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22)

URL복사

겨울왕국 사람들이 디자인하는 방법

덴마크 코펜하겐(Copenhagen)을 떠나 스웨덴 말뫼(Malmoe), 예테보리(Gothenburg)를 거쳐 노르웨이 오슬로(Oslo)와 베르겐(Bergen), 다시 스웨덴의 스톡홀름(Stockholm)을 거쳐 핀란드 헬싱키(Helsinki)로 가는 북유럽 3국 여행은 지리적으로 광활하고 각 도시가 멀리 떨어져 있어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여행한다.

 

코펜하겐의 야간버스는 여름에는 백야를 뚫고 밤새 달려 오슬로로 데려간다. 겨울의 오슬로에서 베르겐의 기차여행은 그야말로 환상적인 피요르드와 오로라를 선물한다. 스톡홀름에서 헬싱키 간의 선상 크루즈는 바다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북유럽은 추운 나라라 건축도 폐쇄적이고 묵직하다. 하지만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의 경쾌함은 내부공간에서 잘 드러난다. 겨울왕국 그들만의 건축어휘를 찾아본다.

 

극지방의 야간버스에서 백야를 만나다

코펜하겐에서 탄 야간버스는 4시간 정도 달려 스웨덴 예테보리에 도착한다. 닐스 토프(Nils Torp)의 닐스 에릭슨 터미널(Nils Ericson Terminal)1)은 특별한 공간이 없어 보인다. 졸린 눈을 뜨고 버스에서 나와 허리를 펴는데 아직도 어둑한 느낌이다. 한밤중인데도 완전히 깜깜하지 않다. 백야의 개인적 느낌은 밝은데 무척 졸리다는 것이다. 점심 후 낮잠시간이 이와 비슷한 걸까? 비어있는 예테보리 터미널 뒤쪽으로 뿌옇게 비치는 어둑한 빛과 터미널을 밝히는 형광등 사이로 밤은 끼어있는 채로 지새우고 있다. 다시 버스를 타고 8시간을 몸을 접고 노르웨이 오슬로로 향한다[그림 1].

 

빙하의 형상화

오슬로 역 건너편 흰색의 빙하가 보인다. 그 위에 깔린 듯 놓여있는 유리와 대리석 상자. 그리고 그 위에 무언가 움직이는 것이 보인다. 그 유명한 스노헤타(Snøhetta)2)의 오슬로 오페라하우스(Oslo Opera House)3)이다. 멀리서 보면 빙하처럼 보인다. 신선하다. 건축물이 대지에 잘 안착되어 수천년 동안 그 자리에 있던 것처럼 보인다. 가까이 가보니 경사로(Ramp)를 이용하여 내외부를 연결하였다. 외부 경사로의 백색 대리석은 외부 공간을 기울어진 광장으로 만들었고, 단순한 형태는 강렬한 형태에 힘이 실린 듯 보인다. 내부는 목재와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와는 전혀 다른 공간을 펼친다. 다 좋은데 부산 오페라하우스 등 한국프로젝트는 기존의 오슬로 작품을 그대로 가져온 듯해서 아쉽다[그림 2].

 

평화의 색은 붉은색인가?

오슬로(Oslo) 시내에서 노벨 평화 센터(Nobel Peace Center)4)에 들어가면 눈이 휘둥그레진다. 이런 빨간색을 전체 공간에 사용하다니 데이비드 아디아예(David Adjaye)5)의 감각은 탁월하다. 외부에서는 전혀 인지할 수 없는 색감. 외부는 석재를 이용한 일반적인 건축물인데 내부는 파격 그 자체다. 보수적인 듯 일상적이며 자연스러운 보이는데 그 안에 숨겨진 파격. 이런 것이 북유럽만의 디자인이다. 숨겨져 있는 것이 진리가 아니듯이 노출되어 있는 것도 가짜는 아닐 것이다. 평화는 피를 먹고 살아서 붉은색인가?[그림 3].

 

현대판 움막교회

알바 알토(Alva Aalto)의 핀란디아 콘서트홀(Finlandia Concert Hall & Congress Hall)6), 스티븐 홀(Steven Holl)의 현대미술관(Museum of Contemporary Art: Kiasma)7)도 중요한 건축물이지만, 티모 앤 투오모 수오마라이넨(Timo and Tuomo Suomalainen) 형제의 암석의 교회(The Church of the Rock)라고 불리우는 템펠리아우키오 교회(Temppeliaukion Church)8)야말로 핀란드 건축의 정수를 보여준다. 세련된 현대건축 어휘보다 굴처럼 판 자연의 흔적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서 루버를 이용하여 형태를 만들고 빛을 들여 자연스러우면서도 세련된 공간을 만들어 냈다[그림 4].

 

음표들의 조합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들려오는 듯한 착각 속에 엘라 힐투넨(Eila Hiltunen)의 시벨리우스 기념비(Sibelius Monument)9) 앞에 섰다. 1960년대에 600여개의 스틸 파이프를 이용하여 파도와 같은 형상을 만들어 낸 것이 놀랍다. 멀리서 보는 것보다 가까이에서 파이프의 내부를 통해 내뿜는 빛이 더 큰 이야기를 하는듯하다. 마치 작곡가가 음표를 이용하여 조합을 만들고 그 결과가 음악이듯이 건축도 단위 유닛(Unit)이 모여 건축물이 된다는 것, 분야를 가로지르는 은유가 공명됨을 느낀다[그림 5].

 

*주석

1) https://en.wikipedia.org/wiki/Nils_Ericson_Terminal

2) https://snohetta.com/#/projects/15/true/all/image/743/

3) https://en.wikipedia.org/wiki/Oslo_Opera_House

4) https://en.wikipedia.org/wiki/Nobel_Peace_Center

5) https://en.wikipedia.org/wiki/David_Adjaye

6) https://sunnykist.tistory.com/38

7) https://en.wikipedia.org/wiki/Kiasma

8) https://en.wikipedia.org/wiki/Temppeliaukio_Church

9) https://en.wikipedia.org/wiki/Sibelius_Monument_(Helsinki)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나는 반딧불’의 위로가 지닌 의미
얼마 전 진료실 라디오에서 잔잔한 노래 하나가 들렸다. 얼핏 처음 가사가 들렸을 때 스스로 빛나는 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반딧불이라고 들렸다. 그래서 슬프다는 내용인 줄 알았는데 그 다음 가사가 알고 보니 자신은 개똥벌레였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빛나는 별이 아닌 줄 알았고 반딧불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그것도 아닌 개똥벌레였다면 엽기적이고 가학적이고 심한 우울한 가사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많은 대중들이 위로를 받는다고 하여 노래를 찾아보았다. 가사는 살다가 어느 날인가 스스로 하늘에 빛나는 별이 아닌 땅에 기어 다니는 개똥벌레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개똥벌레도 스스로 조그만 가치의 빛을 낸다면 누군가에겐 비록 작더라도 소중한 빛을 내는 반딧불일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내용이었다. 이 노래는 지난해 말부터 우울했던 대중들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다. 잔잔한 음률에 남성 가수의 담담하고 고즈넉한 목소리 톤으로 부른 ‘나는 반딧불’이다. 잔잔한 음률에 젖어서 찬찬히 가사 내용을 음미해보면 2·30대들의 아픔이 느껴진다.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하늘에서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