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주조직재생유도제 Straumann Emdogain임플란트 제조사로 잘 알려진 스트라우만사의 치주조직재생유도제가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스트라우만덴탈코리아의 ‘Straumann Emdogain’은 치아 개발의 기본 생물학, 치아 지지 조직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천연단백질의 복합체인 에나멜 매트릭스 단백질 연구를 기초로 이러한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자체 조립되는 다양한 단백질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발달 치아의 치근에 시멘트질의 형성을 조절해 올바른 기능성 부착물과 관련된 모든 조직의 기본으로 그 역할을 한다.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 꾸준히 나와 치주 치료의 가장 큰 목표는 하나의 완전한 기능성 부착물을 재건하는 것으로 이것은 치주재생술을 통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traumann Emdogain’은 바로 이 치주재생술에 사용되면서 치주조직의 재생과 외과적 치료의 결과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다.‘Straumann Emdogain’은 법랑 기질로 구성된 흡수성재료로 노출된 치근면에 국소도포 후 치주 수술 시 부가적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치주염이나 외상으로 상실된 치아의 지지조직 재생
작은 아이디어로 안정된 시술을! Dual Ends Hex Driver, Immediate Placement, One More Drill, TUMS임플란트 시술을 하다보면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기 마련이다. 보다 안정적인 시술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많은 기업이 보다 편리한 시술을 도울 수 있는 기구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EBI 임플란트에서는 최근 수술의 편의를 돕는 4가지 제품을 개발, 특허까지 출원해 화제다.Dual Ends Hex Driver먼저 눈에 띄는 것은 Dual Ends Hex Driver다. 통상적으로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각각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수의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환경 속에서는 스크류 드라이버를 제품별로 교체해 사용해야 한다. 특히 식립 시 많이 사용하게 되는 헥사 드라이버는 픽스처의 길이나 사이즈에 따라 드라이버 홈의 사이즈가 다양하다. 결국 치과 진료실 내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헥사 드라이버날을 구비해야 하고 그때그때 드라이버날을 교체해 사용한다.이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제품이 바로 Dual Ends Hex Driver다. Dual Ends Hex Driver는 픽스처 사이즈
치과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재료 중 하나가 바로 Bur(버)이다. 다양한 치료에 버가 사용되고 있는 만큼 버의 관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치과에서는 버 관리에 소홀한 감이 없지 않다. 무엇보다 버는 세척과 소독, 멸균 작업을 거치는 과정에서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수명 단축은 물론 사용에도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편리하게 버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버 블록이 화제다.버의 효율적 관리에 초점 맞춘 버 블록버 블록은 버의 사이즈와 용도에 맞게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그저 구멍만 숭숭 뚫어놓는다고 해서 버 블록이 되는 것은 아니다. 코메트디엠아이코리아에서 버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자체 생산하는 버 블록은 코메트 사의 버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코메트 버가 아니어도 다른 브랜드의 버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보급형 버 블록은 버의 종류에 따라 삽입이 가능한 다양한 사이즈의 홀이 있으며 커버를 사용해 뒤집어지더라고 버가 빠지지 않도록 만들어졌다. 또 아래쪽에도 구멍을 내 세척, 소독, 그리고 멸균 과정에서 물기가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구성됐다. 물론
1. 인상재 및 관련재료2. 충전재료 및 루팅시멘트3. 근관관련재료4. 절삭연마재료 및 덴쳐관련재료5.임시치관재료 및 임시시멘트 교합지6. 코아 및 포스트 어드히시브 및 에칭7. 예방재료 및 감염방지재료8. 진료기구 및 소장비·기타기구, 고급 제품 선호도 여전히 높아현재 국내 치과용 기구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브랜드는 ‘HU-FRIEDY’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신뢰와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는 HU-FRIEDY는 국내 시장에서도 명품이라는 인정을 받으며 오랜 세월 동안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특히 사용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포셉이나 엘리베이터의 경우는 그 선호도가 더욱 두드러진다. 현재 저가의 기구 시장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Scaler나 Gracey Curette 등에 있어서는 정확한 각도와 Sharpening 후에도 유지되는 좋은 품질을 요하기 때문에 명품 핸드메이드 치과용 기구의 사용량은 오히려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반면, 트레이나 미러 홀더, 미러 등은 국산 제품을 많이 찾고 있는데, 샤인덴탈 판매집계에 의하면 그 중에서 후론티어치과산업의 제품들
시술자 시각 확대의 첨병 ‘루페’꼼꼼한 치과진료를 위해 ‘눈’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시술 시 한 치의 오차 없이 진료를 하려면 잘 보고, 잘 판단하는 것이 기본 요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술자의 시각을 고배율로 확대시켜주는 루페는 치과의 다양한 시술도구 중 중요도가 높은 제품군에 속한다. 그 중 꾸준히 해외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끊이지 않는 ‘덴토피아’(대표 이남규)의 개인맞춤형 진료용 루페 ‘Doctor Scope’는 개원가에서 눈여겨 볼 만한 아이템이다. 늦장 A/S? Doctor Scope에겐 먼 나라 이야기!Doctor Scope는 북유럽 중심 20개국 수출 등 해외에서도 그 기술력을 인정받은 제품이다. 국내업체인 미남옵틱스가 제조를 맡았고, 덴토피아가 전국의 유통망을 책임지고 있다. 특히 국내업체들이 제조와 유통을 맡은 만큼 해외 제품보다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고, A/S 역시 빠른 시일 내에 받을 수 있어 기존 구매자들의 만족도가 높다고 한다. 덴토피아 이남규 대표는 “전국 어디나 직접 방문해 도수, 얼굴크기, 동공 간 거리 등을 측정한 후 최단 기간 내에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1. 인상재 및 관련재료2. 충전재료 및 루팅시멘트3. 근관관련재료4. 절삭연마재료 및 덴쳐관련재료5.임시치관재료 및 임시시멘트 교합지6. 코아 및 포스트 어드히시브 및 에칭7. 예방재료 및 감염방지재료8. 진료기구 및 소장비·기타위생, 소독용품에서 가장 돋보였던 제품은 작년에 새롭게 론칭된 FRESHLINE이다.신흥에서 세계적으로 그 기술을 인정받은 위생소모용품과 소독용품을 모아 OEM 방식으로 개발한 FRESHLINE 브랜드의 제품군은 한국시장에 아주 적합하고 합리적으로 기획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샤인덴탈 상품연구소는 FRESHLINE의 등장으로 중국산 저가 공세에 시달려온 위생관련 제품군도 이제 질적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됐다고 평가했다. FRESHLINE 제품 중에는 마스크와 글러브가 높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표면소독제 SAFECLEAN Spray의 판매량 성장세는 국내 개원가의 높아진 감염 및 위생개념을 증명해 주고 있다. 또 한 가지 눈여겨보는 제품은 신원치재가 자체 개발한 EZ Series 제품군이다. 핸드피스 혈액용해제, Ultrasonic용 소독제, 석션소독제 등은 치과시장에 특화된 전문적이고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라고 전
코골이로 인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이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도 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술이나 구강내 장치, 약물 등 다양한 방법의 코골이 치료가 이비인후과나 한방 등에서 소개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치과에서의 코골이 치료를 위한 움직임은 활발하지 않은 듯 하다.최근 들어 진료 영역에 대한 영역별 다툼이 보이지 않는 전쟁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코골이 방지 구강내 장치를 치과에서 손쉽게 취급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됐다. 신흥이 수입하고 있는 솜노덴트(Somnodent)가 그것. 솜노덴트는 간단한 구강내 장치로 잘 때 입에 물기만 하면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돼 있다. 스플린트처럼 상하악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인상 채득과 교합조절이 필요하므로 치과의사가 아니면 제대로 할 수 없다. 따라서 치과만을 위한 새로운 수익모델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구강내 장치만으로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예방기존의 코골이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는 레이저를 이용한 목젖 부위의 절개술이 있으나 이는 통증이 크고 술자의 부담이 높은 복잡한 수술인데다 재발할 가능성도 높아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장치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강제로 기도를 여는 기구를 헤드기
1. 인상재 및 관련재료2. 충전재료 및 루팅시멘트3. 근관관련재료4. 절삭연마재료 및 덴쳐관련재료5. 임시치관재료 및 임시시멘트 교합지6. 코아 및 포스트, 어드히시브 및 에칭7. 예방재료 및 감염방지재료8. 진료기구 및 소장비·기타Core, 오토 믹스 타입으로 전환 중포스트, 코아, 본딩재 분야 가운데 먼저 포스트에 대해 살펴본다면, 포스트는 Casting Post를 많이 사용했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기성 포스트를 코어재료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다 더 깊고 정확한 포스트를 임상에 적용하는 추세로 전환되고 있다. 샤인덴탈 판매 데이터에 의하면 PARAPOST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포스트 브랜드로 꼽힌다. PARAPOST는 한국시장에서 오래 전부터 사랑 받아 온 제품으로 근래에는 Fiber Post 제품까지 함께 좋은 반응을 얻으며 샤인덴탈 100대 상품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Fiber Post 중에는 SNOW POST가 한국시장에서 사랑받는 제품 중 하나다.코아 분야에서는 DMG사의 LUXACORE가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코아 빌드업은 예전의 Amalgam이나 Cement류에서 수년 전부터 급격히 코어전용 레진이나 컴포지트 제품으로 대체되고
1. 인상재 및 관련재료2. 충전재료 및 루팅시멘트3. 근관관련재료4. 절삭연마재료 및 덴쳐관련재료5. 임시치관재료 및 임시시멘트 교합지6. 코아 및 포스트 어드히시브 및 에칭7. 예방재료 및 감염방지재료8. 진료기구 및 소장비·기타유치관, KIDS CROWN 급상승KIDS CRWON(키즈크라운)은 국내 유치관 시장의 판도를 단번에 바꿔 놓은 제품이다. 수입에 100% 의존해 왔던 국내 유치관 시장에 2009년 말 향상된 품질과 경제적인 가격으로 출시돼 론칭과 동시에 50%를 넘는 시장 점유율을 보이더니 현재는 90%를 육박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샤인덴탈 상품연구소의 판매 추이 분석에 따르면, 수출이 활발한 KIDS CRWON은 세계 시장에서도 단기간 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임시치관용 레진의 경우 국내시장은 아직 미국이나 유럽과는 다르게 오토믹스 타입보다는 파우더/리퀴드를 혼합하는 형태의 제품들이 더 많이 판매되고 있다. 이는 국내 임시치관의 제작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며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샤인덴탈 판매 데이터에 의하면 SNAP, ALIKE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딸기향을 내세운 TRIM PLUS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명품은 그 분야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 그리고 기술적 노하우와 디자인적 품격을 두루 갖춘 물건이다. 소비자들이 값비싼 비용을 지불하고서라도 명품을 찾는 이유는 명품으로 인해 자기 자신의 가치가 높아진다는 기대심리도 큰 몫을 하지만 무엇보다 오랜 시간 많은 소비자들에 의해 검증된 제품이라는 안정감과 제품의 수준에 대한 믿음도 무시할 수 없다.치과기자재에도 명품이 많다. 단순히 가격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오랜 전통을 지닌 전문 브랜드의 스테디셀러 제품들이 대부분 명품으로 간주되고 있고 누구라도 충분한 여유가 된다면 명품 브랜드의 치과기자재를 진료실에 갖추고 싶어한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유니트체어에 있어 명품이랄 수 있는 A-dec 제품이다.A-dec은 오랜 기간 치과용 유니트체어 제조와 판매로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A-dec의 제품들은 디자인과 실용성에 있어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그러나 명품이라는 표현에 걸맞게 그 제품의 가격 또한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요즘같이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는 아무리 좋은 유니트체어를 구비하고자 하더라도 A-dec 유니트체어를 선뜻 선택하기는 어렵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니트체어가 즐비
1. 인상재 및 관련재료2. 충전재료 및 루팅시멘트3. 근관관련재료4. 절삭연마재료 및 덴처관련재료5. 임시치관재료 및 임시시멘트 교합지6. 코아 및 포스트 어드히시브 및 에칭7. 예방재료 및 감염방지재료8. 진료기구 및 소장비·기타절삭력 좋은 Bur 우선 선호치과 재료 중 아마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이 ‘Bur’일 것이다. 샤인덴탈 판매 데이터에서도 5만개의 취급 상품 중 절삭재료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또 젊은 치과의사일수록 다양한 Bur를 사용하고, Bur의 교체주기도 상대적으로 짧다는 분석 결과도 나와 흥미롭다.현재 국내 치과시장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Carbide Bur의 경우 Komet Bur가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오래 전부터 치과의사에게 익숙한 Komet사의 제품군 가운데 특수 Bur에 속하는 Metal Cutting Bur, Composite Finishing Bur, Surgical Bur 등이 지속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제품들이다.Diamond Bur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MANI사의 Bur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에 새롭게 론칭한 BARRACUDA Bur도 높은 절삭력으로 좋은 피드백을 받고
1. 인상재 및 관련재료2. 충전재료 및 루팅시멘트3. 근관관련재료4. 절삭연마재료 및 덴쳐관련재료5.임시치관재료 및 임시시멘트 교합지6. 코아 및 포스트 어드히시브 및 에칭7. 예방재료 및 감염방지재료8. 진료기구 및 소장비·기타Ni-Ti File, 100대 상품 ‘효자’ 품목샤인덴탈 상품연구소 판매 데이터에 의하면 작년 한 해 최고의 상품은 Ni-Ti File이었다.의료보험수가 적용으로 인한 일시적인 붐이라 볼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신경치료나 교합과 같은 기본이 되는 분야에 다시금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현상은 엔도, 치주, 교합 등의 세미나가 다시 활발히 진행되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사실 엔도는 개원의들에게 상대적으로 낮은 수가와 긴 시술 시간으로 인해 부담스러운 존재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엔도를 소홀히 할 경우 치과의사들에게 돌아오는 스트레스 또한 상당하다. 기본에 충실하되 시술시간을 단축하겠다는 대명제에 부합하듯 엔도 분야에서는 Ni-Ti File 뿐 아니라 Obturation System, Rubber Dam, 엔도 약제 등의 제품도 사용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Ni-Ti File 중에서는 TF File
1. 인상재 및 관련재료2. 충전재료 및 루팅시멘트3. 근관관련재료4. 절삭연마재료 및 덴쳐관련재료5.임시치관재료 및 임시시멘트 교합지6. 코아 및 포스트 어드히시브 및 에칭7. 예방재료 및 감염방지재료8. 진료기구 및 소장비·기타루팅 시멘트, 레진 시멘트가 대세충전재료로써 GI 계열이나 복합레진의 경우 수년간 샤인덴탈 상품연구소 판매 데이터에 의하면 아직까지는 절대적으로 해외 유명 회사의 제품들이 우위를 보이고 있다.한 가지 눈에 띄는 것은 복합레진의 경우 Flowable Composite의 사용량이 기존의 Composite 사용량을 추월하고 있다는 것이다. 수 년 전만 해도 4급 와동이나 베이스 등으로 적용사례가 국한돼 있던 Flowable Composite이 이제는 1, 2급 와동의 충전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합수축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개원가에서는 사용의 편리성이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 중에서 Shofu사의 ‘Beautifil Flow’는 사용 후 새어 나오지 않는 팁의 개발과 여러 가지의 점도로 제품을 출시, 작년과 올해 가장 주목 받았던 Flowable Composite이었다.또한 Baseliner 계열에서는 DM
샤인덴탈 상품연구소가 지난 9년간의 판매 데이터를 근거로 치과의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제품 100개 품목을 선정, 발표했다. 이에 본지는 금번 호부터 총 8회에 걸쳐 100대 상품에 선정된 제품을 제품군별로 소개한다. 편집자주인상재, 국산 제품 약진 두드러져인상재 및 바이트 인상재료와 인상 관련 재료 분야에서는 총 12개의 제품이 선정됐다. 인상재는 크게 알지네이트 계열, 러버 계열, 바이트인상재 계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샤인덴탈의 판매 추이를 보면 알지네이트 계열 인상재의 경우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최근 들어 많은 개원의들이 바이트 트레이를 쓰면서 러버 계열 인상재의 사용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알지네이트 계열 제품 사용이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여전히 알지네이트 인상 채득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상재 분야에서 가장 눈에 띄는 큰 변화는 러버 계열의 인상재 중 국산품인 heavy body와 putty 인상재가 빠르게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이다.수입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 있는 가격대를 보이면서 최근 사용량이 높아진 것으로 샤인덴탈 상품연구소 측은 분석하고 있다. 연구소 측은 “아직 light body
최신의 임플란트 임상 트렌드 반영임플란트 시술이 보편화되고 발전해 나가면서 디자인과 표면처리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임플란트로 나날이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과거 블레이드 타입의 임플란트가 현재는 나사산을 갖춘 디자인으로 변모했으며 익스터널, 인터널, Submerged 등 상부의 디자인 변화는 임플란트 시술의 새로운 발전을 이뤄내기도 했다. 더불어 표면처리 역시 최근에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방법에서 초박막 HA코팅 등 빠른 골유착을 통해 초기 고정 확보는 물론 빠른 치유를 위한 다양한 방식들이 빠르게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이 가운데 최근에는 심미성과 초기고정력, 빠른 골유착을 가능하게 하는 임플란트가 관심을 모은다. 스트라우만덴탈코리아가 최근 출시한 Bone Leve 임플란트는 이러한 최근의 트렌드를 적극 반영한 임플란트다.심미적 만족도 높이는 본 레벨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 개발에 있어 오랜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는 스트라우만은 픽스처의 디자인에 있어 상당히 보수적인 회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ITI 또는 스트라우만 임플란트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Tissue Level 임플란트는 오랜 기간 한결같은 디자인으로 유저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