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15)

URL복사

독일, 애도의 공간을 디자인하다

독일은 전쟁과 폐허, 재건과 애도의 땅이다. 도시에 전쟁과 역사의 흔적을 없애지 않고 일상에서도 인식하려는 공간을 만들어 낸다. 도시의 공공공간은 애도의 장소로 채워졌다. 애도의 공간을 일상의 공간과 접목하려는 건축가들의 노력이 엿보인다. 근대역사의 반성과 흔적을 잊지 않으려는 노력도 있지만, 그보다 더 오래된 역사도 최대한 보존하려고 애쓴다. 고고학은 진실이 아니라 사실이다. 건축은 도시와 사람에게 빛과 움직임의 공간구성을 이용하여 장소성과 역사적 사실의 속살을 드러내게 도와준다.


애도의 도시

 


이제는 통일이 되어 한국과 같은 분단국가라는 사실이 사라졌지만, 우리에게 베를린은 남다르다. 그러나 직접 가본 베를린의 이념과 지리적 경계는 우리와 같은 절대적 경계가 아닌 사실에 놀랐다. 이념에 의해 지리적 경계를 설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야 하는 삶은 아무리 시대의 상황이라고 해도 개인에 미치는 영향은 너무나도 커 보인다. 그러나 베를린이라는 현실의 도시는 전쟁의 폐허 위에 새로운 건축과 공간을 만들고 있어 예상과는 매우 달랐다. 새로운 현대건축이 즐비했고 최첨단의 건축물 사이에 역사를 기리는 추모의 공간들이 많다. 그들만의 애도 방법은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제사를 지내는 우리와 다르게 도시의 일상에서 찾는 듯하다[그림 1].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의 애도 방식

 


베를린의 대표적인 애도의 공간은 단연코 피터 아이젠만의 Holocaust Memorial1)이다. 광장에 단 하나의 모티브인 죽은 자들을 위한 관과 같은 단순한 직육면체 매스의 반복. 그러나 하나도 같지 않은 낮고 작은 것에서부터 사람 키를 훌쩍 넘는 것까지 펼쳐져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그 사이를 다니면서 직접 추모를 할 수 있게 있다. 광장의 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지속해서 수직적인 변화를 주었다. 처음엔 호기심으로 그곳을 들어가더라도 내부를 돌아다니다 보면 애도의 공간에 의해 나처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외부인도 추모와 역사와 인류를 생각하게 한다[그림 2].


Edge, 나눠짐의 시작

 


베를린의 또 하나의 대표적인 애도 공간은 Daniel Libeskind의 Jewish Museum2)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박물관 옆에 전혀 다른 현대건축의 박물관을 세웠다. 뱀처럼 구불구불한 외부건축 형태부터 눈이 가는 박물관은 설계 초기에 베를린이라는 도시 공간에서 유대인과 관련된 역사적 공간을 축으로 이어서 형태를 완성했다고 한다. 즉 박물관 자체가 도시에서 유대인 역사의 축소판을 형상화한 것이다. 건축가 특유의 건축어휘와 장치를 통하여 추모의 분위기를 끌어내는 현상학적 공간을 창조해냈다[그림 3].


빛기둥 다발로 추모하는 공간

 


베를린 시내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미니멀리즘의 현대식 추모공원이 있다. 우리에게는 생소한 건축가인 Axel Schultes Architect가 설계한 Baumschulenweg Cemetery3)이다. 가보면 전체적인 공동묘지는 특별한 것이 눈에 띄지 않는데 추모관에 들어가면서 미니멀리즘 건축물이 있다. 노출 콘크리트로 만든 단순한 박스의 가운데를 찢어 하늘을 받아들이고 내부는 빛과 콘크리트 기둥의 다발이 있어 고요하면서도 침잠하는 듯한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일본의 미니멀리즘에 익숙해서인지 왠지 서양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 공간은 오히려 더 낯설다. 그런데도 전 세계 어느 곳이라도 죽은 사람을 기리기 위한 분위기를 간직하는 공간과 장소는 같다고 느껴지는 공간이다[그림 4].


폐허를 밝히는 빛

 


쾰른(Koeln)의 콜롬바 박물관(Kolumba Museum)4)은 지금과는 조금 색다른 공간이다. 도시 한복판에 오래된 로마 시대 폐허의 장소 위에 설계된 박물관은 그 지층 아래의 역사를 오롯이 떠안고 있어야 하는 숙명인데 그 과업을 건축가 피터 줌터(Peter Zumthor)는 내부를 벽돌로 막고 한쪽 벽을 느슨하게 막아 햇빛과 외부에 있는 나무들이 바람이 불 때마다 흔들리는 바람과 그림자를 끌어들여서 상상하기 어려운 공간을 만들어 냈다. 서울 도심부 종로가 재개발하면서 나오는 유적 보존의 방법이 대부분 박물관에 옮기고 흔적만 남기거나 현장 보존의 경우 유리를 이용해 시각적 체험을 유도했다면 이곳은 폐허 안으로 걸어 들어가 자연과 교류하면서 역사의 지층을 온몸으로 느끼게 해준다. 역사의 지층을 보존하고 새로운 지층을 만들어 도시의 미래까지 예측해 보고 고민한 흔적이 박물관 구석구석에 담겨 있다[그림 5].

 

 

※주석
1.https://www.archdaily.com/938511/peter-eisenman-designing-berlins-holocaust-memorial
2.https://inhabitat.com/daniel-libeskinds-jewish-museum-berlin-commemorates-the-holocaust-to-prevent-future-acts-of-genocide/
3.https://www.alamy.com/stock-photo-modern-crematorium-at-baumschulenweg-cemetery-in-treptow-berlin-germany-30898113.html
4.https://www.archute.com/kolumba-museum-peter-zumthor/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나스닥100 상승장 전망과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나스닥100 지수가 역대 최고치에 근접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그러나 신고가 경신 랠리의 이면에는 금리인하 사이클의 마지막 국면이라는 복잡한 변수가 존재하는 만큼,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앞으로 금융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핵심 요인은 연준의 금리 사이클이며, 이를 활용한 주기적인 자산배분 투자 전략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는 시점이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에 따르면, 현재 우리는 금리인하 사이클(B → C 구간)의 후반부에 위치해 있다. 이 구간은 위험자산이 가장 적극적으로 상승하는 마지막 랠리를 의미하지만, 동시에 향후 경제위기(C 이벤트)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계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2020년 3월 코로나 위기 당시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하가 대표적인 C 이벤트에 해당한다. 과거 경험상 금리인하 사이클이 대략 4~5년 주기로 프랙탈적으로 반복된 점을 감안하면, 유사한 시나리오가 다시 펼쳐질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과거 2023년 7~8월에 금리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4년 9월에 첫 금리인하(B)가 단행됐으며, 프랙탈 분석상 경제위기 C 이벤트는 2025년 말에서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