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회장 이진한·이하 KAO)가 오는 11월 16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2025년 추계학술대회(대회장 김좌영)를 개최한다. ‘골 소실 임플란트, 살릴 것인가 뽑을 것인가?’를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국내외 임플란트 관련 저명 연자들이 나서 다양한 지견을 펼칠 예정이다.

3개 세션과 해외특강 등으로 이뤄지는 학술대회는 임플란트 실패 예방,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임상 노하우가 가감없이 공유될 전망이다. 특히 최근 국내서는 보기 드문 해외연자 초청 특강에 이목이 집중된다. 바로 미국 UCLA 치과대학 예방 및 보철학 부서 학과장이자 Naomi and Jim Ellison 치과복원학 석좌교수인 Reuben Kim 교수의 특강이 마련되기 때문이다.
Reuben Kim 교수는 ‘MRONJ와 임플란트: 살릴 것인가, 제거할 것인가, 혹은 그냥 둘 것인가?’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턱뼈 괴사증(MRONJ)은 비스포스포네이트(BPs) 또는 데노수맙(Dmab)과 같은 골흡수 억제제(ARAs)를 장기간 사용한 후에 주로 발생하는 파괴적이고 잘 낫지 않는 구강 내 병변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MRONJ는 골유착이 이루어진 후에도 치과 임플란트 주변에서 발생한다는 증거들이 늘고 있는데, Reuben Kim 교수는 이와 관련해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짚어줄 예정이다.
그는 “이번 강연에서는 MRONJ를 유발하는 구강과 그 환경의 독특한 특성들을 검토할 것”이라며 “다양한 전임상 시험에서 ARAs가 치과 임플란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임플란트 주변에 MRONJ가 발생한 환자를 관리하는 전략, 즉 살릴지, 제거할지, 아니면 그냥 둘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라고 전했다.
해외 연자 특강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돼 있다. 먼저 김윤정 교수(관악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가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의 최신 지견과 임상 적용’을, 곽규환 교수(경희치대 구강미생물학과)가 ‘임플란트 주위 뼈 안정성의 이해와 증진 전략’을 세션 1에서 다룬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권용대 교수(경희치대 구강악안면외과)가 ‘Against All Odds, 실패를 딛고 일어나다’를, 이재관 교수(강릉원주치대 치주과)가 ‘Failed Implant Site Revisited’를 다루고, 이어 이강운 원장(강치과)이 ‘임플란트 실패와 관련된 분쟁 사례 및 대처 방안’을 주제로 필수보수교육을 진행한다.
마지막 세션 3에서는 이양진 교수(분당서울대병원 보철과)가 ‘남은 임플란트와 살아가기’를, 구기태 교수(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가 ‘PDRN을 이용한 치료의 근거와 올바른 사용법’을 주제로 이날 학술대회 대미를 장식할 예정이다.
KAO 이진한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구강 내 환경과 MRONJ 발생의 특이적 기전과 위험 요인을 검토하고, 항흡수제(ARAs)가 임플란트와 주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 공유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 밖에도 임플란트 실패 요인의 다양한 원인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