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오는 5월 24일과 25일 양일간 경북대학교 글로벌 플라자에서 제18회 메가젠 국제 심포지엄(MegaGen International Symposium)을 개최한다.
올해로 18회를 맞이하는 메가젠 국제 심포지엄은 ‘Beyond the Limits of Bone: 30 Years of Challenges and the Path Forward’를 주제로, 30년 동안의 임플란트 혁신을 되돌아보며,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글로벌 최고 GBR 권위자 연자 14명이 한자리에
기존의 뼈 이식 방법, 즉시 임플란트 식립, GBR, Ridge 증강 등을 통해 치조골을 보존하려는 노력들이 있었지만, 그 어떤 방법도 완전히 뼈 흡수를 예방하지는 못했다. 심지어 성공적인 ridge 증강 후에도 10년이 지나면 지속적인 뼈 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종종 합병증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30년간 GBR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연자 14명이 다양한 케이스의 부족한 골에서 그간의 모든 술식과 테크닉을 도전해 온 성공과 실패 사례를 제시할 예정이다.
첫 날인 5월 24일에는 미국 USC치과대학의 Thomas J. Han 교수가 ‘임플란트 주변 골재생의 40년 역사’를 통해 GBR 치료 술식의 발전 과정과 장기적 임상 예후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 스페인 UAX대학 및 미국 루이지애나치과대학에서 활발히 활동중인 Ramon Gomez Meda 교수가 ‘Bone Augmentation 실패의 예방과 관리’를 강연한다.
또한 GBR 분야 최고의 권위자이자 국제임플란트학회지 편집장인 미시간치과대학의 Hom-Lay Wang 교수가 ‘GBR 실패 사례와 장기적 임상 관리’를 통해 GBR의 핵심 원칙을 전달할 예정이다. 프랑스의 Dr. Georges Khourys는 ‘MPIⓇ 콘셉트와 골 이식재 재형성의 향상’을 주제로 수직 및 수평적으로 부족한 골량을 가진 환자의 치료법을 제시한다.
구기태 교수(서울치대)는 ‘치조제 보존술의 적응증과 임상 적용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다루고, Partial Extraction Therapy의 개발자이자 Socket Shield Technique의 창시자인 남아공의 Howard Gluckman 교수는 ‘Immediate Implant 치료 시 Socket management의 임상 적용 노하우와 실질적인 테크닉’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이탈리아대학 Davide Farronato교수가 ‘전치부 치조골 결손을 위한 종합적 접근법’으로 첫날 강연을 마무리한다.
둘째 날인 5월 25일에는 GBR과 밀접한 Sinus 분야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밀라노치대 Matteo Chiapasco 교수가 ‘임플란트 실패 후 수직 및 수평 골결손 관리’를, 같은 대학 Tiziano Testori 교수가 ‘최소침습 측방 상악동 증대술(MILS)의 최신 술식’을 각각 다룬다.
이어 루마니아의 Cristian Dinu 교수와 밀라노대학의 Dr. Mattia Manfredini가 공동으로 ‘상악동 거상술의 혁신적 방법’을 소개하고, UCLA치대 Tara Aghaloo 교수가 ‘GBR과 상악동 증대술의 성공률을 높이는 임상 전략’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메가젠 박광범 대표(대구미르치과병원장)가 ‘얇고 결손된 치조골 치료에서 임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소개하고, Zero Bone Loss 콘셉트 개발자인 리투아니아의 Tomas Linkevicius 교수가 ‘Zero Bone Loss Concepts(ZBLC)를 통한 예방적 골 손실 관리법’에 대해 다룬다.
‘Beyond Products, Redefining concepts’
강연 외에도 세계 치과인들과의 교류의 시간도 마련된다. 첫 날 저녁 칵테일 리셉션과 둘째 날 MegaGen Night에서는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 세계 치과의사들이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치의학 발전을 위한 교류의 장이 펼쳐질 전망이다.
메가젠은 올해 ‘Beyond Products, Redefining Concepts’를 새로운 기업 슬로건을 제시했다. 메가젠 측은 “그간 치의학의 고정 관념과 습관을 넘어선 새로운 개념과 기술을 통해 어떠한 Bone에서도 치과의사들이 모든 어려움을 극복하고, 즉시·조기 로딩의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도록 끊임없는 혁신을 제공해 나아가고 있다”고 기술과 혁신의 방향을 밝혔다.
메가젠은 지난 2009년 core와 thread 개념을 분리해 어떠한 골질에서도 높은 초기 고정력을 제공하며 즉시 식립과 조기 로딩을 가능하게 한 AnyRidge 임플란트를 시작으로, 칼슘 이온을 결합해 표면이 파란색이 특징인 나노 표면 처리 기술 XPEED를 개발해 골결합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AnyRidge와 같은 기능과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임플란트 대비 2배 높은 강도로 파절 위험을 최소화한 BlueDiamond 임플란트를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임플란트의 한계를 극복해왔다.
특히 4세대 임플란트 ARi와 BD Cuff 임플란트는 GBR 없이 얇거나 낮은 치조골과 결손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치조골 소실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최종 보철까지의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골질이 좋지 않은 환자도 좋은 예후가 가능한 임플란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메가젠 국제 심포지엄은 70여개국 2,000명이 넘는 인원들이 방문할 예정으로, 대구시와 경북대학교에도 경제적, 문화적 이익과 함께 지역 사회에 큰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경북치대를 졸업한 박광범 대표는 지난 2006년부터 모교에 발전기금 7억5,500만원을 전달했을 뿐만 아니라, 지난해부터 10년간 매년 1억원씩 총 10억원을 기부하기로 해 산학협력과 치의학교육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