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서울시치과의사회(회장 강현구·이하 서울지부) 제74차 정기대의원총회가 오늘(3월 22일) 치과의사회관에서 개최 중인 가운데, 회무·결산·감사보고에서 대의원들의 날카로운 질문이 쏟아졌다.
먼저 감사보고에 나선 이경선 감사는 “직선 3기 강현구 집행부는 회원과 약속한 공약사업 취지로 3개의 상설특위(△보조인력사업특별위원회 △불법의료광고 및 저수가덤핑치과 대책 특별위원회 △병원경영개선지원특별위원회)를 운영하며 사업의 집중도를 높이고 있다. 임기 2년차를 맞으며 회원들의 피부에 와닿는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진료스탭 긴급지원서비스, 본인부담금 할인 등 불법 환자유인행위 치과에 대한 고발 및 환수조치, 보험·노무·경영 등 회원 관심사에 초점을 맞춘 권역별 강연 등 서울지부의 대표적인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더불어 서울지부 창립 100주년 기념 SIDEX와 구강보건의 날 행사 등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더 많은 회원과 시민들이 함께 기념할 수 있는 다각적인 홍보방안을 강구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는 대의원들의 다양한 질의가 쏟아졌다. 먼저 마포구회 노형길 대의원은 “100주년 기념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운영기금 특별회계’에서 1억원을 차입한다고 돼 있는데, 100주년 기념사업이 SIDEX나 치과신문과 같이 수익을 내는 사업이 아닌데 1억원을 어떤 방법으로 상환할 계획”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양준집 재무이사는 “행사에는 항상 재정적 부담이 따르기 마련이다. 지난해에는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최소한의 예산이 사용됐는데, 올해는 본격적으로 행사를 준비해야 하는 만큼 관련 예산을 모두 예비비로 충당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런 차원에서 운영기금에 1억원이라는 예산을 회계상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라며 “회비를 가지고 행사를 진행하는 만큼, 계획에 맞춰 최대한 아껴 지출하고 다시 채워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현구 회장의 부연설명도 있었다. 강현구 회장은 “100주년 기념사업을 효과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는 몇 해 전부터 관련 예산을 적립해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상징적으로 1억원의 예산을 운영기금 특별회계에 차입했는데, 그 중 지출한 것은 1,600만원 밖에 되지 않는다. 최대한 아껴서 사용하고 다시 채워 넣을 것이다. 상환방법에 대한 집행부의 복안도 가지고 있다. 일반회계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반드시 상환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진료스탭 긴급지원 서비스가 민간업체의 사업과 너무 비슷해, 진료스탭의 몸값만 올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에 대해 조정근 부회장은 “서울지부의 진료스탭 긴급지원 서비스는 민간업체의 사업과는 결이 다르다. 민간업체의 사업은 치과위생사의 시급을 많이 지급하면 할수록 쉽고 빠르게 인력을 구하는 구조로 돼 있다. 이러한 구조는 경제적 과다출혈을 야기하는 치과의사에게 매우 불리한 시스템”이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회원들이 적절한 인건비로 빠른 시간 안에 진료스탭을 구할 수 있도록 한 사업이 진료스탭 긴급지원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불법덤핑치과 근절을 위한 TV조선과의 공익광고 캠페인에 대한 대의원의 호평도 이어졌다. 용산구회 김성욱 대의원은 “TV조선 공익광고 캠페인이 서울지부 이름으로 나가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서울지부 회원으로서 매우 뿌듯하기도 했다”며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니 만큼, 서울지부보다는 치협 홍보비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 종편이 아닌 지상파 방송국을 통해 공익광고 캠페인을 했으면 한다. 회원 모두에게 득이 되는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동경도치과의사회와의 교류성과를 묻는 질문에 “동경도치과의사회의 주선으로 동경의과치과대학을 방문, 구강노쇠와 방문진료에 대한 일본의 사례를 배우는 등 우리나라 돌봄정책 속 치과계의 중요성과 접근방식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며 “의료복지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일본의 사례를 배울 점이 있다고 판단, 규모를 축소하더라도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