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경욱·이하 구강외과학회)의 춘계학술대회 및 총회가 지난달 21일부터 23일까지 사흘 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조선치대 구강외과에서 주관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550여명의 구강외과 의사가 등록해 사흘간의 특강 및 심포지엄, 구연발표, 포스터전시회 등에 참가했다.역대 어느 대회보다 많은 인원이 참가한 이번 학술대회는 구강암과 수술, 그리고 수술 후의 재건, 타 진료영역과의 협진, 임플란트, TMJ 등 구강외과 분야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주제 중심의 심포지엄으로 관심을 모았다. 구강암 수술 후의 재건에 대한 첫번째 심포지엄에서는 이종호 교수(서울치대)를 비롯해 성형외과 의사로서 구강암 및 얼굴 성형재건 분야에서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Dr. 하나소노(미국 앰디앤더슨병원)와 대만에서 활동 중인 Dr. 후첸외이(장군메모리얼병원 성형외과) 등이 함께 강의, 구강암 수술 후 재건 수술에 대한 최신의 경향을 접할 수 있었다.또 23일 오전 심포지엄에서는 광역학 치료를 주제로 의과대학 교수들을 초청해 정형외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전문의들의 강연으로 한 세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김경욱 이사장은 “이미 구강외과의 영역은 덴탈과 메디
△구강외과학회 이사장으로 선출된 소감은?구강외과는 내 자신이 평생 전공했던 분야이고 가장 사랑하는 분야로 그 분야의 학회 이사장을 맡게 된 것은 매우 영광스럽다. 故 이춘근 교수님이 창립한 유서깊은 학회이고, 전임 이사장인 김경욱 이사장의 노력이 있었기에 지금의 구강외과학회로 성장할 수 있었다. 5대 이사장으로 더욱 열심히 일할 생각이다.△앞으로 학회 발전을 위한 계획은?무엇보다 구강외과 분야의 발전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내·외적 사안이 많다. 먼저 대내적으로는 학문 교류를 활성화시키고 학회지의 SCI 등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생각이다. 또 지부 활성화를 위해 중앙회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아울러 학회 자체 내에 있는 구강암연구소, 뼈은행 실행위원회를 활성화 시킬 것이다. 구강암연구소의 경우 구강암에 대한 일반인 인식을 확대시키기 위한 대국민 홍보 활동에 많은 힘을 기울이겠다. 뼈은행 실행위원회 역시 앞으로 치과의 블루오션이 될 가능성이 높기에 연구활동에 더욱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대외적으로는 2017년 국제구강악안면외과학회 학술대회의 서울 유치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 한일 공동학회로 기대하고 있으며 오는 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경욱)의 2011년 춘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이번 학술대회는 조선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에서 주최해 진행하게 되며 ‘Cancer Reconstruction, TMJ, Implant’를 주제로 열린다.21일 첫날에는 구연발표와 함께 김진 교수(연세치대 구강병리학교실)가 구강암 치료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Dr. Matthew Hanasono가 구강암환자의 재건술에 대해 강의한다.22일 강의는 이번 학술대회의 메인 강의가 집약돼 있다. 오전 세 개의 특강과 재건술을 주제로 하는 심포지엄 1, TMJ를 주제로 하는 심포지엄 2가 연이어 진행된다. 심포지엄 1에서는 이종호 교수(서울치대 구강외과)와 Dr. Matthew Hanasono, 대만의 Dr. Fu-Chan Wei가 각각 구강암 환자의 재건술에 대한 각자의 임상 술식과 케이스를 소개할 예정이다.심포지엄 2에서는 정훈 원장(정훈치과), Masashi Sugisaki 교수, 문영래 교수(조선대 약대), 김형곤 교수(연세치대 구강외과)가 TMJ 환자의 치료에 대한 다양한 외과적 술식과 약물치료법 등을 소개한다. 마지막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구강암연구소와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가 함께 주최한 ‘사체해부연수회’가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에 걸쳐 서울성모병원에서 열렸다. 올해로 24회째를 맞는 사체해부연수회는 그 역사만큼 국내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연수회에는 총 64명이 연수에 참여했으며 이 가운데 해외에서 참가한 치과의사는 5명이다.연수회는 첫날 사체해부에 대한 14명 강사의 이론 강의를 시작으로 12일과 13일에는 직접 사체해부를 통해 구강암 환자의 재건술을 경험할 수 있는 시간으로 구성됐다. 연수생들은 4명이 한 조를 이뤄 총 16구의 카다버를 이용해 실습을 진행했다. 실습은 주로 신체의 다른 부위 조직을 이용한 악안면 재건술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연수생들은 인체 조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좀처럼 접하기 힘든 실습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이번 연수회를 준비한 구강외과학회 김경욱 이사장은 “최근 들어 구강암 시술이 구강외과와 이비인후과 간의 영역 갈등으로 보여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연수회를 통해 구강외과에서의 구강암 시술에 대한 수준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제로 구강암 치료는 이비인후과에 비해 구강외과의 수준이 훨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