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5)

URL복사

수평성_제주를 다르게 바라볼 수 있는 곳들

제주하면 맑고 푸른 하늘, 끝없이 펼쳐진 바다, 청정의 자연이 생각난다. 이번엔 조금 다르고 독특하게 경험해보자. 제주의 수평성. 우리가 도시에서 가장 많이 보는 수직성 말고, 서울에서는 보기 어려운 다양한 수평성을 느껴보자.


틈새로 보이는 수평성

 

 

한국에 뮤지엄 산(SAN), 재능교육 본사, 지니어스 로사이(Genius Loci) 등 다양한 건축을 설계한 안도 다다오. 그의 작품인 제주 섭지코지의 글라스 하우스(Glass Houe)1)는 언뜻 보면 일본 고베의 아와지 유메부타이(Awaji Yumebutai)와 유사하나, 제주 자연과 관련된 특유의 건축어휘들을 펼친다. 끝없이 펼쳐진 제주의 바다를 두 팔 벌려 품은 듯한 건축공간에 경사진 정원 그리고 글라스 하우스 건물 사이로 바다를 볼 수 있다. 건물 틈새로 바다의 수평선이 보인다니, 엄청난 틈새다[그림 1].


안개 사이로 보이는 수평성

 


현상설계를 통해 간삼건축이 설계한 제주특별자치도립미술관2)은 산중턱에 자리하여 하늘, 한라산, 억새들이 어우러진 제주의 자연과 함께하는 조용하면서도 열린 공간이다. 단순한 기하학적 입방체가 대지와 만나면서 분할되고 미술관 외관이 면과 프레임으로 분화되어 제주를 담아낸다. 비오는 날 버스 타고 미술관을 가보니 방문객 없이 한적한데 미술관 입구 수공간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 사이로 미술관 앞쪽의 수평 프레임만 눈에 띈다. 미술관은 나에게 평소 강한 인상의 노출콘크리트는 가리고 완전히 새로운 자신만의 수평성을 드러내 보여주었다[그림 2].


단순한 매스의 수평성

 


이로재 승효상 건축가가 제주에 남긴 건축물 중 감자(지슬)창고 애칭이 붙은 서귀포시 대정읍 추사관은 제주에서 눈여겨봐야 할 건축이다.3) 이곳은 제주 유배생활에도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노력으로 성취한 학문과 예술의 결과인 세한도를 건축의 모티브로 표현하였다고 한다. 건물 주변의 땅을 옛 성벽까지 비우고 소박한 재료로 추사의 이미지를 반영했고, 관람객들이 지하의 입구와 전시실을 거쳐 추사적거지 앞마당으로 연결된 지상으로 나오도록 설계됐다. 단순하고 투박해 보이는 기다란 오각형의 매스, 지붕선을 연장하면 수평의 가상선이 한라산까지 닿을 듯하다[그림 3].
 

수평의 전망대

 


 제주시 원도심 산지천 포구 끝자락에 있는 김만덕 기념관 맞은편에는 지그재그 모양의 건축물인 산지천 산포광장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전망대는 2017년 제주 문화도시 조성 공모사업으로 제주시 도시공간 청년기획단 1기의 결과물이다.4) 결과에 대한 평가는 나누어지는데 모양이 복층 주차장과 비슷하고 주변 건물들에 비해 높지 않아서 전망대로서 역할에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고 한다.5) 그러나 건너편에서 바라본 전망대는 수직성의 대표인 전망대가 수평성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는 아이러니한 사실만으로도 높은 평가를 주고 싶다[그림 4].


수평을 걷는다

 


마라도는 제주와는 또 다른 수평성을 볼 수 있는 장소다. 어디서나 보이는 바다, 파노라마 조망, 바람, 낮게 깔린 자연, 군데군데 있는 작은 건축들, 어디를 가도 내가 중심인 듯 모든 공간이 나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수평성의 극치가 나타난다. 눈높이에서 바라보이는 주변 환경이 수평을 형성하면서 360도 열려 있는 공간. 그 공간 사이로 난 길을 걸어가는 동료의 뒷모습과 그 주변에 작은 마라도 성당6)과 등대. 눈에 보이는 하나하나가 얼마나 또렷한지 마라도의 수평은 사물을 보는 내 눈을 새롭게 틔운다. 존 버거(John Berger)의 ‘Horizon(지평)이 뒤섞이기를 바랍니다’7)라는 말이 떠올랐다[그림 5].

 

 

※주석
1. https://www.phoenixhnr.co.kr/static/jeju/architecture/glass-house
2. http://www.gansam.com/g_style/human_view/index/75/
3.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2564
4. https://blog.naver.com/km643/221128131472
5.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9273
6. https://cafe.naver.com/catholicmarado
7. https://blog.naver.com/chichifree/221798496042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9월 S&P500 자산배분 전략 | 금리인하 사이클과 조정 신호

2025년 9월, 미국 증시는 다시 한 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대표 지수인 S&P500 역시 단기적 반등과 조정 사이에서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며 불안정한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단순히 마켓 타이밍을 맞추려는 시도가 아니라, 거시적 흐름 속에서 각 자산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자산배분 전략은 특정 종목에 집중하거나 단기 매매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 핵심은 금리 사이클, 유동성 흐름, 투자 심리와 같은 거시적 요인 속에서 장기적인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틀이 바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이다. 금리 인상과 인하, 경제위기와 회복이라는 순환 과정 속에서 자산은 서로 다른 성과를 보여 왔으며, 투자자는 각 국면에서 불리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선제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장은 금리인하 사이클의 B에서 C로 넘어가는 후반부에 놓여 있다. 연준은 2023년 7월 금리 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