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신흥이 오는 9월 1일 개최되는 제15회 SID 2024에서 ‘evertis’ 임플란트 시스템을 공식 론칭한다. 신흥 임플란트는 수술 키트와 임플란트 디자인의 조화를 바탕으로 뛰어난 초기 고정력과 안정적인 식립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15회 SID 2024에서 short, extra-short 임플란트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며, 신흥 임플란트의 대표 제품 4가지(Luna S, Sola S, Stella, S-mono)도 SE, SI, ST, SM으로 각 명칭을 변경한다. 지난 2018년에는 제17회 대한민국 상품대상에서 ‘Luna S(SE)’가 우수성과 경쟁력을 인정받아 기술혁신부분을 수상한 바 있다. 특히 ‘SE’ 제품은 6년 누적 생존율이 99.86%, 10년 누적 생존율은 97%로 우수한 임상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evertis’는 전라인의 자동화와 대량 생산체제를 도입,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점을 뒀다. 신흥은 이러한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안산공장의 증축과 원주MST공장의 스마트화 정비 등 최신 설비 정보 시스템 구축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왔다. 지난 20년간 임플란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디오에프연구소(이하 DOF)가 출시한 ‘FREEDOM i’가 우수한 제품 기술력과 효율성으로 개원가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DOF는 최근 구강스캐너 ‘FREEDOM i’ 출시로 모델리스 토탈 솔루션 라인업을 완성했고, 이를 통해 디지털 보철 제작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치과와 기공소 모두에게 혁신적인 모델리스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FREEDOM i는 유무선 겸용 스캐너로 다양한 각도에서 자유로운 스캔이 가능하며, 술자 움직임에 대한 제약이 없어 스캔이 어려운 부위도 편안하게 스캔할 수 있다. 표준 규격 배터리(18650)를 사용해 유지 비용을 대폭 절감했고, 타사 대비 1/10 수준의 가격으로 부담감을 줄였다. 또한 284g의 초경량으로 손쉬운 사용이 가능하고, 스캐너 본체에 D-Pad가 탑재돼 스캐닝 도중에 마우스를 조작하거나 모니터를 터치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스캐너를 조작할 수 있다. 불필요한 연조직을 실시간으로 삭제해주는 스마트 필터 기능은 스캔 효율을 높여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고성능 스캐닝 기술이 적용돼 단 20초 만에 편악 스캔이 가능하다. 스캔 깊이도 20㎜
‘YK Link’를 처음 접한 계기와 장점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보철물의 탈부착이 용이한 SCRP 타입의 보철을 10여년 이상 사용하면서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 그러던 중 알게 된 ‘YK Link’는 그동안 느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보철이라 기대가 컸다. 물론 처음엔 크라운 이젝터(Crown Ejecter)로 보철을 제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반신반의하기도 했다. 실제 구강내에서 ‘YK Link’ 보철시술을 해본 결과, 걱정한 것과는 다르게 대부분의 환자들이 큰 불편을 느끼지 않았고 술자 입장에서도 어려움 없이 보철을 제거할 수 있었다. 특히 교합면에 홀이 없어 제한 없이 최적의 위치에 교합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또한 Cylinder Replica를 사용해 구강 외에서 잔여 시멘트를 정리한 후 구강 내에서 세팅하고 제거해보면 보철물 마진에 잔존 시멘트가 거의 남지 않아 매우 만족스러웠다. ‘YK Link’는 그동안 SCRP 보철을 사용하면서 아쉬웠던 점들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매력으로 다가왔고 기대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제품이었다. ‘YK Link’를 처음 이용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합성골 골이식재 ‘NEO-BCP’를 새롭게 출시했다. ‘NEO-BCP’는 공간 유지에 탁월한 Hydroxyapatite(HA) 60%와 골 형성을 촉진시키며 자가골로 치환이 가능한 Beta-Tricalcium Phosphate(β-TCP) 40%가 혼합된 합성골로 안정적인 골 흡수성을 제공한다. 인체에 안전한 합성물질로 제조된 ‘NEO-BCP’는 서로 연결된 Macro 및 Micro 이중 기공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인산칼슘 골이식재로 뼈와 생체적 호환이 매우 높다. 연결된 Macro 기공은 혈관성장과 골세포 이동을 촉진하고, 골격표면의 Micro 기공구조는 골세포 부착에 유리한 구조로 이뤄져 있다. 인체 해면골과 유사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수술 시 체내에서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골 흡수가 이루어지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네오는 ‘NEO-BCP’ 출시를 기념해 9월까지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네오 관계자는 “이번에 새롭게 출시한 ‘NEO-BCP’는 뛰어난 성능과 합리적인 가격을 겸비한 제품”이라며 “향후 임플란트 치료에 활발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제노레이의 덴탈 CBCT 장비 ‘GT300’을 새롭게 출시했다. 동급 CBCT 중 가장 큰 FOV(Field Of View)를 자랑하는 ‘GT300’은 기본 16×11부터 최대 20×11까지 폭넓은 FOV를 제공, 단 한 번의 촬영으로 하악부터 양측 TMJ(측두하악관절)까지 최적화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포지셔닝 기능은 재방문 시, 환자의 첫 촬영 데이터를 활용해 촬영 포지션을 자동 세팅해주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또한 세팔로 홀 기능을 통해 장비의 흔들림을 최소화해 왜곡 없는 선명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네오는 ‘GT300’ 출시를 통해 치과에서의 작업 효율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의 만족도 역시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오 관계자는 “높은 편의성을 자랑하는 ‘GT300’은 간편한 조작으로 고품질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CBCT장치”라며 “출시를 기념해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GT3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네오 또는 지역 담당 영업사원에게 문의하면 된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종원)가 디지털 임플란트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디오나비 마스터 S(Speed) 키트’를 지난 7월 24일 출시했다. ‘디오나비 마스터 S 키트’는 디오를 대표하는 디지털 임플란트 ‘디오나비’의 스탠더드 시술용 키트를 전면 리뉴얼한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정확도는 높이고 식립과정은 간소화해 임상의들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디오나비 마스터 S 키트’의 가장 큰 특징은 누구나 계획한 대로 정확하게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술자와 어시스트가 시술 프로토콜을 쉽게 학습할 수 있어 시술환경에 따라 다양한 응용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식립되는 임플란트 직경에 따라 최대 50%까지 시술 프로토콜을 단순화해 체어 타임을 단축시켰다. 개발을 주도한 임플란트개발팀 정시영 부장은 “발치와 임플란트를 동시에 수행할 때 식립의 정확도가 더욱 중요한데, 이번 개발은 빠른 시술보다는 드릴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프로토콜을 간소화하고, 정확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뒀다”며 제품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다. 또한 디오 PM본부 김홍 본부장은 “‘디오나비 마스터 S 키트’를 통해 국내외 유저들이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움의 ‘bright CT Low Dose’가 드디어 첫 고객을 맞이했다. 첫 고객의 주인공은 봉하헌 원장(서울치과)이다. 봉 원장은 기존의 bright CT에서 저선량으로 업그레이드된 ‘bright CT Low Dose’를 선택한 이유로 “환자들에게는 안전함을 제공하고, 술자에게는 편안함과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환자들이 방사선 노출에 불안감을 느끼는 상황에서, ‘bright CT Low Dose’의 도입으로 이러한 걱정을 해소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전했다. 또한 저선량으로 인한 영상 화질 저하에 대한 편견이 있었지만, AI De-noising과 같은 덴티움의 영상처리 알고리즘이 접목된 CT를 신뢰하고 구매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봉 원장은 “‘bright CT Low Dose’를 통해 치료계획 수립, 환자상담, 기공실과의 정보교환 등 모든 과정에서 높은 효율성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타사 대비 현저히 낮은 방사선 피폭량으로 치과진료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협소한 방사선실에서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안전성과 정밀성을 갖춘 치과진료를 가능하게 한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가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 ChecQ(체큐)를 출시했다.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는 임플란트 수술 후 환자의 턱뼈에 임플란트가 얼마나 고정이 잘 됐는지를 측정하는 장비로, 임플란트 수술 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타진식과 RFA(공진주파수분석)의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타진식과 달리 RFA 방식은 국산 제품이 전무해 고가의 외산제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ChecQ는 덴티스가 개발한 RFA 방식의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로, 가격 경쟁력 확보를 통해 더 많은 치과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은 현재 ChecQ를 사용하고 있는 백영재 원장과의 일문일답. 진료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환자들이 호소하는 불편을 철저히 듣고, 최선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환자들이 느끼는 불편함은 단순한 증상이 아닐 수 있으며, 그 뒤에 숨겨진 다양한 요인들을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환자와의 신뢰를 구축하고, 그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또한 치료과정 및 결과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때는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동의를 얻기 위해 여러 가지 노하우를 활용하고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리뉴메디칼(대표 김성호)이 코드리스 구강세정기 ‘워터테라픽 코드리스’를 출시했다. 워터테라픽 코드리스는 파스텔톤의 깔끔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며, 고성능 배터리를 탑재한 코드리스 기능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했다. C타입 충전기를 사용해 어디서나 쉽게 충전할 수 있고, 사용 시 별도의 전원선 없이도 간편하게 구강 세정이 가능하다. 또한 300ml의 대용량 물통을 적용, 다시 물을 채울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제품의 장점이다. 리뉴메디칼 관계자는 “워터테라픽 코드리스는 특히 잇몸 건강을 중시하는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제품”이라며 “고압의 물 스트림을 이용해 치아와 잇몸 사이의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신제품 출시로 고객들의구강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길 기대하며, 워터테라픽 코드리스가 치아와 잇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디오에프연구소(이하 DOF)가 구강스캐너 ‘FREEDOM i’ 출시를 통해 모델리스 토탈 솔루션 라인업을 완성했다. DOF는 치과용 3D 스캐너와 밀링머신을 자체 개발·제조해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스캐너와 밀링머신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치과 디지털 장비 점유율 85.6% 이상으로 국내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DOF는 이번 구강스캐너 출시를 통해 디지털 보철 제작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치과와 기공소 모두에게 혁신적인 모델리스 솔루션을 제공한다. ‘FREEDOM i’는 유무선 겸용 스캐너로, 다양한 각도에서 자유로운 스캔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술자의 움직임에 대한 제약이 없어 스캔이 어려운 부위도 편안하게 스캔할 수 있다. 표준 규격 배터리(18650)를 사용해 유지 비용을 대폭 절감했고, 타사 대비 1/10 수준의 가격으로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한다. 또한 284g의 가벼운 무게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스캐너 본체에 D-Pad가 탑재돼 보다 빠르고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스캐닝 도중에 마우스를 조작하거나 모니터를 터치하지 않고도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최근 출시한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 ‘첵큐(ChecQ)’가 출시 2주만에 100대 판매를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첵큐’는 임플란트 시술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된 의료기기로, 치과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덴티스는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의 국산화를 통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보다 많은 치과에서 RFA 방식의 고정도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첵큐’를 개발했다. ‘첵큐’는 RFA 자기공명주파수 방식을 채택, 임플란트에 체결된 Peg에 자기 펄스를 보내고 반향되는 공명진동을 측정해 ISQ (Implant Stability Quotient) 값을 산출한다. 이 비접촉 측정방식은 기존의 타진식(접촉식) 방식과 비교해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한다. 덴티스 관계자는 “‘첵큐’는 임플란트 시술 중 고정도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어, 시술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실패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철물 로딩시기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어 시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첵큐’의 전용 Peg는 타사 외산제품이 일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고성능 인상재 전동건 ‘MAXimizer’를 최근 출시했다. 전동건으로 설계된 ‘MAXimizer’는 수동 믹싱건에 비해 인상채득 시간을 50% 이상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전동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작업 시 손목의 부담을 줄여준다. 특히 덴처와 풀 트레이 인상채득 시에는 더욱 빠르고 균일한 두께로 인상재를 도포할 수 있으며, 기포 없는 찰진 물성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정밀한 교합 채득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해 전동건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도록 설계돼 다양한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네오는 ‘MAXimizer’ 출시를 통해 임상에서의 작업 효율성과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작업 부담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만족도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오 관계자는 “새롭게 출시한 인상재 전동건 ‘MAXimizer’는 성능이 매우 우수한 제품이면서 가격도 합리적”이라며 “현재 출시를 기념한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MAXimizer’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네오 또는 지역 담당 영업사원에게 문의하면 된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금 시세가 역대 최고치를 향해 가고 있는 가운데, 예스바이오(대표 권용찬)가 부담을 확 줄인 합금을 출시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예스바이오의 합금 ‘미소 에이포지(Myeso A4G)’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합금 보다 금함량이 현저히 적어 경제적이라는 점이다. ‘미소 에이포지’의 금함량은 33.6%로 슈퍼합금의 53%보다 적다. 금을 적게 사용했음에도 금, 은, 동 등 구성요소의 비율을 최적화해 슈퍼합금의 골드색을 그대로 재현했다는 게 예스바이오 측의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금함량을 낮추면 골드색을 재현하기 위해 백금 등 다른 재료를 섞기 마련인데, 예스바이오의 ‘미소 에이포지’는 백금 등 다른 재료도 일체 섞지 않고도 골드색을 그대로 구현했다. 그럼에도 기존 합금의 연성과 전성 등 물성도 동일해 보철 제작과정이 용이하다. 단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금, 은, 동 등 구성요소의 비율이 틀어질 경우 변색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 ‘미소 에이포지’는 최적의 비율로 만들어진 만큼, 그 구성요소가 틀어질 경우 변색이 일어날 수 있다. 좋은 재료를 많이 쓰겠다고 금함량을 높이더라도 변색이 일어나는 만큼 ‘미소 에이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 ‘ChecQ(체큐)’를 출시한다. ‘ChecQ’는 임플란트 시술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기기로, 치과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치과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는 임플란트 수술 후 환자의 턱뼈에 임플란트가 얼마나 고정이 잘 됐는지를 진단하는 장비로, 임플란트 수술 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동요도 측정기는 타진하는 방식과 RFA(공진주파수분석) 방식이 있다. 타진 방식은 측정자의 실력에 따라 측정 오차가 크지만, RFA 방식은 측정자의 실력에 따른 오차가 적어 더욱 정확하다. 현재 타진하는 방식의 국산 제품은 많지만, RFA 방식의 국산 제품은 전무하며 고가의 해외 제품에 의존하고 있다. 덴티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RFA 방식의 동요도 측정기를 국산화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 보다 많은 치과에서 RFA 방식의 동요도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ChecQ’를 개발했다. RFA 자기공명주파수 방식을 채택한 ‘ChecQ’는 임플란트에 체결된 PEG에 자기 펄스를 보내고 반향되는 공명진동을 측정해 ISQ(Implant Sta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힐덴스(대표 정영권)가 충치진단기 ‘Smartooth(스마투스)’를 출시했다. ‘스마투스’는 접촉식 광센서를 이용한 장비로 팁을 치아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해당 위치의 충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투스’는 사진을 찍고 모니터에 띄워 분석하는 장비들과 달리 프로브 팁을 치아에 접촉만 하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충치지수가 숫자로 나타나는 아주 간단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충치지수가 0~10까지는 안심을, 11~20까지는 법랑질에 충치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21 이상일 경우 상아질까지 충치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으로 정확한 검진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 21일 이상일 때는 경고 비프음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현돼 환자에게 설명할 때도 도움을 준다. 또한 치아 프렙 도중 ‘스마투스’를 이용하면 충치부위만 최소한으로 삭제할 수 있다. ‘스마투스’는 치과의 진료 스타일에 따라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된다. 간단하게 충치지수만 보기 위해서는 기본 구성인 ‘블루투스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면 되고, 환자 치아를 ‘치과병원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태블릿 옵션’을 선택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