미국처럼 군인에게 명예와 부를 주면 된다. 훌륭한 인재들이 군인이 되기 위해 줄을 설 것이다. 군인들의 이기심을 탓하면서 아무런 대가 없이 희생을 강요하면서, 어찌 감히 군사 강국을 꿈꿀 수 있을까. 

 

높은 질의 의료를 원하는가. 좋은 치료를 받고 싶은가. 그렇다면 의료인을 존중하고 그 최소한의 대가를 치러라. 전 세계 최저가로 최고수준의 의료를 누리면서도, 말도 안 되는 원가 타령하면서 의료를 유통업으로 매도하고, 국민의 혈세를 들여 비보험진료 가격비교사이트까지 만들어 저질 의료를 장려하면서도, 뛰어난 인재들이 의대를 지원하고, 의학연구에 매진하기를 기대하는가.

 

가장 어이없는 게 원가논쟁이다
화가가 10분 만에 기가 막힌 그림을 그렸다 치자. 하지만, 그 그림에는 그 화가의 필생에 걸친 눈물겨운 노력이 담겨있다. 누가 피카소나 고흐의 그림을 물감값으로 퉁치는가. 그 직업은 물감을 캔버스에 배달하는 택배업이란 말인가. 

 

어설프게 재료 항목 하나만으로 의료원가를 억측하면서 주기적인 마녀사냥을 하는 썩은 언론들. 그에 부화뇌동하는 키보드워리어들. 그러는 당신 언론인들은 점심값과 노트북에 공급될 전기값이면 그 기사의 원가로 족할 것인가. 타인의 노력을 폄훼하지 말라. 싫으면 안 사면 그만 아닌가. 

 

의사가 돈을 잘 벌어서 부럽다고?
그렇다면 당신이 직접 해보거나, 자식에게 권해보라. 치열한 경쟁을 뚫고 의대 들어가서 어렵게 졸업하고,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월급을 받으며 인턴 레지던트 펠로우까지 젊은 청춘 다 마치고, 영끌대출 받아 개업하고, 세금까지 내 보라. 자의 반 타의 반 슈바이처의 길을 가고 있는 이 땅의 의료인들을 존경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며, 혹여라도 이민 갈 기회가 있다면 의료천국 대한민국에 살았던 것을 평생 술안주거리로 자랑하고 그리워하게 될 것이다.

 

남의 노력과 땀에 고마워 할 줄 아는 게 자유시장경제를 사는 시민의 교양이고, 타인의 피눈물을 억지로 요구하는 건 무자비한 폭력이자 전체주의다. 상대에게 뭔가 가혹한 걸 요구하기 전에 내가 그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서 그의 인생을 보낸다면 혹시 이 요구가 억울하지 않을 지를 생각해 보라. 그게 존 롤스가 말하는 정의론의 요체이다. 

 

개와 늑대의 시간
아픈 당신을 위해 밤잠을 줄여가며 고민하고 땀을 흘려줄 사람이 누구고, 세 치 혀로 환자와 의료인 사이를 이간질하며 그 막대한 이권을 챙기는 쪽이 누구인가를 생각해보자. 과연 누가 당신을 노리는 늑대고. 누가 당신을 지켜줄 개인가.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8월 금리인하 사이클 후반부, 금 자산배분 전략

2025년 8월 현재 글로벌 자산시장은 금리 사이클의 후반부로 진입하면서 각 자산의 가격 흐름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미국 증시는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으며, 달러와 금, 미국채 등은 저점에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금은 이번 사이클에서도 핵심적인 안전자산으로서 의미 있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을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진단하고, 금 투자와 자산배분 전략을 어떻게 바라볼지 살펴보고자 한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은 금리 사이클을 여섯 구간으로 나누어 자산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한다. 현재는 금리 인하기(A~D) 중에서 B 이후 C로 향하는 구간의 후반부에 해당하는데, 이는 첫 번째 금리 인하가 시작된 이후 경제위기 국면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황이다. 이 구간에서 위험자산은 마지막 랠리를 펼치며 고점을 경신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최근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은 신고가를 기록하며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를 반영했다. 반면 금과 미국채, 달러 같은 안전자산은 아직 본격적인 반등 국면에 진입하지는 않았지만, 사이클상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곧 상대적 우위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사이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